$\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기술경영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on Firm Performa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201 - 210  

정두식 (창원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술경영활동이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의 혁신활동이 기업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여 그 연구결과를 기업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기술경영 활동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기술경영활동과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제품혁신은 기술리더쉽에 완전매개효과를, 기술경영활동과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제품혁신은 기술리더쉽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정혁신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술경영활동과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정혁신은 기술리더쉽에 부분매개효과를 기술경영활동과 비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정혁신은 기술리더쉽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조사 대상의 전국적인 확대와 제조업과 비제조업, 중소기업과 대기업 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면 학문적 관점이나 실무적 관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gure out how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are needed to surviv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how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affect company performance. First,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that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혁신활동이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본연구 결과의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에서 기술경영활동의 도입과 진행상황을 파악하고 기술경영활동이 재무적, 비재무적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혁신성과가 기업경영활동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여 그 연구결과를 기업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 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실증분석 자료수집은 경남도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해 기업경영이 한층 어려워지면서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다양한 경영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현재기업들의 기술경영활동의 도입과 진행상황을 파악하고 기술경영활동이 재무적, 비재무적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혁신활동이 기업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여 그 연구결과를 기업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남 주요지역의 대기업과 협력회사에 근무하는 직원 그리고 중소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7일부터 25일까지 총 250부를 배포하여 231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한 12부를 제외한 219부의 유효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ig. 1]의 연구모형과 같이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혁신활동이 이들 사이에서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의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매개 작용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구가설에 대해서 Van, Graham, & Dienesch(1994)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둘째, 혁신활동이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본연구 결과의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술경영능력(T.
  • 이의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혁신활동이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기술경영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경영활동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둘째, “기업의 혁신활동은 기술경영활동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일 것이다.
  • 첫째, “기술경영활동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기술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견해차가 있겠지만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술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즉, 자원을 제품화 하거나 서비스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T 용어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기술경영에 대한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06년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함께 기술경영 전문인력양성사업을 시행하면서 기술경영을 MOT(Management of Technology)로 규정하면서 MOT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지식경제부는 MOT 프로그램을 이공계 MBA로 규정하고 MBA와는 다르게 “기술의 관점에서 기술탐색에서 시작하여 기술의 사업화 등 기업의 기술혁신관리를 담당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SRI가 정의하는 기술경영은? 이를 계기로 최근 기업 등 다양한 조직들은 경영에서 기술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자 핵심 역량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기 시작했으며, 실제 하이테크 첨단산업에서 기술은 기업의 핵심적인 경쟁도구이기 때문에 하이테크 산업에서 기술경영(MOT:management of technology)은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 반드시 도입해야하는 중요한 경영수단이 되고 있다. 기술경영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면 기술컨설팅 기관인 SRI(Stanford Research Institute)는 기술경영을 “기술투자 비용에 대한 최대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우리나라 기경학회에서 발간되고 있는 기술혁신연구(1999년)에 따르면 기술경영을 “공학과 경영을 통합·연결하여 기술중심 기업의 성공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업에서 기술의 중요성을 실감한 후 기술경영을 도입해야한다고 여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원인을 놓고 여러 가지 논란이 되고 있지만, 경쟁사보다 더 나은 제품을 빨리 출시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품질보다는 단기간의 수익성에 초점을 맞춘 결과라는 자체분석을 보면서 기업경영에서 기술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최근 기업 등 다양한 조직들은 경영에서 기술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자 핵심 역량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기 시작했으며, 실제 하이테크 첨단산업에서 기술은 기업의 핵심적인 경쟁도구이기 때문에 하이테크 산업에서 기술경영(MOT:management of technology)은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 반드시 도입해야하는 중요한 경영수단이 되고 있다. 기술경영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면 기술컨설팅 기관인 SRI(Stanford Research Institute)는 기술경영을 “기술투자 비용에 대한 최대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우리나라 기경학회에서 발간되고 있는 기술혁신연구(1999년)에 따르면 기술경영을 “공학과 경영을 통합·연결하여 기술중심 기업의 성공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K. Kim, "A Study on Effect of Total Quality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in Korea Manufacturing," Korean Corporation Managrment Review, Vol. 16, pp. 39-57, 2002. 

  2. K. S. Kim, "Causal Links from Innovative Activities to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v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7, No. 1, pp. 146-173, 2014. 

  3. D. H. Kim, J. R. Chio, "A Study on the Strategic Selection of Competitive Prior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Product Innovation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4, No. 1, pp. 139-156, 2011. 

  4. H. J. Kim, H. G. Chang, "A Study on the Effects of Total Quality Management Core Factor on Business Performanc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ol. 1, No. 2, pp. 71-77, 2005. 

  5. C. U. Kim., "Process Innovation and Selection of Organizational Structure : Modeling and Simulation of Innovation Competition Process,"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ol. 5, No. 1, pp. 73-97, 2004. 

  6. S. M. Park, J. H. Seo, "A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of Technology Management,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Barriers to Innovations in SMEs,"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Vol. 34, No. 2, pp. 81-99, 2012. 

  7. J. O. Park, T. K. Park, "Effects of Production Innovation and Managerial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n SMEs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27, No. 2, pp. 27-47, 2012. 

  8. Y. T. Park, "Technology and Management for Engineers," Life and Power Press, 2005. 

  9. B. J. Min, K. H.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Team Empowerment of Hotel Organization on the Non-Financial Job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14, p. 115, 2004. 

  10. Y. S. Shin, K. S. Ha,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on the Suc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9, pp. 97-110, 2012. 

  11. S. H. Oh, S. Y. Han, S. J. Bae, "How does product innovation enhance firmperformance? : the moderating role of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6, No. 4, pp. 1006-1031, 2013. 

  12. S. K. Jang, Y. S. Shin and H. H. Jung,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nd FirmPerformance,"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8, No. 1, pp, 105-132, 2009. 

  13. C. K, Wang, B. L. Ang, "Determinants of Venture Performance in Singapore,"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 42, No. 4, pp, 347-363, 2004. 

  14. D. H. Han, "A Study of Q.M System Requirement Factors & Non financial Performance Focus on the manufacture company and non-manufacture company on ISO certification," The e-business studies, Vol. 14, No. 5, pp. 287-304, 2013. 

  15. N. W. Hwang, J. M. Lee, Y. B. Kim, "Effect of Technological Collaboration on Firm's Product Innovation Output: The Moderating Roles of Appropriability,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22, No. 1, pp. 59-87, 2014. 

  16. Adler, P. S, Shenbar, A., "Adapting Your Technological Base: The Organizational Challenge," Sloan Management Review, Vol, 25, pp, 25-37, 1990. 

  17. Benedetto, C, D, "Identifying The Key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Laun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 16, No. 2, pp, 36-49, 1999. 

  18. Camison, C. Villar-Lopez, A.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an Enabler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67, No. 1, pp, 2891-2902, 2014. 

  19. Freel, Mark S, "Do Small Innovating Firms Outperform Non-innovators?," Small Business Economics, Vol, 14, No. 3, pp, 195-210, 2000. 

  20. Langerak, F.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on Positional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Vol, 11, No. 2, pp, 93-115, 2003. 

  21. Schumpeter, J,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ge, NA. 

  22. Van Wyk, R, "Technology Analysis: A Foundation for Technological Expertise." Handbook of Technology Management, pp, 5-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