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no-TiO2를 이용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 제조
Preparation of blocking ultraviolet mica composites using Nano-TiO2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4, 2018년, pp.1197 - 1205  

윤기훈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이재복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특용식물학과) ,  문영진 ((주)솔레온 기업부설연구소) ,  고희경 ((주)솔레온 기업부설연구소) ,  이이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특용식물학과) ,  이동규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외선차단 화장품은 기능성 화장품 중의 하나로서, 유 무기 자외선차단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주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입자의 지름이 60 ~ 100 nm로 자외선 A, B의 차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자외선을 포함한 태양광선에 대해 비활성이 크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유기계 자외선차단제처럼 피부에 흡수 또는 축적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판상 무기안료인 마이카, 자외선차단 효과를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소수성 실리카를 각각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 하였고, 각 물질의 전하 차이에 따른 비화학적인 상호 인력 작용에 의해 마이카에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실리카를 물리적으로 흡착시켰다. 이후, 소수성 표면처리제인 실란을 표면처리 하여 소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는 일반적인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의 응집성을 개선하고 균일한 분산에 따른 자외선차단 효과가 증대되었으며, 소수성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화장품 제형에서의 분산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안료의 표면전하는 제타전위로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의 특성 평가는 FE-SEM, XRD, FT-IR, UV-VIS 등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V protection cosmetics belong to functional cosmetics and contain organic or inorganic UV blocking pigments. The inorganic UV blocking pigments are mainly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It is known that inorganic UV blocking pigment has a diameter of 60 to 100 nm and has good blocking ability of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판상의 무기안료인 마이카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TiO2 나노입자를 물리적으로 흡착시키고,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된 실리카를 흡착시킨 후 실란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하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복합체를 제조하고 화장품 안료로써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 백탁 현상을 줄이는 기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외선의 종류 중 UVB의 특징은 무엇인가? UVA는 가장 긴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으로 흔히 생활자외선이라 불리우며 긴 파장 때문에 실내유리를 통과할 수 있으며 피부의 기저층을 통과하여 진피층까지 도달하며 콜라겐손상에 의한 주름발생의 원인이 된다. UVB는 UVA보다 더 짧은 파장으로 진피의 상부층까지만 도달되는 반면, 피부자극이 훨씬 강하여 색소침착과 함께 일광화상을 일으키고 심하면 발열과 통증, 수포를 일으킬 수 있어서 대다수 표피에 대한 광생물학 반응의 원인이 되는 광선이다. UVC는가장 파장이 짧은 자외선이며 에너지가 가장 강하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무엇이 있는가? 자외선차단 화장품은 기능성 화장품 중의 하나로서, 유 무기 자외선차단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주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입자의 지름이 60 ~ 100 nm로 자외선 A, B의 차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차단제의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과 피부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막아준다. 자외선차단제에서 실질적으로 기능성을 갖는 성분은 일반적으로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HMC), isoamyl p-methoxycinnamate (IMC),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DM)과 같은 유기차단제 성분과 titanium dioxide (TiO2), zinc oxide (ZnO)와 같은 무기차단제 성분으로 구분된다 [1]. 유기자외선 차단제는 사용이 용이하나 피부자극의 문제가 있어 배합에 규제가 따르거나 국가별로 사용량과 사용여부를 제한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I. Y. Oh, S. Y. Kim, J. M. Suk, S. W. Jung, J. O. Park, K. H. Yoo, M. N. Kim,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39, No.2, pp. 141-148, (2013). 

  2. J. C. Yang, "In vitro SPF measurement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s."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Vol.27 (2010). 

  3. Y. M. Yoon, S. H. Bae, S. K. An, Y. B. Choe, K. J. Ahn, I. S. An,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 J. Aesthet. Cosmetol., Vol.11, No.3, pp. 417-426, (2013). 

  4. S. C. Kim, K. D. Nam, H. W. Lee. "Development and efficiency-stabilization of UV blocking agents used to skincare."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12, No.2, pp. 157-163, (1995). 

  5. M. H. Chang. "Research on the change of hair by an ultraviolet A." J.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22, No.2, pp. 561-568, (2016). 

  6. W. S. Jung, E. K. Park, S. P. Kang, S. H. Park, M. J. Lee. "Ultraviolet-A blocking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cilariopsis chorda extract." Kor. J. Fish Aquat. Sci., Vol.43, No.3, pp. 277-279, (2010). 

  7. N. A. Cridland, R. D. Saunders, "Cellular and molecular effects of UVA and UVB." National Radiological Protection Board. Vol.26, No.7, pp. 269 (1994). 

  8. S. Y. Kang, B. S. Chang.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lcs Including General Cosmetics." J. of Cosmetological Science, Vol.6, No.4, pp. 381-387, (2010). 

  9. N. Panina, R. Van de Ven, P. Verwer, H. Meekes, E. Vlieg, G. Deroover, "Polymorph prediction of organic pigments." Dyes and Pigments, Vol.79, No.2, pp. 183-192, (2008). 

  10. H. W. Lee, S. H. Kang, K. D. Nam,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pigments used for cosmetics." J. Korean Oil Chemists' Soc. Vol.11, No.2, pp. 7-15, (1994). 

  11. B. Y. Ahn, J. H. Kim, S. I, Seok, S. Y. Ko, H. K. Chang. "Silica microcapsules containing UV absorber for cosmetics." J.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Vol.13, No.7, pp. 672-678, (2002). 

  12. S. O. Kang, B. S. Chang,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lcs including general cosmetics." Journal of Cosmetological Science, Vol.6, No.4, pp. 381-387, (2010). 

  13. H. J. Lee, "Use and risk of talc in public health."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 Vol.33, No.3, pp. 165-171, (2009). 

  14. L. H. Kligman, "The nature of photoaging: its prevention and repair." Photodermatology, Vol.3, pp. 215-227, (1986). 

  15. H. D. Cho, S. N. Park, "Synergy effect of sun protection factor using method of forming self-assembly of hybrid titanium dioxide." J. Korean Oil Chemists' Soc, Vol.31, No.4, pp. 748-758, (2014). 

  16. Y. Inoue, I. Noda, T. Torikai, T. Watari, T. Hotokebuchi, M. Yada, " $TiO_2$ nanotube, nanowire, and rhomboid-shaped particle thin films fixed on a titanium metal plate." Journal of Solid State Chemistry, Vol.183, No.1, pp. 57-64, (2010). 

  17. D. S. Shin, K. S. Kim, O. S. Lee, S. H. Lee, "Preparation of $SiO_2/TiO_2$ composite particles with planarized $SiO_2$ particles." J. Soc. Cosmet. Sci. Korea, Vol.25, No.1, pp. 37 (1999). 

  18. S. H. Jin, J. H. Hong, I. Kim, J. H. Yun, S. E. Shim, "Effect of vinyltriethoxysilane content on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recipitated silica reinforced silicone rubber." Polymer Korea, Vol.35, No.4, pp. 342-349, (2011). 

  19. G. Lefebvre, L. Galet, A. Chamayou, "Dry coating of talc particles with fumed silica: Influence of the silica concentration on the wettability and dispersibility of the composite particles." Powder Technology, Vol.208, No.2, pp. 372-377, (2011). 

  20. W. T. Kwon, S. R. Kim, Y. H. Kim, Y. J. Lee, D. G. Shin, J. Y. Won, S. C. Oh, "The Effect of Liquid Medium on Silicon Grinding and Oxidation during Wet Grind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51, No.2, pp. 121-12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