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이온 중합을 이용한 폴리알파올레핀의 미세구조 조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Microstructures of Polyalphaolefins via Cationic Polymeriza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9 no.2, 2015년, pp.346 - 352  

고영수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권완섭 (SK 이노베이션) ,  노명한 (SK 이노베이션) ,  임진형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알파올레핀(PAO)은 유동점, 점도지수, 열/산화 안정성이 광유 기반의 윤활유보다 우수한 합성 윤활유이다. 본 연구에서는 1-펜텐, 1-헥센, 1-옥텐, 및 1-도데센을 단량체로 사용하고 세가지 종류의 알루미늄계 루이스 산촉매양이온 중합을 수행하여 다양한 PAO를 합성하였다. PAO 중합 성능과 제조된 PAO의 분자량, 동점도, 유동점과 점도지수를 다양한 중합 조건에서 조절할 수 있었다. 알킬 알루미늄 할라이드계 촉매가 기존의 $AlCl_3$계 촉매에 비하여 촉매 성능이 우수하였다. PAO의 미세구조를 비행-시간형 질량분석기(TOF-MS) 해석을 통하여 PAO의 미세구조와 윤활유로의 성능(점도지수, 유동점)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PAO의 점도지수는 알파 올레핀의 탄소수 증가에 따라 상승하여, PAO의 분지길이가 점도지수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alphaolefin (PAO) is a synthetic lubricant that is superior to mineral-based lubricants in the terms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ow pour point, high viscosity index (VI), and thermal and oxidation stability. Several kinds of PAOs have been synthesized by using 1-pentene, 1-...

주제어

참고문헌 (19)

  1. R. Benda, J. Bullen, and A. Polmer, J. Syn. Lub., 13, 41 (1996). 

  2. W. R. Murphy, D. A. Blain, A. S. Galiano-Roth, and P. A. Galvin, J. Syn. Lub., 18, 301 (2002). 

  3. A. J. DiMaio, J. R. Baranski, J. G. Bludworth, and D. J. Gillis, U.S. Patent 6,858,767 (2005). 

  4. S. H. Back, B. I. Kim, and Y. J. Cho, Korean Patent 10-2001-0084965 (2001). 

  5. M. Clarembeau, U.S. Patent 6,646,174 (2003). 

  6. J. A. Brennan and C. Hill, U.S. Patent 3,382,291 (1968). 

  7. R. L. Shubkin and O. Park, U.S. Patent 3,781,128 (1973). 

  8. B. L. Cupples, W. J. Heilman, and N. Kresge, U.S. Patent 4,045,508 (1977). 

  9. F. C. Loveless, U.S. Patent 4,041,098 (1977). 

  10. T. Kitamura and M. Tamura, U.S. Patent 4,214,111 (1980). 

  11. K. D. Hope, D. W. Twomey, M. S. Driver, D. A. Sterm, J. B. Collins, and T. V. Harris, U.S. Patent 7,259,284 (2007). 

  12. P. Surana, N. Yang, and P. J. Nandapurkar, U.S. Patent 7,550,640 (2009). 

  13. A. Onopchenko, B. L. Cupples, and A. N. Kresge, Ind. Eng. Chem. Prod. Res., 22, 182 (1983). 

  14. S. S. Scheuermann, S. Eibl, and P. Bartl, Lub. Sci., 23, 221 (2011). 

  15. R. L. Shubkin, M. S. Baylerian, and A. R. Maler, Ind. Eng. Chem. Prod. Res., 19, 15 (1980). 

  16. J. C. Gee, B. L. Small, and K. D. Hope, J. Phys. Org. Chem., 25, 1409 (2012). 

  17. C. Janiak and F. Blank, Macromol. Symp., 236, 14 (2006). 

  18. V. Grumel, R. Brull, H. Pasch, H. G. Raubenheimer, R. Sanderson, and U. M. Wahner, Macromol. Symp., 286, 480 (2001). 

  19. J. S. Yoon, D. H. Lee, E. S. Park, I. M. Lee, D. K. Park, and S. O. Jung, J. Appl. Polym. Sci., 75, 92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