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 자동 및 전문가 평가 -
Web Accessibility of Healthcare Websit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Automated and Expert Evaluation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4, 2015년, pp.283 - 304  

이용정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을 한국형 지침에 따라 평가하여 장애인이나 노령자들과 같은 정보이용 소외집단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27개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의 접근성을 자동평가 및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두 단계의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립병원이나 국립재활원 등과 같은 의료기관들은 웹 접근성 오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보건사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처, 그리고, 한국의료분쟁 조정중재원 등은 웹 접근성 준수율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전문가 평가를 실시한 결과, 자동평가에서는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던 적절한 대체텍스트의 제공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가 표준에 미치지 않아 전맹자나 저시력자들의 웹 접근성을 지원하기 힘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외에도 기본언어표시와 마크업 오류 등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어렵게 하는 문제들이 나타났고, 반복영역 건너뛰기, 콘텐츠 선형화, 그리고 키보드 사용보장을 준수하지 않는 문제들이 발견되어 시각장애뿐 아니라 인지장애 내지 운동장애가 있는 이용자에게는 웹 접근성을 심각하게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로서는 처음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을 한국형 지침에 따라 평가했다. 또한, 이러한 웹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자동 평가로 측정하기 어려운 웹 접근성의 정도와 상세한 내용 분석을 포괄하는 전문가 평가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웹 접근성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eb accessibility issues of healthcare website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by evaluating these websites' accessi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This study conducted both automated and expert tes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들이 한국형 표준 지침을 어느 정도 준수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대로 준수하지 않을 경우, 그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을 방해하는 문제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먼저, 위 기관들의 전체 웹 사이트를 자동 평가한 결과.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을 자동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측정하는 것이며, 논의하게 될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그러한 연구의 부재를 보완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을 한국형 지침에 따라 평가하되, 자동평가뿐 아니라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여, 장애인이나 노령자들과 같은 정보이용 소외집단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들은 한국형 표준 지침을 어느 정도 준수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접근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제적으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불평등한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1990년대 중반이후 웹 접근성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Jaeger 2006). 국제적으로 볼 때,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WCAG) 1.0과 2.0(W3C 1999, 2008) 같은 웹 접근성의 표준이나 지침들이 발전되어 왔다(Brobst 2012). 특히 영국이나 미국의 경우 정부적 차원에서 지침(예, Section 508)을 개발하여 법제화하고 정부의 지원을 받는 기관이나 조직들에 대한 규제 및 권고를 시행하고 있다(Disability Rights Commission: DRC 2004; Jaeger 2008).
웹 접근성이란 무엇인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1994-2012)에 따르면, 웹 접근성이란 일반인들 중 특히 장애인이나 노령자와 같이 시각, 청각 및 움직임 등 신체적 불편함이 있는 자들도 웹에 있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은 물론, 웹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웹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 접근의 평등권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 누구나 웹에 있는 건강정보에 차별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의 쟁점사안이라 할 수 있다.
웹 정보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정보 접근의 평등권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 누구나 웹에 있는 건강정보에 차별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의 쟁점사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웹 정보는 인쇄 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와는 달리 정보 기술(IT)의 지원이 없이는 육체적 문제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다(Edwards 2008). 즉, 장애인이나 노령자와 같은 정보 소외 집단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건강 상의 문제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Parmanto 2010) 일반인에 비해 웹에 있는 건강 정보를 동일한 수준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또한 그에 대한 혜택에서 소외되어 왔다(Farrelly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영무, 홍순구, 김동완, 차윤숙. 2012.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IT서비스학회지, 11(1): 1-14.(Kang, Youngmoo, Soongoo Hong, Dongwan Kim, and Yoonsook Cha. 2012. "Analyses of factorsaffecting accessible websit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11(1):1-14.) 

  2. 김황용. 2013. 장애인과 인터넷: 웹 접근성 평가 도구 비교. 디지털정책연구, 11(10): 373-378.(Kim, Hwangyong. 2013. "Handicapped persons and Internet: Comparing Web accessibilityevaluation tool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0): 373-378.) 

  3. 노영희. 2013. CHI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65-291.(Noh, Younghee. 2013. "A Study on constructing collaborative network systems for vitalizingCHI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265-291.) 

  4. 다음. 2014. Web standard Darum [online]. [cited 2014.12.20]. .(Daum. 2014. Web standard Darum [online]. [cited 2014.12.20]. .) 

  5. 류영일, 하성필, 김혜일, 성영한. 2014. 장애인차별금지법 대응을 위한 웹접근성과 품질인증. 의왕시: 에이콘출판.(Ryu, Yongil, Seongphil Ha, Hyeil Kim, and Younghan Sung. 2014. Web Accessibility andQuality Verification to Comply with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Uiwang: Acon Publisng.) 

  6. 문태은, 문형남. 2009. 국내 중앙행정기관 웹 사이트의 접근성과 사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2(3): 1511-1535.(Moon, Tae-Eun and Hyung-Nam Moon.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methods of web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Korea government department websites."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3): 1511-1535.) 

  7. 보건복지부. 2014. [cited 2014.12.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4.12.30]. .) 

  8. 박옥남. 2014.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415-439.(Park, Ok Nam.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obile Web accessibility of public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415-439.) 

  9. 서은경, 김희정. 2008.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45-364.(Seo, Eun-Gyoung and Hee-Jung Kim.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innation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2(3): 345-364.) 

  10. 신재한, 권택환. 2011.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지적장애연구, 13(3): 205-225.(Shin, Jae-Han and Taek-Hwan Kwon. 2011. "Types of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homeimprovement, and an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navigation." Journal of IntellectualDisabilities, 13(3): 205-225.) 

  11. 이원경, 서은경. 2013.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설계. 정보관리학회지, 30(1): 193-219.(Lee, Won-Kyung and Eun-Gyoung Seo. 2013.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of disabled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193-219.) 

  12. 이윤희. 2009. 주요국의 웹 접근성 추진동향 및 시사점. Chief Information Officer Report, 16: 1-35.(Lee, Yoonhee. 2009. "Web accessibility trends and insights." Chief Information Officer Report,16: 1-35.) 

  13. 이재응. 2013. 2012 신(新) 디지털 격차 현황 분석 및 제언.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연구원.(Lee, Jaeoong. 2013. An Analysis and Suggestions of New Digital Disparity 2012. Seoul: NationalInformation Society Agency.) 

  14. 이희연, 채수정. 2013.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5(4): 57-76.(Lee, Hee Yeon and Soo Jung Chae. 2013. "A Literature Review on the Web-Accessibility for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Needs, 15(4): 57-76.) 

  15. 임정효, 홍현진. 2015.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1): 343-360.(Lim, Junghyo and Hyunjin Hong. 2015.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obile Web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26(1): 343-360.) 

  16. 웹 접근성 연구소. 2009.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online]. [cited 2014.12.20]. .(Web Accessibility Laboratory. 2009. The 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2.0[online]. [cited 2014.12.20]. .) 

  17. 웹 접근성 연구소. 2014. K-WHA 4.0 [online]. [cited 2014.12.20]. .(Web Accessibility Laboratory. 2014. K-WHA 4.0 [online]. [cited 2014.12.20]. .) 

  18. 장영범. 2010. 실버 세대를 위한 웹사이트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웹 접근성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3): 479-487.(Jang, Young Bum. 2010. "A Study on Design Strategy of Website for Seniors - Focused onWeb Accessibility."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and Culture, 16(3): 479-487.) 

  19. 조윤희. 2009.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35-354.(Cho, Yoon-Hee. 2009. "A Study o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3(3): 335-354.) 

  20. 주헌식. 2009. 공공기관 및 IT 대기업의 웹 접근성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4(10): 175-187.(Joo, Heon-Sik. 2009.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of public agencies and IT companies." Journal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4(10): 175-187.) 

  2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웹 접근성 연구소 [online]. [cited 2015.2.2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Web Accessibility Laboratory [online]. [cited2015.2.20]. .) 

  22. 홍순구, 박지용, 이대형. 2006. 한국과 미국 정부기관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한 자동화 평가 도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1(1): 38-48.(Hong, Soon-goo, Ji-yong Park, and Dae-hyung Lee. 2006. "A Study on the Algorithms for Web Accessibility Evaluations."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11(1):38-48.) 

  23. Abu-Doush, I., A. Bany-Mohammed, E. Ali, and M. A. Al-Betar. 2013. "Towards more accessible e-government in Jordan: An evaluation study of visually impaired users and Web developers."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2(3): 273-293. 

  24. Andres, J. D., P. Lorca, and A. B. Martinez. 2009. "Economic and financial factors for the adoption and visibility effects of Web accessibility: The case of European bank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9): 1769-1780. 

  25. Brobst, J. 2009. "Evaluating the accessibility of Florida's public library home pages." Libri, 59(2): 88-103. 

  26. Brobst, J. 2012. United States federal health care websites: A multimethod evaluation of website accessibilit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h. D. diss.,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7. Brophy, P. and J. Craven. 2007. "Web accessibility." Library Trends, 55(4): 950-972. 

  28. Disability Rights Commission. 2004. The Web: Access and Inclusion for Disabled People. London: The Stationary Office [online]. [cited 2014.10.30]. . 

  29. Edwards, A. D. 2008. Assistive technologies. In Web Accessibility (pp. 142-162). London: Springer. 

  30. Farrelly, G. 2011. "Practitioner barriers to diffusion and implementation of web accessibility." Technology and Disability, 23(4): 223-232. 

  31. Fox, S. 2008. "The Engaged e-patient Population." Washington, DC: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32. Friedman, M. G. and D. N. Bryen. 2007. "Web accessibility design recommendations for people with cognitive disabilities." Technology and Disability, 19(4): 205-212. 

  33. Fulton, C. 2011. "Web accessibility, libraries, and the law."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0(1): 34. 

  34. Genuis, S. K. 2012. "Constructing 'sense' from evolving health information: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seeking and sense making across sourc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3(8): 1553-1566. 

  35. Gould, E. and R. Gomez. 2010. "New challenges for libraries in the information age: a comparative study of ICT in public libraries in 25 countries." Information Development, 26: 166-176. 

  36. Green, R. A. and J. Huprich. 2009. "Web accessibility and accessibility instruction." Journal of Access Services, 6(1-2): 116-136. 

  37. Hill, H. 2013. "Disability and accessibility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terature: A content analysi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5(2): 137-142. 

  38. Jaeger, P. T. 2006. "Assessing Section 508 compliance on federal e-government websites: A multi-method, user-centered evaluation of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3(2): 169-190. 

  39. Jaeger, P. T. 2008. "User-centered policy evaluations of Section 508 of the Rehabilitation Act evaluating e-government web sites for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9(1): 24-33. 

  40. Parmanto, B. 2010. "Web accessibility: A foundation for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1(3): 634-635. 

  41. Riley-Huff, D. A. 2012. "Chapter 4: Web accessibility and universal design." Library Technology Reports, 48(7): 29-35. 

  42. Royal National Institute of the Blind. 2014. Background on Web accessibility - Web Access Centre. 

  43. Schmetzke, A. and D. Comeaux. 2009. "Accessibility trends among academic library and library school web sites in the USA and Canada." Journal of Access Services, 6(1-2): 137-152. 

  44. Section 508. 2013. Section 508 standards guide [online]. [cited 2014.12.28]. . 

  45. Thompson, T., S. Burgstahler, and D. Comden. 2006. "Research on Web accessibility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ies, 9(2). 

  46.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9.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online]. [cited 2014.12.28]. . 

  47.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8.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2.0 [online]. [cited 2014.12.28]. . 

  48.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4-2014.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 [online]. [cited 2014.12.28]. . 

  49.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4-2012. Introduction to Web accessibility, What is Web Accessibility [online]. [cited 2014.12.28]. . 

  50. Yi, Y. 2015. "Compliance of Section 508 in public library systems with the largest percentage of underserved population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1): 75-81. 

  51. Yi, Y., B. Stvilia, and L. Mon. 2012. "Cultural influences on seeking quality health information: An exploratory study of the Korean communi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1): 45-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