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JFET 영역의 이중이온 주입법을 이용한 Power MOSFET의 온저항 특성에 관한 연구
Properties of Reducing On-resistance for JFET Region in Power MOSFET by Double Ion Implantation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8 no.4, 2015년, pp.213 - 217  

김기현 (메이플세미컨덕터 신사업본부) ,  김정한 (메이플세미컨덕터 신사업본부) ,  박태수 (메이플세미컨덕터 신사업본부) ,  정은식 (메이플세미컨덕터 신사업본부) ,  양창헌 (메이플세미컨덕터 신사업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ice model parameters are very important for accurate estimation of electrical performances in devices, integrated circuits and their system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methods for extraction of model parameters in power MOSFETs. For high efficiency, design is important considerations of a po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가지 방법으로 JFET영역에 인을 이온 주입 하여 제작한 550 V급 MOSFET의 전기적 특성을 EDS장치로 분석하였다.
  • JFET영역 이온 주입 공정 이후 P-base, N+ 및 P+ 이온 주입 공정 등 추가 공정을 통하여 단일이온 주입 MOSFET과 이중이온 주입 MOSFET을 제작하였다.
  • JFET영역에 인 단일이온 주입과 인 이중이온 주입 방법을 통하여 제작한 MOSFET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작한 2가지 형태의 MOSFET은 목표 항복전압 550 V를 만족하였으며, 단일이온 주입보다 이중이온 주입한 MOSFET에서 문턱전압, 포화전류 및 온-저항의 특성 개선을 보였다.
  • 본 논문은 power MOSFET의 온-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JFET 영역에 이중이온 주입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중이온 주입의 N형 도펀트로 인(phosphorus)을 사용하였으며, 단일이온 주입과 이중이온 주입으로 제작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논문은 power MOSFET의 온-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JFET 영역에 이중이온 주입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중이온 주입의 N형 도펀트로 인(phosphorus)을 사용하였으며, 단일이온 주입과 이중이온 주입으로 제작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8인치 웨이퍼에 제작한 2가지 조건의 MOSFET 전기적 특성은 EDS (electrical die sorting system, STATEC사 : STA2050) 장치를 사용하여 웨이퍼당 각각 3,000개의 die chip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ower MOSFET의 온-저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N형의 도펀트를 JFET 영역에 추가할 때 미치는 영향은? 에피텍셜 층(epitaxial layer) 위에 제작된 power MOSFET의 온-저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P-base와 gate에 사이인 JFA (junction field area)에 N형의 도펀트를 주입하여 JFET 영역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JFET영역을 추가하면 주변보다 높은 농도로 채널 영역에서 많은 캐리어들이 존재하게 되어 같은 바이어스 조건에서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13].
power MOSFET란?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력공급 장치, 인/컨버터, 모터 제어 및 각종 전원 회로 등에 널리 사용 되는 전력 반도체의 특성 향상 방법이 주목되고 있다 [5-7]. 전력 반도체 중 power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은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항복 전압, 높은 입력 임피던스 및 높은 스위칭 속도를 가진 소자로써 폭 넓게 사용되며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소자이다 [8,9]. Power MOSFET은 매년 고속 스위칭 특성 향상, 저 온-저항(Rds(on))화, 고전압/전류화 등의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더욱 높은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10,11].
스위칭 소자로써 power MOSFET 동작 시 전력효율을 결정하는 것은? Power MOSFET은 매년 고속 스위칭 특성 향상, 저 온-저항(Rds(on))화, 고전압/전류화 등의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더욱 높은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10,11]. 일반적으로 power MOSFET의 주요 성능 지표는 전력 효율, 신뢰성, 제조비용, 스위칭 속도, 항복전압 및 온-저항 등이 있으며, 스위칭 소자로써 power MOSFET이 동작 시 drain과 source간의 온-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로 전력 효율을 결정한다 [12]. 에피텍셜 층(epitaxial layer) 위에 제작된 power MOSFET의 온-저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P-base와 gate에 사이인 JFA (junction field area)에 N형의 도펀트를 주입하여 JFET 영역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 Borionetti, D. Gambaro, S. Santi, M. Borgini, P. Godio, and S. Pizzini, Mater. Sci. Eng. B, B73, 218 (2000). 

  2. D. K. Schroder (New Jersey Wiley, Hoboken, 2006). 

  3. A. Michez, J. Boch, S. Dhombres, and F. Saigne, Microelectron Reliab., 53, 1306 (2013). 

  4. H. Chen, B. Ji, V. Pickert, and W. Cao, IEEE Trans Dev Mater Reliab, 14, 220 (2014). 

  5. Y. Ozcelep and A. Kuntman, Microelectron Int., 29, 141 (2012). 

  6. K. N. Quader, C. C. Li, R. Tu, E. Rosenbaum, P. K. Ko, and C. Hu, IEEE Trans Electron Dev., 40, 2245 (1993). 

  7. R. Habchi, C. Salame, P. Mialhe, and A. Khoury, Microelectron Reliab, 47, 1296 (2007). 

  8. B. Bernoux, R. Escoffier, and P. Jalbaud,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dustrial Electronics, 2016 (2009). 

  9. F. Djahli, M. Bouchemat, and M. Kahouadji, Microelectron J, 31, 333 (1999). 

  10. M. R. Seacrist, Gate Dielectric Integrity: Material Process and Tool Qualification, 102 (2000). 

  11. J. Niccol, Solid State Phenomena, 145, 155 (2009). 

  12. D. Ueda, H. Takagi, and G. Kano, IEEE Trans Electron Dev., ED-32, 2 (1985). 

  13. W. S. Tam, S. L. Siu, B. L. Yang, C. W. Kok, and H. Wong,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51, 2064 (2011). 

  14. S. Kumar and S. Jha, Microelectronics Journal, 44, 884 (2013). 

  15. E. Pomes, J. M. Reynes, P. Tounsia, and J. M. Dorkel,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 177, 1362 (201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