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로 건설된 군위댐 호내 어류 군집 및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Ecology of Fishes in the Newly Constructed Gunwi Dam Reservoir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4, 2015년, pp.219 - 228  

이진웅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윤주덕 (공주대학교 생물자원연구센터) ,  김정희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박상현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백승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장광현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자원 확보를 위해 주로 하천의 상 중류에 건설되는 댐과 같은 물리적 교란은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유전적 단절과 군집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특히 생태계 최상위 소비자 중 하나인 담수어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댐 건설로 인하여 유수역에서 정수역으로 변화된 지역을 대상으로 담수어류의 군집변화를 파악하고 더불어 댐호와 유입지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댐호 내에서 어류의 서식 영역과 이동특성에 대해 원격측정 (telemetry)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는 2010년 12월 완공된 군위댐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무선 원격측정 (radio telemetry) 대상 어류는 호내 우점적으로 서식하는 정수역 선호종인 메기, 유수역과 정수역 모두에 널리 서식하는 피라미와 돌고기, 유수역 선호종인 참갈겨니를 선정하였다. 어류군집 조사 결과, 군위댐 건설 전 (7과 15종)보다 건설 후 (댐호, 4과 10종; 유입지천, 4과 9종) 종수가 감소되었다. 특히 댐 건설 전 서식하던 유수역 선호종인 쉬리, 수수미꾸리, 자가사리, 꺽지 등이 댐 건설 후 댐호 및 유입지천에서는 채집되지 않았다. 그리고 채집 방법에 차이가 있지만 유입지천에서 채집된 어류 8종이 군위댐호 내에서도 확인되었으며 댐호와 유입지천의 군집 유사도의 경우 0.842 (Sorensen's similarity)로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무선 원격측정 결과, 메기 한 개체를 제외한 다른 종들은 유입지천으로의 이동이 확인되지 않았다. 모든 어류들이 주로 수심이 깊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은 수변 지역을 호 내 서식처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호 내 서식 어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cure water resources, dams are normally constructed on the upper - middle part of streams, and it generates physical disturbances such as habitat alteration and stream fragmentation. Such construction can restrict movement of aquatic organisms, especially for freshwater fish which is one of t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댐호 내 우점적으로 출현한 어종을 대상으로 무선 원격측정법을 이용하여 댐호에서의 이동 및 서식영역과 같은 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환경변화는 특히 생태계 최상위 소비자 중 하나인 담수어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댐 건설로 인하여 유수역에서 정수역으로 변화된 지역을 대상으로 담수어류의 군집변화를 파악하고 더불어 댐호와 유입지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댐호 내에서 어류의 서식 영역과 이동특성에 대해 원격측정(telemetry)법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으로 최근에 담수가 이루어진 군위댐호에서(2011년) 어류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 호소와 유입지천의 어류군집을 비교하여 댐 건설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리적 교란은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유전적 단절과 군집의 변화를 야기하는데 이에 따른 영향은? 수자원 확보를 위해 주로 하천의 상 중류에 건설되는 댐과 같은 물리적 교란은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유전적 단절과 군집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특히 생태계 최상위 소비자 중 하나인 담수어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댐 건설로 인하여 유수역에서 정수역으로 변화된 지역을 대상으로 담수어류의 군집변화를 파악하고 더불어 댐호와 유입지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무선 원격측정 대상 어류로 선정된 것은? 연구는 2010년 12월 완공된 군위댐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무선 원격측정 (radio telemetry) 대상 어류는 호내 우점적으로 서식하는 정수역 선호종인 메기, 유수역과 정수역 모두에 널리 서식하는 피라미와 돌고기, 유수역 선호종인 참갈겨니를 선정하였다. 어류군집 조사 결과, 군위댐 건설 전 (7과 15종)보다 건설 후 (댐호, 4과 10종; 유입지천, 4과 9종) 종수가 감소되었다.
수자원 확보를 위해 주로 하천의 상 중류에 건설되는 댐과 같은 물리적 교란은 무엇을 야기합니까? 수자원 확보를 위해 주로 하천의 상 중류에 건설되는 댐과 같은 물리적 교란은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유전적 단절과 군집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특히 생태계 최상위 소비자 중 하나인 담수어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gostinho, A.A., F.M. Pelicice and L.C. Gomes. 2008. Dams and the fish fauna of the Neotropical region: impacts and management related to diversity and fisheries. Brazilian Journal of Biology 68: 1119-1132. 

  2. Agostinho, A.A., L.E. Miranda, L.M. Bini, L.C. Gomes, S.M. Thomaz and H.I. Suzuki. 1999. Patterns of colonization in neotropical reservoirs, and prognoses on aging, p. 65-227. In: Theoretical reservoir ecology and its applications (Tundisi, J.G. and M. Straskraba, eds.). Inter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ao Carlos. 

  3. Almeida, D., A. Almodovar, G.G. Nicola, B. Elvira and G.D. Grossman. 2012. Trophic plasticity of invasive juvenil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Iberian streams. Fisheries Research 113: 153-158. 

  4. Andrade, N.O., B.R. Quintella, J. Ferreira, S. Pinela, I. Povoa, S. Pedro and P.R. Almeida. 2007.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L.) spawning migration in the Vouga river basin (Portugal): poaching impact, preferential resting sites and spawning grounds. Hydrobiologia 582: 121-132. 

  5. Arnekleiv, J.V., M. Kraabol and J. Museth. 2007. Efforts to aid downstream migrating brown trout (Salmo trutta L.) kelts and smolts passing a hydroelectric dam and a spillway. Hydrobiologia 582: 5-15. 

  6. Baxter, R.M. 1977. Environmental effects of dams and impoundmen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8: 255-283. 

  7. Bernardo, J.M., M. Ilheu, P. Matono and A.M. Costa. 2003. Interannu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structure in a Mediterranean river: implications of streamflow on the dominance of native or exotic species.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19: 521-532. 

  8. Briggs, J.C. 1950. The quantitative effects of a dam upon the bottom fauna of a small California stream.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78: 70-81. 

  9. Caudill, C.C., W.R. Daigle, M.L. Keefer, C.T. Boggs, M.A. Jepson, B.J. Burke and C.A. Peery. 2007. Slow dam passage in adult Columbia River salmonids associated with unsuccessful migration: delayed negative effects of passage obstacles or condition-dependent mortality?.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64: 979-995. 

  10. Edgar, G.J., N.S. Barrett and A.J. Morton. 2004. Patterns of fish movement on eastern Tasmanian rocky reef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70: 273-284. 

  11. Eklund, A.M. and J. Schull. 2001. A stepwise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movement patterns and habitat utilization of goliath grouper, Epinephelus itajara, using conventional tagging, acoustic telemetry and satellite tracking, p. 189-216. In: Electronic Tagging and Tracking in Marine Fisheries (Sibert, J.B. and J.L. Nielsen, eds.). Springer Netherlands. 

  12. Fukushima, M., S. Kameyama, M. Kaneko, K. Nakao and E. Ashleysteel. 2007. Modelling the effects of dams on freshwater fish distributions in Hokkaido, Japan. Freshwater Biology 52: 1511-1524. 

  13. Gehrke, P.C., D.M. Gilligan and M. Barwick. 2002. Changes in fish communities of the Shoalhaven River 20 years after construction of Tallowa Dam, Australi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18: 265-286. 

  14. Harris, J.H. 1984. Impoundment of coastal drainages of southeastern Australia and a review of its relevance to fish migration. Australian Zoologist 21: 235-250. 

  15. Heggenes, J. and K.H. Roed. 2006. Do dams increase genetic diversity in brown trout (Salmo trutta)? Microgeographic differentiation in a fragmented river. Ecology of Freshwater Fish 15: 366-375. 

  16. Helfman, G.S. 1993. Fish behaviour by day, night and twilight, pp. 479-513. In: Behaviour of Teleost Fishes. Chapman and Hall, London. 

  17. Jacobsen, L., S. Berg, M. Broberg, N. Jepsen and C. Skov. 2002. Activity and food choice of piscivorous perch (Perca fluviatilis) in a eutrophic shallow lake: a radio-telemetry study. Freshwater Biology 47: 2370-2379. 

  18. Jang, M.H. 2002. Ecological Study of Freshwater Fish in Korea: Fish Fauna, Prey-predator Interaction and the Responses of Cyanobacteria to Fish Grazing.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19. Joy, M.K. and R.G. Death. 2001. Control of freshwater fish and crayfish community structure in Taranaki, New Zealand: dams, diadromy or habitat structure?. Freshwater Biology 46: 417-429. 

  20. Kang, K.M. and H.O. Shin. 2010. Movement range and behavior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and catfish (Parasilurus asotus) in Chungju La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46: 148-156. 

  21. Kelly, J.M. and D.M. Janz. 2008. Altered energetics and parasitism in juvenile northern pike (Esox lucius) inhabiting metal-mining contaminated lake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70: 357-369. 

  22. Kim, D.S., C.G. Choi, S.J. Joh and J.H. Kim. 2002. Preservation of Fish Community by the Construction of the Tamjin Dam.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5: 237-246. 

  23. Kim, I.S. and H. Yang. 2001. Fish Community Changes of the Buan Dam,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4: 45-50. 

  24.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465 pp. 

  25. Kim, J.H., J.D. Yoon, W.M. Heo, D.S. Kim, C. Kim and M.H. Jang. 2014. Movement patterns of three freshwater fish species after upstream transportation by fishway in the Jangheung Dam.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 141-148. 

  26. Kinsolving, A.D. and M.B. Bain. 1993. Fish assemblage recovery along a riverine disturbance gradient. Ecological Application 3: 531-544. 

  27. Krebs, C.J. 1999. Ecological Methodology. Addison-Welsey Educational Publishers, Canada, 620 pp. 

  28. Kwater. 2000.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am. Kwater, 191 pp. 

  29. Kwater. 200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construction of Hwabuk Dam. Kwater, 1198 pp. 

  30. Liermann, C.R., C. Nilsson, J. Robertson and R.Y. Ng. 2012. Implications of dam obstruction for global freshwater fish diversity. BioScience 62: 539-548. 

  31. Lucas, M.C., E. Baras, T.J. Thom, A. Duncan and O. Slavik. 2001. Migration of freshwater fishes. Blackwell Science, Oxford, 420 pp. 

  32. Lymbery, A.J., M. Hassan, D.L. Morgan, S.J. Beatty and R.G. Doupe. 2010. Parasites of native and exotic freshwater fishes in south western Australia. Journal of Fish Biology 76: 1770-1785. 

  33. Matthews, W.J. 1998. Patterns in freshwater fish ec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New York, 756 pp. 

  34. Mitchell, S.C. and R.A. Cunjak. 2007. Stream flow, salmon and beaver dams: roles in the structuring of stream fish communities within an anadromous salmon dominated stream. Journal of Animal Ecology 76: 1062-1074. 

  35. Nah, C.S. and S.S. Shin. 1992. A Study on the Fish Fauna After the Construction of Chuam Dam.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4: 55-62. 

  36.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600 pp. 

  37. Pettersson, L.B., K. Andersson and K. Nilsson. 2001. The diel acitivty of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in relation to chemical cues from predator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61: 341-345. 

  38. Pires, A.M., I.G. Cowx and M.M. Coelho. 1999. Seasonal changes in fish community structure of intermittent streams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Guadiana basin, Portugal. Journal of Fish Biology 54: 235-249. 

  39. Poff, N.L. and D.D. Hart. 2002. How dams vary and why it matters for the emerging science of dam removal. BioScience 52: 659-668. 

  40. Prchalova, M., O. Slavik and L. Bartos. 2006. Patterns of cyprinid migration through a fishway in relation to light, water temperature and fish circling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River Basin Management 4: 213-218. 

  41. PrchalovA, M., T. Mrkvicka, J. Kubecka, J. Peterka, M. Cech, M. Muska and M. Vasek. 2010. Fish activity as determined by gillnet catch: a comparison of two reservoirs of different turbidity. Fisheries Research 102: 291-296. 

  42. Railsback, S.F., R.H. Lamberson, B.C. Harvey and W.E. Duffy. 1999. Movement rules for individual-based models of stream fish. Ecological Modelling 123: 73-89. 

  43. Reebs, S.G. 2002. Plasticity of diel and circadian activity rhythms in fishes. Reviews in Fish Biology and Fisheries 12: 349-371. 

  44. Seo, J.W. and K.S. Kim. 2009. A Study of Fish Community on Up and Downstream of Hwabuk Dam Under Construction in the Upper Wie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2: 260-269. 

  45. Stich, D.S., M.M. Bailey and J.D. Zydlewski. 2014. Survival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smolts through a hydropower complex. Journal of Fish Biology 85: 1074-1096. 

  46. Wallis, O.L. 1951. The status of the fish fauna of the Lake Mead National Recreational area, Arizona-Nevad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80: 84-92. 

  47. Wang, L., D. Infante, J. Lyons, J. Stewart and A. Cooper. 2011. Effects of dams in river networks on fish assemblages in non-impoundment sections of rivers in Michigan and Wisconsin, US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7: 473-487. 

  48. Yang, S.G., Y.C. Cho, H. Yang and E.J. Kang. 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Yongdam Reservoir by Inhabiting Environment Chang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0: 15-25. 

  49. Yoo, D.J. 2007. Ichthyofauna of the Lakes and Reservoirs in Gyeongsangbuk-do.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0. Yoon, J.D., J.H. Kim, G.J. Joo and M.H. Jang. 2012. Post-passage movement of the fluvial fish Zacco temminckii following upstream transportation by a fishway operation in dam. Aquatic Ecology 46: 421-4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