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의 발아 전 침종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Germination by Treatment of Soaking on Germination of Soybea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1, 2015년, pp.123 - 137  

조성우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  김태선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권수정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철원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홍식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우선희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콩 품종 90개에 대하여 종자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발아능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수량과 침종일수에 따른 콩 종자의 발아력은 침수량이 증가하고, 침종일수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는데, 침수량 90ml와 3일간 침종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종자의 수분흡수는 침종 후 6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부터는 줄어들었는데, 나물콩의 수분 흡수가 가장 낮았고, 밥밑콩의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량은 침종 후 3시간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은 침종 3시간 후부터 용존산소량이 가장 낮았으나 24시간이후에는 다른 용도의 콩에 비해 높아졌다. 전기전도율과 TDS는 침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장류콩, 밥밑콩이 높았으며 종자의 크기가 작은 나물콩이 가장 낮았다. 침종 후 발아율이 높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장수콩, 나물콩에서는 소백나물콩, 밥밑콩에서는 선흑콩, 그리고 풋콩 및 올콩에서는 선록콩이었으며, 발아율이 낮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익산과 송학콩, 나물콩에서는 방사콩, 밥밑콩에서는 진율콩, 풋콩 및 올콩에서는 신록콩이었다. 전기전도율과 TDS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았고, 높은 품종은 발아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종자의 수분흡수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아 수분흡수와 발아율은 부의 상관이 있었다. 종자의 무게가 높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가 높았으며, 종자의 무게가 낮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도 낮아 정의 상관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germination soaking on germination in 90 Korean soybean varieties and identification of protein in seeds of 7 soybean varieties. The results obtained that germination rate of soybean seeds was decreased as amount of soaking water and soa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콩의 발아 전 침종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콩 발아단계에서의 대사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의 생육은 무엇에 좌우되는가? 식물의 생육은 그 식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적 형질 외에도 환경조건에 의해 좌우된다. 많은 환경인자들 중에서도 수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물 분자가 용매로 작용하여 식물의 생장, 에너지 전이와 저장 등에 필요한 물질을 용해시키고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침종 시간에 따른 종자 무게의 변화는 어떠한가? 1과 같다. 종자 무게는 침종 20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고, 1시간 후부터 6시간 후 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의 흡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4시간 전후에는 종자의 무게가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물의 흡수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종자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이는 Park and Baek (2000)이 침종 후 6시간까지는 수분의 흡수가 급속히 진행되고,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진행된다고 보고한 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종자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발아능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콩 품종 90개에 대하여 종자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발아능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수량과 침종일수에 따른 콩 종자의 발아력은 침수량이 증가하고, 침종일수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는데, 침수량 90ml와 3일간 침종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종자의 수분흡수는 침종 후 6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부터는 줄어들었는데, 나물콩의 수분 흡수가 가장 낮았고, 밥밑콩의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량은 침종 후 3시간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은 침종 3시간 후부터 용존산소량이 가장 낮았으나 24시간이후에는 다른 용도의 콩에 비해 높아졌다. 전기전도율과 TDS는 침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장류콩, 밥밑콩이 높았으며 종자의 크기가 작은 나물콩이 가장 낮았다. 침종 후 발아율이 높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장수콩, 나물콩에서는 소백나물콩, 밥밑콩에서는 선흑콩, 그리고 풋콩 및 올콩에서는 선록콩이었으며, 발아율이 낮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익산과 송학콩, 나물콩에서는 방사콩, 밥밑콩에서는 진율콩, 풋콩 및 올콩에서는 신록콩이었다. 전기전도율과 TDS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았고, 높은 품종은 발아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종자의 수분흡수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아 수분흡수와 발아율은 부의 상관이 있었다. 종자의 무게가 높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가 높았으며, 종자의 무게가 낮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도 낮아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uce, S., P. C. Andersen, and R. C. Ploetz. 1992. Responses of fruit crops to flooding. Horticultural Reviews. 13 : 257-313. 

  2. Edward Jr. C. J. and E. E. Hartwig. 1971. Effects of seed size upon rate of germination in soybeans. Agron. J. 63 : 429-450. 

  3. Garside, A. L. 1987. Irrigation management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in a semi-arid tropical environment. Ph.D. Thesis. Univ. of Queensland. pp. 299. 

  4. Green, D. E. and E. L. Pinnell. 1968. Inheritance of soybean seed quality. I. Heritability of laboratory germination and field emergence. Crop Sci. 8 : 5-11. 

  5. Heydecker, W., P. I. Orphanous, and R. S. Chetram. 1969. The importance of air supply during seed germination. Proc. Int. Seed Test. Ass. 34 : 297-403. 

  6. Hou, F. F. and F. S. Thseng. 1991. Studies on the flooding tolerance of soybean seed: varietal differences. Euphytica. 57(2) : 169-173. 

  7. Hou, F. F., F. S. Thseng, S. T. Wu, and K. Takeda. 1995. Varietal differences and diallel analysis of pre-germination flooding tolerance in soybean seed. Bull. Res. Inst. Bioresour. Okayama Univ. 3 : 35-41. 

  8. Hunter, J. R. and A. E. Erickson. 1952. Relation of seed germination to soil moisture tension. Agron. J. 44 : 107-109. 

  9. Kim, Y. W. and J. I. Lee. 1981. Relationship between seed leakage solutes during imbibition and germinability on soybeans. Korean J. Breed. 13(2) : 115-119. 

  10. Langan, T. D., J. W. Pendleton, and E. S. Oplinger. 1986. Peroxide coated seed emergence in water-saturated soil. Agron. J. 78 : 769-772. 

  11. Lemke-Keyes, C. A. and M. M. Sachs. 1989. Anaerobic tolerant null: a mutant that allows Adh1 nulls to survive anaerobic treatment. The Journal of Heredity. 80(4) : 316-319. 

  12. Nakayama, N., S. Hashimoto, S. Shimada, M. Takahashi, Y. H. Kim, T. Oya, and J. Arihara. 2004. The effect of flooding stress at the germination stage on the growth of soybean in relation to initial seed moisture content. Jpn. J. Crop Sci. 73(3) : 323-329. 

  13. Nathanson, K., R. J. Lawn, P. L. M. De Jabrun, and D. E. Byth. 1984.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 accumulation by soybean in saturated soil culture. Field Crops Res. 8 : 73-92. 

  14. Park, G. H. and I. Y. Baek. 2000. Effect of ozone water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rout. Korea Soybean Digest. 17(2) : 20-26. 

  15. Park, K. Y., B. R. Buttery, C. S. Tan, and S. D. Kim. 1996. Relationship between seed coat characteristics and water uptake, electrical conductivity after soaking in soybean genotypes. Korean J. Breed. 28(1) : 49-55. 

  16. Parrish, D. J. and A. C. Leopold. 1977. Transient changes during soybean imbibition. Plant Physio. 59 : 1111-1115. 

  17. Pollock, B. M. and E. E. Ross. 1972. Seed and seedling vigour. In: Kozlowski (Editor), Seed Biology I. Academic Press, New York and London. pp. 313-387. 

  18. Purcell, L. C., C. A. King, and R. A. Ball. 2000. Soybean cultivar differences in ureides and the relationship to drought tolerant nitrogen fixation and manganese nutrition. Crop Sci. 40 : 1062-1070. 

  19. Sung, J. M. 1995. The effect of sub optimal $O_2$ on seedling emergense of soybean seeds of different seed size. Seed Sci. Technol. 23 : 312-317. 

  20. Troedson, R. J., R. J. Lawn, D. E. Byth, and G. L. Wilson. 1989a. Response of field-grown soybean to saturated soil culture. 1. Patterns of biomass and nitrogen accumulation. Field Crops Res. 21 : 171-187. 

  21. Troedson, R. J., R. J. Lawn, D. E. Byth, and G. L. Wilson. 1989b. Response of field-grown soybean to saturated soil culture. 2. Effect of treatments to alter photosynthesis and leaf nitrogen supply. Field Crops Res. 21 : 189-2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