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호 내의 염도에 따른 어류분포
Fish Distribution and Salinity in the Saemangeum Reservoir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4, 2013년, pp.411 - 418  

박상현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이진웅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정희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백승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윤주덕 (공주대학교 생물자원센타) ,  최기룡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호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통해 2006년에 완공된 인공 호로 현재 담수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만금호 내의 염도 별 어류분포를 확인하여 담수화가 진행되고 있는 새만금호의 어류분포 변화 예측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어류조사는 새만금 호내 10지점에 대해 총 4회에 걸쳐(2012년 2월~10월) 어류군집과 염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지점에서 총 34과 71종이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Thryssa kammalensis (16.1%), 아우점종은 Konosirus punctatus (12.8%)로 새만금호내 해양성 어류의 우점현상을 나타냈다. Bray-Curtis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류는 4개(A=St. 1, 6, B=St. 2, 3, 7, 8, C=St. 4, 9, 10, D=St. 5)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Cluster 구분에 따른 지점별 평균 염도는 A=0.2 psu, B=14.2 psu, C=19.5 psu, D=23.5 psu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별 1차 담수어, 주연어, 해산어의 비율이 차이가 나타나 4개 그룹의 어류 분포는 염도에 따라 종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emangeum Reservoir was constructed in 2006 as a part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which desalination has been also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changes in fish distribution in the Saemangeum area with respect to the desalination proc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행 연구의 대부분이 단순한 어류상 변화에 대한 내용으로 실질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어류군집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방조제 건설 후 새만금호내에서 염도에 따른 어류 군집의 분포를 조사하여 향후 새만금호소의 어류군집의 변화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 구조물 중 방조제 건설과정에서 담수화로 인해 무엇이 야기되는가? 인공 구조물 중 방조제는 간척 사업을 통한 토지 이용 및 염해 방지 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담수화가 진행되면서 염도 변화에 의해 서식 생물의 군집 및 종 조성 변화가 야기된다(Loneragan et al. 1986; Foss et al.
특정 지역 내의 환경변화는 무엇을 일으키는가? 특정 지역 내의 환경변화는 생태계와 군집, 종조성 등을 변화시킨다(Rose 2005).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환경변화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에 환경변화가 나타나는 지역 내에서 생물들이 환경변화에 대처하여 이동, 적응, 진화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Young et al.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 2008).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수질 오염과 부영양화, 인공 구조물 건설로 인한 수질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erjea SM. 2011. Water quality and soil condition of fish ponds in some states of India in relation to fish production. Fisheries 14:115-144. 

  2. Barletta M, A Barletta-Bergan, USGH Saint-Paul and G Hubold. 2005. The role of salinity in structuring the fish assemblages in a tropical estuary. J. Fish Biol. 66:45-72. 

  3. Foss A, TH Evensen, AK Imsland and V Oiestad. 2001. Effects of reduced salinities on growth, food conversion efficiency and osmoregulatory status in the spotted wolffish. J. Fish Biol. 59:416-426. 

  4. Joo GJ, DK Kim, JD Yoon and KS Jeong. 2008. Climate changes and freshwater ecosystems in South Korea. J. Kor. Soc. Environ. Eng. 30:1190-1196. 

  5. Kim BM and LL Chung. 1998.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 from the Mangyong River System. Korean J. Limnol. 31:191-203. 

  6. Kim IS and H Yang. 2001. Fish community changes of the Buan Dam, Korea. Korean J. Ecol. 24:45-50. 

  7.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 hak sa, Seoul. 

  8. Kim IS and WO Lee. 1984. Effects of stream modification in the Seomjin River on the fish communities of the Dongjin River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17:549-556. 

  9. Kim JH, JD Yoon, DS In and MH Jang. 2011.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Mankyeong and the Dongjin River after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J. Korean Nat. 4:111-119. 

  10. Kim JR and CL Lee. 2001.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from the Dongjin River System Korea. Korean J. Ichthyol. 13:40-49. 

  11. Kwak SN and SH Huh. 2003.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Bull. Korean Fish. Soc. 36:129-135. 

  12. Lee CY, IB Yoon and IS Kim. 1980. A Study on the dinamics of fish community in Mangeong River. Korean J. Limnol. 13:23-38. 

  13.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1.Demersal fish. Bull. Korean Fish. Soc. 29:71-83. 

  14. Leung EJ, JS Rosenfeld and J Bernhardt. 2009. Habitat effects on invertebrate drift in a small trout stream: implications for prey availability to drift-feeding fish. Hydrobiologia 623:113-125. 

  15. Loneragan NR, IC Potter, RCJ Lenanton and N Caputi. 1986. Spatial and seasonal differences in the fish fauna in the shallows of a large Australian estuary. Mar. Biol. 92:575-586. 

  16.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36-71 

  17.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4.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 (II). 

  1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5.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 (II). 

  1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6.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 (III). 

  2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7.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 (III). 

  2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 (IV). 

  2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 (IV). 

  23.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4. Pielou EC.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 Nat. 100:463-465. 

  25. Rose GA. 2005. On distributional responses of North Atlantic fish to climate change. ICES. J. Mar Sci. 62:1360-1374. 

  26. Sim KS and CL Lee. 1999. Fish fauna of the Saemankum area in the West Coast of Chollabuk-do,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7:293-303. 

  27.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28. Seo JW and HS Kim. 2009. A study of fish community on up and downstream of Hwabuk Dam under construction in the upper Wie Stream. Korean J. Limnol. 42:260-269. 

  29. Yang HJ, KH Kim and JD Kum. 2001.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Korean J. Limnol. 34:251-258. 

  30. Young BA, B Walker, AE Dixon and VA Walker. 1989. Physiological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J. Anim. Sci. 67:2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