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색과 적색의 혼합LED광 처리가 인삼의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ue and Red LEDs Irradi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Panax ginseng C. A. Meye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1, 2015년, pp.70 - 74  

성봉재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김현호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조진웅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D 청색광적색광을 2년근 인삼에 대하여 혼합 처리하여 생육 반응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인삼의 지상부의 엽면적과 건물중은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이 1:1 처리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인삼 뿌리의 건물중은 1:3 비율이 가장 컸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지상부은 청색광과 적색광 비율이 1:1에서 가장 높았지만 인삼 뿌리의 함량은 1:1 비율이 가장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LED plant factory farm is an alternative way to grow crops regardless of weather, season, and blight in such times of climate change. In recent years, it is a currently active and vibrant research field. The industry, which ranges from leaf vegetables to high value products, is expanding.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LED 청·적색광을 혼합 조사하여 2년근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식물공장에서 인삼을 재배할 때 적절한 청·적색 LED 혼합비율을 찾아 친환경적이며 고품질의 인삼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공장은 무엇인가? 식물공장은 시설 내에 광, 온도, 습도, CO₂농도 등 환경 조건을 인공적으로 제어 하여 계절과 병해충, 장소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공산품처럼 계획적으로 연속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30년 정도 늦은 1990년대부터 도입하기 시작하여 1993년 양액재배에 의한 시설채소의 육모공장의 상업화, 농촌진흥청 고령농업 연구 센터에서 부분제어형 식물 공장 시스템으로 무병주 씨감자를 생산하는 등으로 발전되어 왔다.
인삼 잎에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을 때는 어떤 조건일 때 인가?? 진세노사이드를 성분별로 살펴보면 대체 적으로 BL과 RL 비율이 1:1에서 많았는데 특히 Rd와 Re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Rb1 함량 역시 1:1 비율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분은 청색광 비율이 상대 적으로 클 경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인삼의 뿌리 수량이 낮아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 2014; MAFRA, 2014). 또한 인삼은 해가림으로 재배되고 있기 때문에 광 부족으로 동화작용이 부진 하여 근부의 비대가 저조해지며 광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엽록소의 분해로 근부의 비대가 저조하여 인삼의 뿌리 수량이 낮아지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Cheon et al.,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eon, S. K., S. K. Mok, S. S. Lee, and D. Y. Shin. 1991.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ginseng plants. Korean J. Giseng Sci. 15 : 21-30. 

  2. Fournier, A. R., J. T. A. Proctor, L. Gauthier, S. Khanizadeh, A. Belanger, A. Gosselin, and M. Dorais. 2003. Understory light and root ginsenosides in forest-grown Panax quinquefolius. Phytochemistry. 3 : 777-782. 

  3. Kim, H. R. and Y. H. You. 2013. Effects of red, blue, white, and far-red LED source on growth responses of Wasabia japonica seedlings in plant factory. Kor. J. Hort. Sci. Technol. 31(4) : 415-422. 

  4. Kim, J. H. 2010, Trend and direction for plant factory system. J. Plant Biotech. 37 : 442-455. 

  5. Kim, M. J., S. K. Lee, J. S. Han, S. E. Lee, and J. E. Choi. 2009. Effect of Blue and Red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 Crop Sci. 17 : 187-191. 

  6. Kim, W. B., H. J. Cho, J. G. Lee, J. W. Choi, J. G. Kim, and M. H. Park. 2013. Baby Leaves Growth, Minerals,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Brassica campestris L. According to LED Red/Blue Light. Kor. J. Hort. Sci. Technol. 31(S I) : 60-61. 

  7. Kim, Y. H. 1999. Plant growth and morphogenesis control in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as artificial light source.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light intensity of LEDs. J. Kor. Soc. Agri. Mach. 24 : 115-122. 

  8. Kim, M. J., X. Li, J. S. Han, S. E. Lee, and J. E. Choi. 2009. Effect of Blue and Red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3) : 187-191. 

  9. Lee, J. C., J. H. Choi, S. K. Cheon, C. H. Lee, and J. S. Jo. 1983. Studies on the optimal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Panax ginseng. II.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contents of saponin and free sugar in the inseng leaf. Korean J. Ginseng Res. 29(s) : 3-18. 

  10. Lee, S. S., John T. A. Proctor, and K. T. Choi. 1999.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photosynthesis and leaf bleaching in Panax species. J. Ginseng Res. 23 : 1-7. 

  11. Lee, S. W., G. S. Kim, N. J. Lee, D. Y. Hyun, C. G. Park, H. G. Park, and S. W. Cha. 2007. Effects of blue and yellow polyethylene shading ne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in panax inseng C.A. Meyer. Korean J. Crop Sci. 15(3) : 194-198.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4. Statistical source book of ginseng 201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p. 2-3. 

  13. Seong, B. J., S. H. Han, S. I. Kim, G. H. Kim, K. S. Lee, H. H. Kim, J. Y. Won, J. D. S, and J. W. Cho. 2014.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by green manure crops. Korean J. Crop Sci. 59 : 364-368. 

  14. Tanaka, M. 1999. the use of light-emiting didoes(LED) as a novel light source for micropropagation. Proc. of The Korean-Japan joint Symp. on Transplant production in Horticultural Plant 1-2 nov. Chungbuk Nat'l Univ., pp. 4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