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강 수계에 출현한 남조류와 이취미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 Dense Population of Cyanobacteria and Odorous Compounds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in 2014 and 2015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4, 2015년, pp.263 - 271  

변정환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황순진 (건국대 환경과학과) ,  김백호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진락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이재관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북한강 수계 3개의 연속댐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의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등을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3개 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남조류-규조류의 순서로 우점하는 계절성을 보였으며, 가을철 북한강 수계에서 남조 Pseudanabaena limnetica가 우점종으로 처음 출현하였다. 이취미 물질을 발생하는 남조 Anabaena circinalis, Pseudanabaena limnetica의 종이 우점종으로 출현한 시기에 이취미 물질인 Geosmin과 2-MIB 역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환경요인과 남조류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보면, A. circinalis의 경우 이취미 물질인 Geosmin (r=0.983, p<0.01)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P. limnetica의 경우 영양염류 중 총질소 (r=0.685, p<0.01), 질산성질소 (r=0.723,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고, 이취미 물질인 2-MIB (r=0.717,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북한강 수계에서 나타나는 이취미 물질은 남조류 출현과 직, 간접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상수원 저수지 이취미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s of cyanobacteria and odorous compounds, a monthly monitoring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were conducted at the three serial lakes (Lake Ui-am, Lake Cheong-pyeong and Lake Pal-dang) in the North Han River for 11 times from May 2014 to March 2015.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강 수계내의 환경요인, 식물플랑크톤, 이취미 물질을 분석하여 유해 남조류와 이취미 물질의 동태를 파악하고자 2014년 5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호의 건설이 초래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특히, 북한강 수계는 풍부한 유량과 큰 경사도를 가지고 있어 댐건설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며, 화천댐, 소양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 그리고 남한강 수계와 합류되는 팔당댐에 이르기까지 많은 다목적 댐이 건설되었다 (Park, 2006). 그러나 이러한 인공호의 건설은 수체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수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호소에서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면 식물플랑크톤의 이상증식으로 인해 수중 생태계 및 수자원 이용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Hayes and Burch, 1989; Lowton and Codd, 1991; Park and Jheong, 2003).
북한강 수계에 건설된 다목적 댐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주요 4대강 수계는 댐의 건설로 인해 인공호를 포함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북한강 수계는 풍부한 유량과 큰 경사도를 가지고 있어 댐건설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며, 화천댐, 소양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 그리고 남한강 수계와 합류되는 팔당댐에 이르기까지 많은 다목적 댐이 건설되었다 (Park, 2006). 그러나 이러한 인공호의 건설은 수체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수질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유해 남조류의 이상증식으로 인한 이취미 물질이 일으키는 문제는 무엇인가? , 2007; Paerl and Huisman, 2009). 특히, 이취미 물질은 흙, 곰팡이 냄새를 발생시켜 고도의 정수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음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심미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이취미 물질을 생성하는 주요 남조류는 Anabaena, Aphanizomenon, Lyngbya, Oscil-latoria, Phormidium, Planktonthrix, Pseudanabaena 등의 종들이 보고되어 있으며 (Peter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cinas, S.G., T.H. Haverkamp, J. Huisman and L.J. Stal. 2009. Phenotypic and Genetic Diversificationof Pseudanabaena spp. (cyanobacteria). The ISME Journal 3: 31-46. 

  2. APHA.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3. Bae, B.U., Y.J. Lee and M.G. Lim. 2008. Comparison of Taste and Odor in Raw Water from the Main Daecheong Reservoir and its Regulating Reservoir Downstr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5): 598-602. 

  4. Byun, J.H., I.H. Cho, S.J. Hwang, M.H. Park, M.S. Byeon and B.H. Kim. 2014. Relationship between a Dense Bloom of Cyanobacterium Anabaena spp. and Rainfalls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2): 116-126. 

  5. Fogg, G.E. 1949. Growth and Heterocyst Production in Anabaena Cylindrica Lemm.: II. In Relation to Carbon and Nitrogen Metabolism. Annals of Botany: 241-259. 

  6. Golden, J.W., S.J. Robinson and R. Haselkorn. 1985. Rearrangement of nitrogen fixation genes during Heterocyst differentiation in the Cyanobacterium Anabaena. Nature 314: 419-423. 

  7. Hayes, K.P. and M.D. Burch. 1989. Odorous compounds associated with algal blooms in South Australian waters. Water Research 23: 115-121. 

  8. Izaguirre, G., C.J. Hwang, S.W. Krasner and M.J. McGuire. 1982.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from Cyanobacteria in Three Water Supply System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43: 708-714. 

  9. Izaguirre, G. and W.D. Taylor 1998. A pseudanabaena Species from Castaic Lake, California, That Produces 2-methylisoborneol. Water Research 32(5):1673-1677. 

  10. Jeon, H.W., J.W. Choi and K.G. An. 2012.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s at Various Streams of Han-River Watershed and Empirical Models of Serial Impoundment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4): 378-391. 

  11. Juttner, F. and S.B. Watson. 2007. Biochemical and Ecological Control of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in Source Water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3(4): 4395-4406. 

  12. Kakimoto, M., T. Ishikwa, A. Miyagi, K. Saito, M. Miyazaki, T. Asaeda, M. Yamaguchi, H. Uchimiya and M. Kawai-Yamada. 2014. Culture temperature affects gene expression and metabolic pathways in the 2-methylisoborneolproducing cyanobacterium Pseudanabaena galeata.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71(3): 292-300. 

  13. Kallas, T., T. Coursin and R. Rippka. 1985. Different organization of nif genes in nonheterocystous and heterocystous cyanobacteria. Plant Molecular Biology 5(5): 321-329. 

  14. Kim, Y.J., S.J. Youn, H.N. Kim, M.Y. Hwang, J.R. Park, B.C. Lee and J.K. Lee. 2013. Form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Occurrences of Odorous Compounds for Sediment Incubation by Water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5): 460-467. 

  15. Kim, Y.J., S.J. Youn, H.N. Kim, E.R. Park, M.Y. Hwang, J.R. Park, B.C. Lee and J.K. Lee. 2014. Formation of Plankton Community and Occurences of Odorous Compounds by Sediment Incub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6): 658-664. 

  16. Lawton, L.A. and G.A. Codd. 1991. Cyanobacteria (blue green algal) Toxins and Their Significance in U.K. and European Waters. Journal of the Institution of Water & Environmental Management 5: 460-465. 

  17. Lee, J.E., J.G. Park and E.J. Kim. 2002. Trophic States and Phytoplankton Compositions of Dam Lakes in Korea. Algae 17(4): 275-281. 

  1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Drinking water quality monitoring guideline.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gae in the Lake Paldang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62. 

  20. Paerl, H.W. and R.S. Fulton III. 2006. Ecology of Harmful Cyanobacteria, p. 95-107. In: Ecology of Harmful Algae Spring Berlin Heidelberg. 

  21. Park, C.H., B.J. Lim, K.A. You, M.H. Park and S.J. Hwang. 2014.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Akinete Germination of Anabaena circinalis (Cyanobacteriaceae) Isolated from the North Han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4): 292-301. 

  22. Park, H.K. and W.H. Jheong. 2003. Long-term Changes of Algal Growth in Lake Palda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ilty 19(6): 673-684. 

  23. Park, J.E. 2006. A Modeling Study for the Iimpact Prediction of Serial Iimpoundments on Downstream Temperature Distribution.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4. Park, J.G. and J.J. Lee. 2005. Community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Lake Daecheong. Algae 20(3): 197-205. 

  25. Park, J.H., B.L. Moon and O.M. Lee. 2006. The Phytoplankton Composition and Trophic States at Several Lake of Suwonsi, Korea. Algae 21(2): 217-228. 

  26. Peterson, H.G., S.E. Hrudey, I.A. Cantin, T.R. Perley and S.L. Kenefick. 1995. Physiological Toxicity, Cell Membrane Damage and the Release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Geosmin by Aphanizomenon flos-aquae after Exposure to Water Treatment Chemicals. Water Research 29(6): 1515-1523. 

  27. Reynolds, C.S. 1984. Phytoplankton periodicity the interactions of form, fun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Freshwater Biology 14: 11-42. 

  28. Saadoun, I.M.K., K.K. Schrader and W.T. Blevins. 2001.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factors Affecting Geosmin Synthesis by Anabaena sp. Water Research 35: 1209-1218. 

  29. Shin, H.J. and O.M. Lee. 2014. The Dynamic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at Three Artificial Weirs in Downstream of Namhan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6): 612-621. 

  30. Suffet, I.H. 1995. Advances in Taste-And-Odor Treatment and Control.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31. Sugiura, N., O. Nishimura, Y. Inamor, T. Ouchiyama and R. Sudo. 1997. Grazing characteristics of musty-odor-compoundproducing Phormidium tenue by a microflagellate, Monas guttula. Water Research 31(11): 2792-2796. 

  32. Sugiura, N. and K. Nakano. 2000. Causative Microorganisms for musty Odor occurrence in the Eutrophic Lake Kasumigaura. Hydrobiologia 434(1-3): 145-150. 

  33. Tsujimura, S. and T. Okubo. 2003. Development of Anabaena Blooms in a Small Reservoir with Dense Sediment Akinete Popul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emperature and Irradiance.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5: 1059-1067. 

  34. Wang, S.H., A.R. Dzialowski, J.O. Meyer, F. de Noyelles, N.C. Lim, W.W. Spotts and D.G. Huggins. 2005. Relationships Between Cyanobacterial Production 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Midwestern Reservoir, USA. Hydrobiologia 541: 29-43. 

  35. Watson, S.B. 2003. Cyanobacterial and Eukaryotic Algal Odour Compounds: Signal or By-products? A Review of Their Biological Activity. Phycologia 42: 332-350. 

  36. Watson, S.B. 2004. Aquatic Taste and Odor: a Primary Signal of drinking-water integrity.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67(20-22): 1779-1795. 

  37. Watson, S., M. Charlton, Y. Rao, T. Howell, J. Ridal and B. Brownlee, C. Marvin and S. Millard. 2007. Off Flavours in Large Waterbodies: Physice, Chemistry and Biology in Synchro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5(5): 1-8. 

  38. Ward, J.V. and J.A. Stanford. 1983. The Serial Discontinuity Concept of Lotic Ecosystems, p. 29-42. In: Dynamics of Lotic Ecosystems (Fontaine, T.D. and S.M. Bartell, eds.). Ann Arbor Science, Ann Arbor, USA. 

  39. Whelton, A.J. and A.M. Dietrich. 2004.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for Drinking Water Odorants. Water Research 38: 1604-1614. 

  40. You, K.A., M.S. Byeon, S.J. Youn, S.J. Hwang and D.H. Rhew. 2013. Growth Characteristics of Blue-green Algae (Anabaena spiroides) Causing Tastes and Odors In the North-Han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135-144. 

  41. Zimba, P.V., C.C. Grimm, C.P. Dionigiand and C.R. Weirich. 2001.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iomass, and Off-flavor: Pond Size Relationships in Louisiana Catfish Ponds. Journal of the World Aquaculture Society 32(1): 96-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