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자외선차단제와 왁스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UV Absorbance of Nanoemulsions Formed with Organic UV filters and Wax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1, 2015년, pp.57 - 62  

조완구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기초의과학과) ,  차영권 ((주)코스메카코리아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우리는 유기자외선차단제와 왁스를 함유하고 Tween 80과 Span 80의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o/w 나노에멀젼에서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에 대해 연구하였다. Tween 80/Span 80 유화시스템에서 칸데릴라 왁스를 함유하고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는 50 nm 이하였다. Tween 80/Span 80/칸데릴라 왁스/유기자외선차단제의 농도를 4.5:0.5/3.0/2.0 wt%로 고정하고 다양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각각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한 결과, Parsol MCX와 Escalol 587에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또한 동일 시스템에서 Parsol MCX와 칸데릴라 왁스의 비율은 2.0 미만일 때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자외선 흡수 효과는 Parsol MCX와 칸데릴라 왁스를 혼용하였을 때 높은 상승효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n the increase of UV absorbance using a o/w nanoemulsion containing a blend of surfactants (Tween 80 and Span 80), an organic sunscreen, and wax. The particle size of nanoemulsion produced by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in Tween 80/Span 80 system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왁스와 자외선차단제가 함유된 나노에멀젼을 PIC 방법으로 제조하여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여섯 종의 대표적 자외선차단제의 PIC 유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자외선차단제를 일정 농도로 유지하면서 칸데릴라 왁스의 농도를 변화시켜 나노에멀젼의 안정성과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 여섯 종의 대표적 자외선차단제의 PIC 유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자외선차단제를 일정 농도로 유지하면서 칸데릴라 왁스의 농도를 변화시켜 나노에멀젼의 안정성과 자외선 흡광도의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자외선 차단화장품에 적용하여 유기자외선차단제 농도 감소에 기인한 피부 자극성 감소 등에 관한 연구는 추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 에너지를 이용한 유화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나노에멀젼은 전단력을 가진 믹서를 이용하여 계에 기계적인 에너지를 가하는 고압 유화기 또는 초음파 등과 같이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9]. 그러나 저 에너지를 이용한 유화 방법이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이는 상전이 방법과 자발적 유화 방법 등이며 이들 방법은 미세한 입경의 나노에멀젼 제조는 물론 입자크기 분포의 폭이 적은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10,11]. 필자들은 녹는점이 비교적 높은 왁스를 사용하여 PIC(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됨을 보고하였다[12].
자외선차단 제품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는 어떠한 단점과 화장품 분야의 중요한 과제는 무엇인가? 최근 BB 크림 등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차단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이들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나 자체의 용매 기능으로 인한 피부자극성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 농도가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낮은 농도로 높은 SPF를 구현하는 것은 화장품 분야에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있다.
나노에멀젼의 외형적 특징은 어떠한가? 나노에멀젼은 입경이 20 ∼ 200 nm 정도로 입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반투명한 외관을 갖는다[5]. 따라서 마이크로에멀젼과는 다르게 나노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지 않지만 장시간 안정할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및 농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 Wong and D. Orton, Sunscreen allergy and its investigation, Clin. Dermatol., 29, 306 (2011). 

  2. G. J. Nohynek, E. Antignac, T. Re, and H. Toutain, Safety assessment of personal care products/cosmetics and their ingredients, Toxicol. Appl. Pharmacol., 243, 239 (2010). 

  3. D. L. Damian and G. M. Halliday, Measurement of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suppression of recall contact and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in humans, Methods, 28, 34 (2002). 

  4. S. Kim and K. Choi, Occurrences, toxicities, and ecological risks of benzophenone-3, a common component of organic sunscreen products: A mini-review, Environ. Int., 70, 143 (2014). 

  5. C. Solans, I. Sole, A. Fernandez-Arteaga, J. Nolla, N. Azemar, J. M. Gutierrez, A. Maestro, C. Gonzalez, and C. M. Pey, Surfactant Science Series 146, ed. H. A. Roque, 457, CRC Press, New York (2010). 

  6. G. Caldero, M. J. Garcia-Celma, and C. Solans, Formation of polymeric nano-emulsions by a low-energy method and their use for nanoparticle preparation, J. Colloid Inter. Sci., 353, 406 (2011). 

  7. L. Wang, J. Dong, J. Chen, J. Eastoe, and X. Li, Design and optimization of a new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J. Colloid Inter. Sci., 330, 443 (2009). 

  8. L. Wang, X. Li, G. Zhang, J. Dong, and J. Eastoe, Oil-in-water nanoemulsions for pesticide formulations, J. Colloid Inter. Sci., 314, 230 (2007). 

  9. T. Delmas, H. Piraux, A. C. Couffin, I. Texier, F. Vinet, P. Poulin, M. E. Cates, and J. Bibette, How to prepare and stabilize very small nanoemulsions, Langmuir, 27, 1683 (2011). 

  10. W. G. Cho and S. J. Kim, Formation of skin lotions using various vehicles and skin hydration effects for a skin, J. Kor. Oil Chemists' Soc., 26(2). 1 (2009). 

  11. H. J. Yang, W. G. Cho, and S. N. Park, Stability of oil-in-water emulsions prepared using the phase inversion composition method, J. of Ind. & Eng. Chem., 15, 331 (2009). 

  12. E. H. Kim and W. G. Cho, Candelilla wax nanoemulsions prepared by phase inversion composition (PIC) method, J. Kor. Oil Chemists' Soc., 31(2), 203 (2014). 

  13. S. Nikolic, C. M. Kecka, C. Anselmic, and R. H. Mullera, Skin photoprotection improvement: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lipid nanoparticles and organic UV filters, Int. J. Pharm., 414, 276 (2011). 

  14. W. G. Cho, Application of nanoemulsions upon type of cosmetic oils for convergence type of cosmetics, J.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accepted. 

  15. Korea Patent 10-2014-018437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