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화학물질 관리 연구-2. 환경부와 고용노동부의 관리 화학물질의 구분, 노출기준 및 독성 지표 등의 특성 비교
Study on the Chemical Management - 2.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and Health Index of Chemicals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the Employment and Labor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5 no.1, 2015년, pp.58 - 71  

김선주 (서울대학교) ,  윤충식 (서울대학교) ,  함승헌 (서울대학교) ,  박지훈 (서울대학교) ,  김송하 (서울대학교) ,  김유나 (서울대학교) ,  이지은 (서울대학교) ,  이상아 (서울대학교) ,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이권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하권철 (창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hemical substances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 and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CSCA) and to compare several health indices (i.e., Time Weighted Average (TWA), Lethal Dose ($LD_{50}$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안법과 화관법상에서 화학물질 분류체계를 고찰하고, 각각 법에서 구분하고 있는 분류체계별 화학물질의 종류와 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 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화학물질의 특성을 GHS 분류 중 건강 유해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 가 추가로 제시되어 있어 실제로는 6개의 다른 화학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S No.를 가진 물질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으며, 이성질체라서 물질특성이 다른 경우(예, Xylene, CAS N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 분류는 건강유해성 내에서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산안법과 화관법의 관심이 되는 화학물질의 특성은 화학물질 분류와 표지에 대한 세계적인 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GHS)의 분류기준에 따라 크게 건강 유해성(Health hazards), 물리적 위험성(Physical hazards), 환경유해성(Environment hazards)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건강 유해성 내에서는 발암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및 생식독성 물질(Carcinogens, Mutagens or Reproductive toxicants, CMR), 급성독성(Acute toxicity), 흡인 유해성(Aspiration hazard)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끓는점, 증기압, 인화점 등은 물리적 위험성에, 경구독성(Lethal Dose, LD50), 흡입독성(Lethal Concentration, LC50)은 급성독성에, 발암성 물질(Carcinogenicity), 생식세포변이원성(Germ cell mutagenicity), 생식독성(Reproductive toxicity)은 건강 유해성 중 CMR 물질에 포함된다.
2014년 기준 국내에는 어느정도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는가? , 2014). 2014년 기준 국내에는 약 45,000여 종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신규화학물질은 매년 300 ~ 400여 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 유통되는 화학물질 중 유해정보가 확인된 물질은 15% 밖에 되지 않는다(Byun, 2013). 최근에는 반도체 및 자동차산업 등 공정이 복잡하며, 다양한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첨단산업의 발전으로 유해성이 확실하지 않은 물질에 대한 노출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다.
화학물질의 특성은 GHS의 분류기준에 따라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산안법과 화관법의 관심이 되는 화학물질의 특성은 화학물질 분류와 표지에 대한 세계적인 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GHS)의 분류기준에 따라 크게 건강 유해성(Health hazards), 물리적 위험성(Physical hazards), 환경유해성(Environment hazards)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건강 유해성 내에서는 발암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및 생식독성 물질(Carcinogens, Mutagens or Reproductive toxicants, CMR), 급성독성(Acute toxicity), 흡인 유해성(Aspiration hazard)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yun HJ, Effective risk management system for chemicals in industries, Industrial Engineering & Management Systems 2013;20(2):32-36 

  2. Cho HH, Yi KH. A study on role and statu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Looking at the legal history, Kyungpook Natl. Univ. Law Journal 2011;37:23-82 

  3. Choi SJ, Phee YG, Kim SB, Kim W, A comparative legal study of Germany,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Korea for the regulations on special management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3;23(2):137-147 

  4. Fred A.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chemical industry. Chemical Heritage Foundation; 2001. p. 1-16 

  5. Im CH, Understanding carcinogenic substances,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2013;301:15-20 

  6. Korea Information System for Chemical Safety Management, Chemicals information, Available from:URL: http://kischem.nier.go.kr [accessed 18 January 2015] 

  7. Korea Occupatioanl Safety and Health Agency, MSDS, Available from:URL: http://www.kosha.or.kr [accessed 18 January 2015] 

  8. Lee BW, Lee KJ, Park JP, Shin DI, Advancement plan on hazardous material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criteria in UN GHS and Safety Control of Dangerous Substances A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2013;17(5):42-50 

  9. Lee KS, Jo JH, Choi JH, Shin HH, Yang JS, Study on the validity of sele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9;19(2):139-155 

  10. Megumi S, Hiroshi T, Takeshi H, The contribution of acute toxicity in animals to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of chemical substances, Industrial Health 1999;37:22-27 

  11. Ministry of Employment Labor(MoEL). Exposure limit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Available from:URL: http://www.moel.go.kr [accessed 18 January 2015] 

  12. Ministry of Environment(MoE), A study on criteria improvements of toxic chemicals management and handling facility. 2007 Research Report. 2007 

  1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aw and Provision, Available from:URL: http://www.law.go.kr [accessed 18 January 2015]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Available from:URL: http://www.nier.go.kr [accessed 18 January 2015] 

  15. Park JS, Kim YH, Park DW, Choi KS, Park SH, Moon YH, An outbreak of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disorders due to solvents containing 2-Bromopropane in an electronic factory, South Korea: epidemiological surve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1997;39:138-143 

  16. Shin JY, Leem JH, Kim YK, Park SG, Lee JN, Kim HC et al., A case of peripheral polyneuropathy occurring in a small enterprise processing mobile phone ca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138-143 

  17. Yoon CS, Ham SH, Park JH, Kim SJ, Lee SA, Lee KS, Park DU, Comparison between the Chemical Management Contents of Laws Pertain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the Employment and Labo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4;40(5):331-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