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LiDAR 자료를 활용한 해안지역에 인접한 농경지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raction of Croplands Located nearby Coastal Areas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nd LiDAR Dat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1, 2015년, pp.170 - 181  

정윤재 ((주) 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간정보자료를 이용하여 해안지역에 인접한 농경지 추출에 관한 연구는 해안지역의 농업자원관리를 위해서 중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울진의 해안지역을 촬영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KOMPSAT-2 영상과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해안지역에 인접한 다양한 농경지(일반 농경지 및 산간 농경지) 추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KOMPSAT-2 영상으로부터 정규식생지수(NDVI) 영상을 생성하고,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정규식생지수 영상으로부터 식생지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보간법을 이용하여 항공 LiDAR 자료로부터 디지털 표면모델(DSM) 및 디지털 표고모델(DEM)을 생성한 뒤, 디지털 표면모델과 디지털 표고모델을 구성하는 픽셀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목고도모델(CHM)을 생성하였고,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수목고도모델로부터 편평한 지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DEM으로부터 경사지도를 생성한 뒤,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경사도가 낮은 지표면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농경지 한 면의 최소 면적을 위한 임계값을 설정한 뒤, 식생 지역, 편평한 지역 및 경사도가 낮은 지표면에 모두 해당되고, 설정한 임계값보다 높은 면적을 가진 지역을 추출하고 이를 해안지역에 인접한 농경지라고 정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여 농경지 추출 작업을 수행한 결과, 해안지역에 인접한 일반 농경지의 85% 와 산간 농경지의 15%가 추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search on extracting croplands located nearby coastal areas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sets is the important task for manag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coastal areas. This research aims to extract the various croplands(croplands on mountains and croplands on plain areas) located n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지표면을 표현하기 위해 선형보간법을 이용하여 DEM 및 DSM을 각각 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농경지는 건물 등 인공구조물에 비해서 큰 면적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생성된 DSM과 DEM의 픽셀의 크기는 3m로 결정하였다.
  •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농경지 지역 및 일부 수목지역이 식생지역으로 분류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분류된 식생지역으로부터 수목지역과 농경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LiDAR 자료가 제공하는 지표면의 고도정보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영상이 제공하는 해안지역 지표면의 분광 정보와 항공 LiDAR 자료가 제공하는 해안지역 지표면의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해안지역에 인접한 다양한 농경지를 자동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우선 주어진 KOMPSAT-2 영상으로부터 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영상을 생성하고,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NDVI 영상으로부터 식생지역을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울진 해안지역을 촬영한 고해 상도 위성영상인 KOMPSAT-2 영상과 항공 LiDAR 자료에서 제공하는 지표면의 분광 및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해안지역에 인접한 다양한 형태의 농경지(산간 농경지 및 일반 농경지) 추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여 해안지역에 인접한 다양한 농경지를 추출한 결과, 일반 농경지의 추출율은 85%이고, 산간 농경지의 추출율은 15%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첫 번째, 산간 농경지는 다랭이논 등과 같이 산간 지역에서 층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경사도를 가진 지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MAFRA, 201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해안 지역에 인접한 대부분의 농경지는 경사도가 낮은 평야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경사도가 높은 지표면에 위치한 산간 농경지가 추출되지 않았다. 두 번째, 산간 농경지는 좁고 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 농경지에 비해 그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다 (MAFRA, 2012).
  • 그림 3과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 대상지역은 해안지역에 인접하면서 최대 해발 고도가 92m 라는 사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에서 대부분의 산간 농경지 및 일반 농경지는 경사도가 낮은 지표면(low slope areas)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 연구대상지역에서 추출하고자하는 농경지는 산간 지역이 아닌 평야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구대상지역에 위치한 농경지 한 면의 형태는 좁고 긴 형태가 아닌 넓은 형태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한 면의 면적이 최소 1,000㎡이상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림 4(b), 6(b) 그리고 7(b)에서 추출한 식생 지역(vegetation areas), 편평한 지역(plain areas), 경사도가 낮은 지표면(low slope areas)에 모두 해당되고 동시에 면적이 1000㎡이상인 지역을 추출하여 농경지 지역이라고 정의하였다(그림 8).
  • 연구대상지역에서 추출하고자하는 농경지는 산간 지역이 아닌 평야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구대상지역에 위치한 농경지 한 면의 형태는 좁고 긴 형태가 아닌 넓은 형태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한 면의 면적이 최소 1,000㎡이상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농지)란 무엇인가? 농경지(농지)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되는 토지를 의미하며(MAFRA(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2),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일반 농경지(croplands on plain areas)와 산간 농경지(croplands on mountains)로 구분한다. 일반 농경지는 평야 지역에 위치한 농경지를 의미하며, 산간 농경지는 다랭이 논 등과 같이 경사진 산비탈을 개간하여 층층이 만든 계단식 논경지를 의미한다 (MAFRA, 2012).
공간정보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해안지역은 인공 및 자연재해로 인하여 지표면이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현장답사를 통한 지상측량방식은 해안지역에 인접한 농경지 조사에 많은 한계가 있다. Landsat,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등의 위성영상및 항공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자료를 포함한 공간정보자료는 해안 지역에 인접한 농경지에 접근하지 않고도 지표면의 분광 및 지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Liu et al., 2009; Hong et al.
LiDAR 자료로부터 추출한 DSM과 DEM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선 LiDAR 자료로부터 DSM과 DEM을 각각 추출하였다. DSM은 수목, 건물, 식생 등 지표면 위에 존재하는 인공 및 자연지물의 표고값을 나타내는 그리드 형태의 자료를 의미하며, DEM은 식생과 인공지물을 포함하지 않는 지형만의 표고값을 나타내는 그리드 형태의 자료를 의미한다(ArcGIS Help 10.1,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ung, Y.J. 2014a. Mapping levees using LiDAR data and multispectral orthoimages in the Nakdong river basins, South Korea. Remote Sensing 6(9):8696-8717. 

  2. Choung, Y.J. 2014b. Analysis of land uses in the Nakdong river floodplain using RapidEye imagery and LiDAR D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 189-199 (정윤재. 2014. RapidEye 영상과 LiDAR DEM을 이용한 낙동강 범람원 내토지 이용 현황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189-199). 

  3. Choung, Y.J., H.C. Park and M.H. Jo. 2012. A study on mapping 3-D river boundar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se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87-98 (정윤재, 박현철, 조명희. 2012. 공간정보를 이용한 3차원 하천 경계선 매핑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87-98). 

  4. Han, G.S. and K.N. Kim. 2010.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of coastal sand dunes in Yangyang using aerial photograph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 107-118 (한갑수, 김경남. 2010. 항공사진을 활용한 양양 해안사구 지역의 토지피복 변천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07-118). 

  5. Hong, S.Y., J. Hur, J.B. Ahn, J.M. Lee, B.K. Min, C.K. Lee, Y. Kim, K.D. Lee, S.H. Kim, G.Y. Kim and K.M. Shim. 2012. Estimating rice yield us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509-520 (홍석영, 허지나, 안중배, 이지민, 민병걸, 이충근, 김이현, 이경도, 김선화, 김건엽, 심교문. 2012. MODIS NDVI와 기상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벼 수량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5):509-520). 

  6. Jensen, J.R. 2006.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An Earth Resource Perspective. Prentice Hall, 608pp. 

  7. Jones, H.G. and R.A. Vaughan. 2010. Remote Sensing of Vegetation: Principle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384pp. 

  8. Jung, J.H., I.K. Jung, J.Y. Park and S.J. Kim. 2012. Development of a web GIS-based real-time agricultural floo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15-25 (정정혁, 정인균, 박종윤, 김성준. 2012. 웹 GIS 기반 실시간 농촌홍수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15-25). 

  9. Kim, G.Y., J.H. Kim and S.J. Kim. 2007. Busan use area change pattern research of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136-145 (김가야, 김정호, 김성진. 2007. 부산시 해안지역의 용도지역 변화패턴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 136-145). 

  10. Kim, H.O. and J.M. Yeom. 2012. A study on object-based image analysis methods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26-41 (김현옥, 염종민. 2012. 농촌지역 토지피복분류를 위한 객체 기반 영상분석기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26-41). 

  11. Lee, G., D. Koh and W. Kim. 2004. Efficient construction of topographic data for flood mapping using digital ma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1) :52-61 (이근상, 고덕구, 김우구. 2004.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1)52-61). 

  12. Lee, J.W., G.A. Park, H.K. Joh, K.H. Lee, S.I. Na, J.H. Park and S.J. Kim. 2011.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indices and crop yield using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imagery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3):75-82 (이지완, 박근애, 조형경, 이규호, 나상일, 박종화, 김성준. 2011. KOMPSAT-2 위성영상과 현장 측정자료를 통한 식생지수와 수확량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3):75-82). 

  13. Lee, S.J., Y.S. Choi and H.S. Yoon. 2012. Estimation of carbon dioxide stocks in forest using airborne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0(3):259-268 (이상진, 최윤수, 윤하수. 2012.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고정량 추정. 한국측량학회지 30(3):259-268). 

  14. Liu, J., R. Li, S. Deshpande. X. Niu and T.Y. Shih. 2009. Estimation of blufflines using topographic LiDAR data and orthoimages. PE&RS 75(1):69-79. 

  15. Liu X. and Y. Bo. 2015. Object-based crop species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irborne hyperspectral images and LiDAR data. Remote Sensing 7(1):922-950. 

  16. MAFRA. 2012. Documents for managing agricultural tasks. MAFRA, Seoul, South Korea. 528pp (농림축산식품푸. 2012. 농지업무편람. 농림축산식품부. 528쪽). 

  17. Pittman, K., M.C. Hansen, I., Becker-Reshef, P.V. Potapov and C.O. Justice. 2010. Estimating global cropland extent with multi-year MODIS data. Remote Sensing 2(7):1844-1863. 

  18. Thenkabail, P.S. and Z. Wu. 2012. An automated cropland classification algorithm(ACCA) for Tajikistan by combining Landsat, MODIS, and secondary data. Remote Sensing 4(10): 2890-2918. 

  19. Vancutsem, C., E. Marinho, F. Kayitakire, L. See and S. Fritz. 2013. Harmonizing and combining existing land cover/land use datasets for cropland area monitoring at the African continental scale. Remote Sensing 5(1):19-41. 

  20. Yang, J.Y. and C.U. Choi. 2006. An analysis of the coastal topography and land cover changes in the haeundae bea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1):101-115 (양지연, 최철웅. 2006.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안지형 및 토지 피복 변화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101-115). 

  21. http://resources.arcgis.com/en/help/main/10.1/index.html#//015w0000004q000000. 

  22.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00530. 

  23. http://www.osaka-info.kr/intro/outdoor/chihayaakasakamura.ph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