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경제활동 참여변화가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 4·5차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Th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on Unmet Needs of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1, 2015년, pp.11 - 21  

송해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최재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박은철 (연세대학교 보건정책및관리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provide analysis of the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affecting the unmet needs of health care in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Korea health panel 4th and 5th data of 10,261 adults.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s threefold. First,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 전반적인 미충족 의료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경제활동 참여변화가 미충족 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런 영향은 연령계층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충족 의료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미충족 의료의 원인 중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여전히 저소득 계층에서는 일반 소득계층에 비해, 노인계층에서는 젊은 계층에 비해 미충족 의료 경험을 많이 하고 있으며 경제적인 장벽이 가장 큰 이유이다[6].
국민 모두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국에서는 어떤 제도를 도입했는가? 한국의 경우 1977년 건강보장제도 도입, 1989년 전 국민을 포괄하는 의료보장제도의 실시를 통하여 모든 국민이 소득이나 지불능력에 상관없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개선하는 제도적 장치를 시행하여 왔다. 하지만 높은 본인부담률, 비급여 본인부담금 등 건강보험 보장성의 한계로 인하여 현재 한국에서는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경제적 파탄에 이르는 가구가 저소득가구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2].
연령 증가에 따른 경제활동 참여변화가 미충족 의료 발생에 영향을 준 이유는 무엇인가? 25배 더 높았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한국의 노인들, 특히 현재 70대 이상 노인들은 고정적 관념에서 노후생활은 자녀에 의지하여 보낸다고 인식하게 되어 특별하지 않으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노인들이 추후 경제활동에 참여할 경우 대부분 단순노무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u SH, Park EC. Health insurance. Seoul: ShinKwang Publication; 2009. 

  2. Park EC.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healthcare policy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10):930-93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930 

  3. Park EC, Jang SI. The diagnosis of healthcare policy problem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10):932-939.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932 

  4. Diamant AL, Hays RD, Morales LS, Ford W, Calmes D, Asch S, et al. Delays and unmet need for health care among adult primary care patients in a restructured urban public health system. Am J Public Health 2004;94(5):783-789. DOI: http://dx.doi.org/10.2105/ajph.94.5.783 

  5. Huh SI, Kim SJ. Unmet needs for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Korean Health Econ Rev 2007;13(2):1-16. 

  6. Kim JG.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edical care use by the poor. Health Soc Welf Rev 2008;37:5-33. DOI: http://dx.doi.org/10.16999/kasws.2008..37.5 

  7. Kim SJ. The unmet needs for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7;13(2):1-16. 

  8. Choi JS, Son JY. An influence of the disabled on the social integration focused on participation in the economic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identity, discrimination experiences. Korean Acad Disabil Welf 2010;12:35-56. 

  9. Choi AY, Yoon HS.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reas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senior citizens. Inst Future Welf 2012;3(1):5-32. 

  10. Kim MJ.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n the mental health in older adulthood [master's thesis]. Asan: Hoseo University; 2005. 

  11. Newacheck PW, Hughes DC, Hung YY, Wong S, Stoddard JJ. The unmet health needs of America's children. Pediatrics 2000;105(4 Pt 2):989-997. 

  12. Feinberg E, Swartz K, Zaslavsky A, Gardner J, Walker DK. Family income and the impact of a 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on reported need for health services and unmet health need. Pediatrics 2002;109(2):E29. 

  13. Cavalieri M. Geographical variation of unmet medical needs in Italy: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t J Health Geogr 2013;12:27. DOI: http://dx.doi.org/10.1186/1476-072X-12-27 

  14. Byun YC. Equity analysis in health care utiliz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15. Huh SJ. Factors influencing unmet needs for health care by income group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6. Kim JG. Study on determina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the poor. Korean J Soc Welf Stud 2007;34:29-53. DOI: http://dx.doi.org/ 10.16999/kasws.2007..34.29 

  17. Song GS.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18. Yang JY. The longitudinal trend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0. 

  19. Song TM. An Anderson model approach to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vulnerability factors on the use of outpatient care by the elderly. Health Soc Welf Rev 2013;33(1):547-576. DOI: http://dx.doi.org/10.15709/hswr. 2013.33.1.547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21. Kang MH. Regional factors and subjective unmet needs of health care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2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at a glance 2012.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23. Shin YJ, Shon JI.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using the 1st and 2nd Korea welfare panel data. Health Soc Welf Rev 2009;29(1):95-122. DOI: http://dx.doi.org/10.15709/hswr. 2009.29.1.95 

  24. Lahelma E, Martikainen P, Laaksonen M, Aittomaki A. Pathways between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4;58(4):327-332. DOI: http://dx.doi.org/10.1136/jech. 2003. 011148 

  25. Sohn SI, Shin YJ, Kim CY.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poor. Health Soc Welf Rev 2010;30(1):92-110.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0.30.1.92 

  26. Idler EL, Kasl SV. Self-ratings of health: do they also predict change in functional ability?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5;50(6):S344-S353.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0b.6.s344 

  27. Huh SI, Kim MG, Lee SH, Kim SJ. Policy options to tackle unmet health need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28. Sherbourne CD, Dwight-Johnson M, Klap R. Psychological distress, unmet need, and barriers to mental health care for women. Womens Health Issues 2001;11(3):231-243. DOI: http://dx.doi.org/10.1016/s1049-3867 (01)00086-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