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사육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 미치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
Effect of Fish Pathogenic Viruses on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7 no.3, 2015년, pp.183 - 188  

김위식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장민석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김종오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전영호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  오명주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무지개송어 유래 병원체인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인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에 주사한 후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 유래 병원체인 marine birnavirus (MABV), hirame rhabdovirus (HIRRV) 및 nervous necrosis virus (NNV)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IHNV와 IPNV는 주요 해산 양식 어종에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무지개송어는 해산 유래 위해 병원체인 MABV와 NNV에 감염되거나 HIRRV에 의해 폐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해수사육 무지개송어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들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as been initiated in the coast areas of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sh viruses on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The pathogenicity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and infectious pancrea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시에 발생할 수 있는 어류 병원체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무지개송어에 발생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 병원체인 IHNV와 IPNV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인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에 주사한 후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에 발생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 병원체인 MABV, HIRRV 및 NNV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무지개송어 유래 병원체인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인 넙치, 조피 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에 주사한 후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 유래 병원체인 marine birnavirus (MABV), hirame rhabdovirus (HIRRV) 및 nervous necrosis virus (NNV)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IHNV와 IPNV는 주요 해산 양식어종에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무지개송어는 해산 유래 위해 병원체인 MABV와 NNV에 감염되거나 HIRRV에 의해 폐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담수 송어를 해수에서 사육할 경우, 기존 해수에 존재하는 병원체들에 의해 질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담수 서식환경에서 존재하는 병원체가 송어와 함께 해수로 이동하여, 해수에 서식하는 어종들에게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송어에 발생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 병원체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에 발생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 병원체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지개송어의 생물분류는?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는 연어목 (Salmoniformes) 연어과 (Salmon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서북 아시아와 북미의 태평양 연안에 분포하였으나 수산 양식을 목적으로 세계 각국에 보급되었다 (FAO, 2011, 2015).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에 소득 증대와 식량 증산을 위해 미국으로부터 무지개송어의 발안란을 수입하면서 양식이 시작되었고, 2011년에서2014년까지 매년 약 3,000톤에서 3,400톤의 무지개송어가 생산되었다 (KOSIS, 2015).
무지개송어의 생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무지개송어는 냉수성 어종으로서 수온이 10~20℃ (평균15℃)에서 잘 자라고, 25℃ 이상의 수온이 되면 사료를 먹지않아 몸이 쇠약해져 죽게 된다 (Kim et al., 2003).
담수산 무지개송어 유래 바이러스를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의 복강에 주사한 결과, 나타난 현상은 무엇인가? IHNV와 IPNV를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의 복강에 주사한 결과, 실험구 및 대조구 모두 이상 유영 및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폐사어는 관찰되지 않았다 (Fig. 1). IHNV와 IPNV를 주사한 후 어체내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조사한결과, IHNV는 넙치와 돌돔에, IPNV는 넙치, 돌돔, 참돔, 조피볼락에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넙치의 경우, IHNV 접종 후 3일째 평균 102.63 TCID50/g, 6일째와 9일째 평균102.22 TCID50/g의 감염가를 나타내었다 (Fig. 1a). IPNV 접종구에서는 3, 6, 9일째 각각 평균 102.88 TCID50/g, 103.13 TCID50/g, 102.46 TCID50/g로 나타났다 (Fig. 1b). 돌돔의 경우, IHNV 접종구에서는 6일째 1개체에서만 103.8 TCID50/g의 감염가가 측정되었고, IPNV 접종구에서는 3일째에만 평균 102.96 TCID50/g의 감염가를 나타내었다 (Fig. 1c, d). 참돔에서는 IPNV 접종구에서만 3일째 1개체에서 102.8 TCID50/g의 감염가가 측정되었다(Fig. 1e, f). 조피볼락에서는 IPNV 접종구에서만 3일과 9일째 각각 평균 102.46 TCID50/g, 101.96 TCID50/g의 감염가를 나타내었다 (Fig. 1g, h). 능성어에서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Fig. 1i, j).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un, S.K. 2000. Aquaculture disease-marine fish. Korea Fisheries Publishing Co., 12pp. (in Korean)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1. Small-scale rainbow trout farming.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Technical Paper No. 561. 

  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5. Cultured aquatic species information programme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4. Jung, S.J., S.R. Kim, I.Y. Joung, S.I. Kitamura, H.T. Ceong and M.J. Oh. 2008. Distribution of marine birnavirus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rea. J. Microbiol., 46: 265-273. 

  5. Kim, B.G., K.D. Jeon, H.G. Kim, S.D. Ju, H.G. Park and Y.K. Choi. 2003. Fish culture (the second volume). Korea textbook, pp. 91-97. (in Korean) 

  6. Kim, C.S., W.S. Kim, T. Nishizawa and M.J. Oh. 2012. Prevalence of viral nervous necrosis (VNN) in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farms. J. Fish Pathol., 25: 111-116. (in Korean) 

  7. Kim, D.H., H.K. Oh, J.I. Eou, H.J. Seo, S.K. Kim, M.J. Oh, S.W. Nam and T.J. Choi. 2005.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the hirame rhabdovirus, a pathogen of marine fish. Virus Res., 107: 1-9. 

  8. Kim, W.S., H.N. Ok, D.H. Kim, H.Y. Kim and M.J. Oh. 2011a. Current status of pathogen infection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etween 2000 and 2010. J. Fish Pathol., 24: 237-245. (in Korean) 

  9. Kim, W.S., M.J. Oh, T. Nishizawa, J.W. Park, G. Kurath and M. Yoshimizu. 2007. Genotyping of Korean isolates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based on the glycoprotein gene. Arch. Virol., 152: 2119-2124. 

  10. Kim, W.S., S.R. Kim, D.W. Kim, J.O. Kim, M.A. Park, S.I. Kitamura, H.Y. Kim, D.H. Kim, H.J. Han, S.J. Jung and M.J. Oh. 2009. An outbreak of VHSV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infection in farm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rea. Aquaculture, 296: 165-168. 

  11. Kim, W.S., T. Nishizawa, J.H. Kim, R. Suebsing, S.J. Jung and M.J. Oh. 2011b. Korean and Japanese isolates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from olive flounder are pathogenic to rainbow trout fry. Fish Pathol., 46: 112-115.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5. Fishery production survey: Statistics by type of fishery and species. 

  13. Landless, P.J. 1976. Acclimation of rainbow trout to sea water. Aquaculture, 7: 173-179. 

  14. LaPatra, S.E. 1998. Factors affecting pathogenicity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for salmonid fish. J. Aquat. Anim. Health, 10: 121-131. 

  15. Lee, N.S. 2013. The current situation and suggestions of the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in Korea. Oceans and Fisheries, 3: 86-112. (in Korean) 

  16. Mahy, B.W.J. and H.O. Kangro. 1996. Virology methods manual. Academy Press, London, pp. 35-46. 

  17. Mckay, L.R. and B. Gjerde. 1985. The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of rainbow trout. Aquaculture, 49: 325-331. 

  18. Nishizawa, T., H.J. Gye, I. Takami and M.J. Oh. 2012. Potentiality of a live vaccine with nervous necrosis virus (NNV) for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at a low rearing temperature. Vaccine, 30: 1056-1063. 

  19. Oseko, N., M. Yoshimizu and T. Kimura. 1992. Pathogenicity of rhabdovirus olivaceus (hirame rhabdovirus; HRV) for salmonid fish. Proceedings of the OJI international symposium on salmonid diseases, 80-87. 

  20. Shin J.H., C.H. Lee, M.H. Jo, K.E. Hong, D.S. Kim and Y.C. Sohn. 2011. Changes in prolactin and growth hormone gene express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dapted to seawater. Kor. J. Fish Aquat. Sci., 44: 225-231. (in Korean) 

  21. Snieszko, S.F. 1974.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stress on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of fishes. J. Fish Biol., 6: 197-208. 

  22. Snow, M. and C.O. Cunningham. 2000. Virulence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marine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 following in vivo passage in rainbow trout Onchorhynchus mykiss. Dis. Aquatic. Org., 42: 17-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