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택트렌즈 재질 및 침착 단백질에 따른 균 흡착 정도와 다목적용액의 살균력 비교
Comparisons of Adherence Level of Micro-organisms According to Contact Lens Materials and Protein Deposition and Disinfection Efficacy of Multipurpose Solution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1, 2015년, pp.35 - 42  

성형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콘택트렌즈 재질 및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종류에 따른 균의 흡착력을 비교하고 관리용품의 살균력 차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FDA 평가기준 및 방법인 Disinfection Efficacy Testing의 Part 2. Regimen Procedure For Disinfecting Regimens에 따라 균 흡착 및 관리용품의 살균력 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포도상구균을 제외한 녹농균, 세라티아균, 칸디다균은 etafilcon A 렌즈에 더 많이 흡착되었으며, 4종의 다목적용액은 칸디다균을 제외한 모든 균에서 거의 완벽한 살균력을 나타냈다. 눈물 단백질을 침착시킨 렌즈에서 세라티아를 제외한 모든 균은 알부민 침착 렌즈에서의 흡착이 많았으며, 다목적용액의 살균력은 라이소자임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보다 알부민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의 종류에 따라 다목적 용액의 살균력이 달랐다. 결론: 균의 종류, 콘택트렌즈 재질, 침착된 눈물 단백질의 종류가 콘택트렌즈에 흡착되는 균의 양에 영향을 주며, 눈물 단백질의 침착은 다목적용액에 의한 살균력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살균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의해 콘택트렌즈 위생상태가 달라지며 부작용 발생 여부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adherence level of microorganisms according to contact lens materials and protein deposition and to evaluate disinfection efficacy of multipurpose solution. Methods: The evaluations of micro-organisms' adherence and disinfection ef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FDA 평가기준 및 방법에서 Disinfection Efficacy Testing의 Part 2. Regimen Procedure For Disinfecting Regimens[6]에 따라 렌즈에 침착된 눈물 단백질에 따라 균 흡착이 얼마나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고 시판되고 있는 다목적용액의 살균력이 눈물 단백질에 의해 증가된 균을 적절하게 살균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렌즈 재질 및 균의 종류에 따른 균 흡착력 차이를 알아보고 눈물 단백질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에 따른 다목적용액의 살균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른 균의 흡착정도 및 다목적용액의 살균력을 확인하는 연구에서는 재질이나 균의 종류에 따라 균의 흡착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Giraldez 등[8]은 HEMA 재질의 omafilcon A, ocufilcon B, nelfilcon A 렌즈와 실리콘하이드로겔 재질인 senofilcon A 및 comfilcon A 렌즈에서의 표피포도상구균 흡착력을 비교했을 때 소수성이 강한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서의 균 흡착 정도가 HEMA 재질로 좀 더 친수성 표면을 가진 렌즈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포도상 구균 뿐만아니라 녹농균, 세라티아균, 칸디다균이 친수성이며 이온성 표면을 가진 etafilcon A 렌즈와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의 lotrafilcon A 렌즈에서의 흡착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균의 종류에 따라 렌즈 표면에 흡착하는 정도가 상이함을 밝혔다.
  • 이렇게 렌즈 재질에 따라 달라지는 균의 흡착에 대해 다목적용액이 허용 가능한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았다. 녹농균의 경우 B제품, R제품, P제품, O제품의 4가지 다목적용액은 모두 etafilcon A와 lotrafilcon A 재질의 두 렌즈에서 완벽한 살균력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 사용 시 단백질 침전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시력교정용구로서 콘택트렌즈는 안경과는 달리 각막의 생리작용에 상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콘택트렌즈가 각막에서 부착되어 있는 동안 눈물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이나 지방이 렌즈에 침착되며 이 중 단백질 침전물은 심한 경우 결막유두, 상안검 결막 충혈 및 윤부 충혈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다.[1] 또한, 콘택트렌즈에 형성된 단백질 침전물은 콘택트렌즈의 수분을 제거하여 습윤성을 저하시키고 착용감 저하, 시력 저하, 염증 질환, 세균 감염, 렌즈 변색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미생물 감염의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2-4] 콘택트렌즈에는 다양한 미생물의 흡착과 균체 형성이 되며 미생물 흡착은 콘택트렌즈 부작용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콘택트렌즈 사용 시 미생물 흡착으로 인한 감염 증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2-4] 콘택트렌즈에는 다양한 미생물의 흡착과 균체 형성이 되며 미생물 흡착은 콘택트렌즈 부작용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미생물 감염 시에는 통증, 단안성 눈곱, 눈부심, 넓은 부위의 침윤, 상피의 파괴와 전안방의 반응 등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응급처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최악의 경우 시력이 일부 또는 완전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콘택트렌즈 세척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목적용액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목적용액은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서 빠르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용액 중 현재 시판되고 있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관리 용품에서 살균을 위해서는 주로 PHMB(polyhexamethylene biguanide)가 사용되며 그 외에도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포비돈(povidone), 알독스(aldox), 폴리콰테리움(polyquaternium-1) 등이 사용되고 있다. 살균제 성분이 포함된 관리용액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의 관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chaud L, Giasson CJ. Overwear of contact lenses: increased severity of clinical signs as a function of protein adsorption. Optom Vis Sci. 2002;79(3):184-192. 

  2. Ma KJ, Lee KJ. Contact lens, 1st Ed. Seoul: Daehakseolim, 1995;82-322. 

  3. Brennan NA, Coles MC. Deposits and symptomatology with soft contact lens wear. Int Contact Lens Clin. 2000;27(3):75-100. 

  4. Cheng L, Muller SJ, Radke CJ. Wettability of siliconehydrogel contact lenses in the presence of tear-film components. Curr Eye Res. 2004;28(2):93-108. 

  5. Nathan E. Contact lens complications, 2nd Ed. Seoul: Elsevier Korea, 2008;236-249. 

  6.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ance for Industry-Premarket notification(510(k)) guidance document for contact lens care product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7. 

  7.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51;193(1):265-275. 

  8. Giraldez MJ, Resua CG, Lira M, Oliveira ME, Magarios B, Toranzo AE et al. Contact lens hydrophobicity and roughness effects on bacterial adhesion. Optom Vis Sci. 2010; 87(6):426-431. 

  9. Zhang S, Borazjani RN, Salamone JC, Ahearn DG, Crow SA, Pierce GE. In vitro deposition of lysozyme on etafilcon A and balafilcon A hydrogel contact lenses: Effects on adhesion and survival of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Cont Lens Anterior Eye. 2005; 28(3):113-119. 

  10. Borazjani RN, Levy B, Ahearn DG. Relative primary adhes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Serratia marcescens and Staphylococcus aureus to HEMA-type contact lenses and an extended wear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of high oxygen permeability. Cont Lens Anterior Eye. 2004;27(1):3-8. 

  11. Tran VB, Fleiszig SM, Evans DJ, Radke CJ. Dynamics of flagellum and pilus mediated associ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with contact lens surfaces. Appl Environ Microbiol. 2011;77(11):3644-3652. 

  12. Bruinsma, GM, van der Mei HC, Busscher HJ. Bacterial adhesion to surface hydrophilic and hydrophobic contact lenses. Biomaterials. 2001;22(24):3217-3224. 

  13. Giraldez MJ, Serra C, Lira M, Real Oliveira ME, Yebra-Pimentel E. Soft contact lens surface profile by atomic force microscopy. Optom Vis Sci. 2010;87(7):475-481. 

  14. Imamura Y, Chandra J, Mukherjee PK, Latif AA, Szczotka-Flynn LB, Pearlman E et al. Fusarium and Candida albicans biofilms on soft contact lenses: model development, influence of lens type, and susceptibility to lens care solution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8;52(1):171-182. 

  15. Subbaraman LN, Borazjani R, Zhu H, Zhao Z, Jones L, Willcox MD. Influence of protein deposition on bacterial adhesion to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2011;88(8):959-966. 

  16. Berman ER. Biochemistry of the eye, New York: Springer, 1991;79-80. 

  17. Osserman EF Canfield RE, Beychok S. Lysozyme, New York: Academic Press, 1974;169-186. 

  18. Hambleton P. The sensitivity of gram-negative bacteria, recovered from aerosols, to lysozyme and other hydrolytic enzymes. J Gen Microbiol. 1970;61(2):197-204. 

  19. Kravchenko NA, Kagramanova KA, Kznetzow YD. Effect of salt and other factors on lysozyme activity. Biokhimiia. 1967;32(3):618-623. 

  20. Chang KY, Carr CW. Studies on the struture and function of lysozyme: The effect of pH and cation concentration on lysozyme activity. Biochim Biophys Acta. 1971;229(2): 496-503. 

  21. Koh EG, Chae SC, Park SK, Kim DS, Lee JB. The Cytotoxicity and effect on the experimental rabbit cornea of soft contact lens multi-purpose solution(MPS). Korean J Electron Microscopy. 2006;36(3):141-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