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박 에탄올 추출물의 불안 및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Magnolia Officinalis on Anxiety and Cognitive Function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6 no.4, 2015년, pp.507 - 517  

이현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언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rk of Magnolia officinalis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o treat a variety of mental disorders including anxiety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 officinalis ethanol extract on stress-induced alterations in learning and cognitive fun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저자는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및 기억 장애에 대한 후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후박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급성 스트레스 부과 동물모델에서 행동실험으로써 elevated plus-maze test, passive avoidance test를 수행하여 불안행동 및 기억행동을 측정하고, 행동실험이 끝난 후 채혈을 하여 혈중 Corticosterone의 발현을 분석하였으며, catecholamine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뇌 내 영역 중 청반(Locus Coeruleus, LC)과 복측피개야(Ventral Tegmental Area, VTA)에서 티로신 수산화효소(Tyrosine Hydroxylase, TH)의 변화를 관찰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andford JJ, Argyropoulos SV, Nutt DJ. The psychobiology of anxiolytic drugs. Part 1: Basic neurobiology. Pharmacol Ther 2000 Dec;88(3):197-212. 

  2. Argyropoulos SV, Sandford JJ, Nutt DJ. The psychobiology of anxiolytic drug. Part 2: 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anxiety. Pharmacol Ther 2000 Dec;88(3):213-27. 

  3. 洪元稙.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사; 1985, p. 158-9, 286. 

  4. 陳聯. 陳無擇三因方2卷. 臺北: 대연국풍출판사; 1978, p. 6 

  5.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편. 한방신경정신의학. 파주: 집문당; 2010, p. 404-15. 

  6. 김경욱,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김현주. 분심기음가미방이 흰 쥐의 수면장애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53-62. 

  7. Kamei J, Miyata S, Ohsawa M. Involvement of the benzodiazepine system in the anxiolytic-like effect of Yokukansan(Yi-gan san).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9;33(8):1431-7. 

  8. Yuzurihara M, Ikarashi Y, Ishige A, Sasaki H, Maruyama Y. Anxiolytic-like effect of saiboku-to, an oriental herbal medicine, on histaminergics-induced anxiety in mice. Pharmacol Biochem Behav 2000 Nov;67(3):489-95. 

  9. Park JH, Cha HY, Seo JJ, Hong JT, Han K, Oh KW. Anxiolytic-like effects of ginseng in the elevated plus-maze model: comparison of red ginseng and sun ginseng.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5 Jul;29(6):895-900. 

  10. 김경호, 정현우, 이동원, 김정숙, 김영균, 조수인. 遠志 추출물이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18(1):99-108. 

  11. 김수연, 임세현, 조수인, 최창원, 김경옥. 半夏 추출물이 생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35-47. 

  12. 조수인, 김형우, 정용식. 石菖蒲 추출물이 생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4;19(4):1-7. 

  13. 김정우. 생쥐에 있어서 elevated plus-maze test를 통한 홍삼의 사포닌과 비사포닌 분획물 투여 후의 항스트레스 효과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09. 

  14. Peng WH, Hsieh MT, Lee YS, Lin YC, Liao J. Anxiolytic effect of seed of Ziziphus jujuba in mouse models of anxiety. J Ethnopharmacol 2000;72(3):435-41. 

  15. 김여환, 최형철, 손의동, 이광윤, 김원준, 박형배, 등. 천마의 항 불안 효과. 생물치료정신의학 1996;2(2):108-14. 

  16. 안덕균 저. 원색한국본초도감. 서울: 교학사;2003, p. 488. 

  17. Lee YJ, Lee YM, Lee CK, Jung JK, Han SB, Hong JT. Therapeutic applications of compounds in the Magnolia family. Pharmacol Ther 2011 May;130(2):157-76. 

  18. Ito K, Iida T, Ichino K, Tsunezuka M, Hattori M, Namba T. Obovatol and obovatal, novel biphenyl ether lignans from the leaves of Magnolia obovata Thunb. Chem Pharm Bull(Tokyo) 1982 Sep;30(9):3347-53. 

  19. Tachikawa E, Takahashi M, Kashimoto T. Effects of extract and ingredients isolated from Magnolia obovata thunberg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bovine adrenal chromaffin cells. Biochem Pharmacol 2000 Aug 1;60(3):433-40. 

  20. Naito T, Itoh H, Takeyama M. Some gastrointestinal function regulatory Kampo medicines have modulatory effects on human plasma adrenocorticotropic hormome and cortisol levels with continual stress exposure. Biol Pharm Bull 2003;26(1):101-4. 

  21. Kaneko A, Cho S, Hirai K, Okabe T, Iwasaki K, Nanba Y, et al. Hange-koboku-to, a Kampo medicine, modulates cerebral levels of 5-HT (5-hydroxytryptamine), NA(noradrenaline) and DA(dopamine) in mice. Phytotherapy Research 2005;19(6):491-5. 

  22. Luo L, Nong WJ, Kong LD, Jiang QG, Tan RX. Antidepressant effects of Banxia Houpu decoction,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empirical formula. J Ethnopharmacol 2000;73(1-2):277-81. 

  23. Kuribara H, Kishi E, Hattori N, Okada M, Maruyama Y. The anxiolytic effect of two oriental herbal drugs in Japan attributed to honokiol from magnolia bark. J Pharm Pharmacol 2000 Nov;52(11):1425-9. 

  24. Maruyama Y, Kuribara H, Morita M, Yuzurihara M, Weintraub ST. Identification of magnolol and honokiol as anxiolytic agents in extracts of saiboku-to, an oriental herbal medicine. J Nat Prod 1998 Jan;61(1):135-8. 

  25. 장재형. 후박의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0. 

  26. 박지영. 후박추출물과 항고지혈제제(Statin) 투여에 따른 쥐의 간조직 및 염증지표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0. 

  27. 김현주, 이여명, 김연향, 원선임, 최성아, 최신욱. 후박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지 2009 June;35(2):117-23. 

  28. Park HJ, Shim HS, Chung SY, Lee TH, Shim I. Soyo-san reduces depressive-like behavior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BMC CAM 2014;14:34. 

  29. Imaizumi M, Onodera K. Animal models of ‘anxiety’. Nihon Yakurigaku Zasshi 2000 Jan;115(1):5-12. 

  30. Myhrer T. Neurotransmitter systems involved in learning and memory in the rat: a meta-analysis based on studies of four behavioral tasks. Brain Research Reviews 2003 Mar;41(2-3):268-87. 

  31. Paxinos G, Watson C, Pennisi M, Topple A. Bregma, lambda and the interaural midpoint in stereotaxic surgery with rats of different sex, strain and weight.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985 Apr;13(2):139-43. 

  32. 李丙允. 정신의학사전. 서울: 일조각; 1990, p. 272. 

  33. 대한가정의학회. 최신가정의학. 서울: 한국의학; 2007, p. 277. 

  34. Lee YK, Yuk DY, Kim TI, Kim YH, Kim KT, Kim KH, et al. Protective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Magnolia officinalis and 4-O-methylhonokiol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the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J Nat Med 2009 Jul;63(3):274-82. 

  35. Koetter U, Barrett M, Lacher S, Abdelrahman A, Dolnick D. Interactions of Magnolia and Ziziphus extracts with selected central nervous system receptors. J Ethnopharmacol 2009 Jul 30;124(3):421-5. 

  36. Kalman DS, Feldman S, Feldman R, Schwartz HI, Krieger DR, Garrison R. Effect of a proprietary Magnolia and Phellodendron extract on stress levels in healthy women: a pilot,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Nutrition Journal 2008;7:1475-2891. 

  37.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 편. 스트레스 과학의 이해. 서울: 신광출판사; 1997, p. 11-67, 199-209. 

  38. Patterson-Buckendahl P, Pohorecky LA, Kvetnansky R. Differing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stressors on plasma osteocalcin and leptin in rats. Stress: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the Biology of Stress 2007 Jun;10(2):163-72. 

  39. Xu Q, Yi LT, Pan Y, Wang X, Li YC, Li JM, et al.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the mixture of honokiol and magnolol from the barks of Magnolia officinalis in stressed rodent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8 Apr 1;32(3):715-25. 

  40. Beitner-Johnson D, Guitart X, Nestler EJ. Neurofilament proteins and the mesolimbic dopamine system: common regulation by chronic morphine and chronic cocaine in the rat ventral tegmental area. J Neurosci 1992 Jun;12(6):2165-76. 

  41. Nakazato T. Locus coeruleus neurons projecting to the forebrain and the spinal cord in the cat. Neuroscience 1987 Nov;23(2):529-38. 

  42. Ortiz J, Fitzgerald LW, Lane S, Terwilliger R, Nestler EJ. Biochemical adaptations in the mesolimbic dopamine system in response to repeated stress. Neuropsychopharmacology 1996 Jun;14(6):443-52. 

  43.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06, p. 323, 326, 752-7. 

  44. Smith MA, Makino S, Altemus M, Michelson D, Hong SK, Kvetnansky R, et al. Stress and antidepressants differentially regulate neurotrophin 3 mRNA expression in the locus coeruleus. Proc Natl Acad Sci USA 1995 Sep 12;92(19):8788-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