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독립운동 지식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The Management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6 no.1, 2015년, pp.203 - 239  

장우권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문헌정보와 아카이브적 측면에서 학생독립운동의 지식정보자원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자료수집, 자료해제, DB구축과 아카이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학생독립운동과 지식정보자원 관련 문헌적 고찰과 일제식민지 치하 학생독립운동 시발과 그 운동과정에서 생성된 자료들의 유통과 이들 자료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 조사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운동과 투옥 그리고 재판의 과정에서 다양한 문헌정보를 생산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정보자원관리와 아카이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독립운동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나타내고 진일보한 학생독립운동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n archive on the management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a viewpoint document information and archives. This study consists of two aspects : a document investigation based on Student Indepen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의 독립운동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의 독립운동은 역사적 동인(動因 과 시공간에서 발생하였다 이것은 19세기 말 동학운동, 1919년 3·1운동, 1926년 6·10 만세운동,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1945년 광복 등 민족과 국가의 정체성확립과 발전으로 확대(민족과 국가의 자존과 자주)되었다 학생독립운동은 그 형성과 발전에서 다수의 지식정보자원이 발생하였다.
독립운동이란? 일반적으로 독립운동은 식민지배 기간 이후에 식민지화된 국가에 의해 정치적 독립이 성취되는 행위이다. 20세기 민족주의적 독립운동은 거의 모든 식민지에서 성장하였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대부분 제3세계에서 식민지적 지배를 종식시키는 데 일차적으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사0회학 사전 00).
각 지방의 독서회 조직과 활동내역은? ㆍ1927. 부산제2상업학교 독서회 : 식민지 현실의 타개책을 논의 ㆍ1928. 북청농업학교독서회: 독서력의 양성, 학식 교환, 참고서 이용 등(학교 당국 허가받음), 전교 학생대회 개최, 전교생 약 70명을 선출하여 독서토론 진행, 학교교실을 이용하여 공개적으로 사회과학을 학습 ㆍ1928. 이리농림학교 마르크스 사회과학연구회 조직 ㆍ1929. 강릉공립농업학교 28명의 학생들이 독서회조직, 사회주의 서적 회람강독 광주농업독서회, 광주고보독서회, 광주사범독서회 등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光州學生獨立運動紀念事業會. 2009. 光州學生獨立運動 略史. 光州: 光州學生獨立運動紀念事業會.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Society. 2009. An Outline History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Gwangju: Gwangju Student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Society. 

  2. 光州學生獨立運動同志會 編. 1974. 光州學生獨立運動史. 光州: 國際文化史.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Comrade Society. 1974. History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Gwangju: Gukjae Moonha Sa. 

  3. 김기주. 2009. 광주학생운동 이전의 항일 동맹휴학. 광주학생운동의 전개양상과 의의. 광주학생운동 8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2009.11.2.). 한국독립운동연구소.전남대학교.호남사학회, 1-45. Kim, Kee-Joo. 2009. "an anti-Japanese Strike of Students former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The 80th Anniversary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2009 International Symposium. 1-45. 

  4. 김성민. 2013. 1929년 광주학생운동. 서울: 역사공간. Kim, Sung-Min. 2013.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n 1929. Seoul: Jgonggan. 

  5. 金性旼. 2006. 1920년대 후반 광주지역 학생운동 조직의 발달. 한국근현대사연구, 37: 193-232. Kim, Sung-Min. 2006. "The Development of Late 1920's Student Movement Organization in Kwang-ju area."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37: 193-232. 

  6. 김호일. 1991. 일제하 학생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Kim, Ho-Il. 1991.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under Japanese Imperialism. History of Immigration Research Institute of Independence Hall of Korea. 

  7. 김홍길. 2009. 광주학생독립운동과 5월 광주항쟁의지 네트워크. 광주학생독립운동 80주년 기념,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기획패널: 1-26. Kim, Hong-Gil. 2009.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May Gwangju Democracy Movement Will Network." The 80th Anniversary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Planning panel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 1-26. 

  8. 마쓰오카 세이코(松岡正剛) 외. 1998. 정보문화학교. 김역균 역. 서울: 살림. Masoka Seigo et al. 1998. Information Cultural School. Kim, Yeok-Gyun, translation. Seoul: Sallim. 

  9. 박지대. 2011. 기록관리개론. 국가기록원. Park, Ji-Dae. 2011. Records & Archive Management. National Archives of Korea. 

  10. 사공복희, 장우권. 2004. 재중 조선족 정보자원 생산과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9(1): 173-201. Sagong, Bok-Hee, Chang, Woo-Kwon. 2004. "The General Facts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Contents of Chinese Koreans."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9(1): 173-201. 

  11. 사회문화연구소. 2000.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Social Research Institute. 2000. Dictionary of Sociology. Social Research Institute. 

  12. 윤경로. 1988. 자료:이현상과 1928년의 학생공산당사건. 역사비평, 겨울호: 346-369. Yoon, Kyung-Ro. 1988. Source: Lee, Hyun-Sang and Communist Party of the Student Case in 1928. Critical Review of History, Winter: 346-369. 

  13. 이명규 외. 2005. 재외한인의 문헌정보자원과 실제. 서울: 집문당. Lee, Myoung-Gyu et al. 2005. Library & Information Resources of Overseas Korean and Reality. Seoul: Jibmoondang. 

  14. 張錫興. 1994. 조선학생과학연구회의 초기조직과 6.10만세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8. Chang, Seok-Heung. 1994. Initial Organization of Joseon Student Society for Science Study and 6.10 Movement. The History Stud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8. 

  15. 장우권. 2004. 정보문화창조과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292-314. Chang, Woo-Kwon. 2004. "A Study on the Information Cultural and Creat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4): 292-314. 

  16. 장우권. 2012.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404-425. Chang, Woo-Kwon. 2012. "A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404-425. 

  17. 장우권 외. 2014. 일제강점기 학생독립운동 연구 현황: 학생독립운동 학술연구의 흐름과 동향. 광주: 전남대학교 학생독립운동연구소. Chang, Woo-Kwon et al. 2014. Research Status of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Gwangju: Research Centre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8. 장우권 외 공역. 2014. 제2의 3.1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조선학생사건에 대한 해외조선인의 행동과 중국인의 동조. 광주: 전남대학교 학생독립운동연구소. Chang, Woo-Kwon et al. joint trans.. 2014. The 2nd 3?1 Movement,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Abroad's Behavior on the Korean Student Incident and Chinese' Conformity. Gwangju: Research Centre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 장우권 외 편. 2014. 일제강점기 학생독립운동 신문기사 색인집. 광주: 동일출판문화원. Chang, Woo-Kwon et al. ed.. 2014. A Newspaper Article Indexes of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Gwangju:Research Centre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 장우권 외 편역. 2014.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진상. 광주: 전남대학교 학생독립운동연구소. Chang, Woo-Kwon et al. ed. trans.. 2014. The Truth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Gwangju: Research Centre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1. 趙東杰. 1993. 한국근대 학생운동 조직의 성격변화.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 연구. 지식산업사. Cho, Dong-Geol. 1993. Korean Modern Student Movement Organization's Personalty Changes. Knowledge Industry Co.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Society. 2009. An Outline History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Gwangju: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Society. 

  22. 한국기록학회 편.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Compilation. 2008. Dictionary of Records and Archival Terminology. Seoul: Critical Review of History Co. 

  23.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The Dictionary of Library Information Science. Revised Ed.. Seoul: KLA. 

  24. 姜在彦. 1979. 光州抗日學生事件資料. 風媒社. 

  25. 李磐松. 1933. 朝鮮社會思想運動沿革略史. 

  26. 一記者. 1926. 在京學生團體의 內面. 開關, 72. 

  27. 一月會思想運動史. 1926. 思想運動, 3(2): 36-41. 

  28. 朝鮮?督府?務局. 昭和五5年 二月. 全羅南道光州に於ける內韓人生徒鬪爭事件の?相竝えが鮮內諸子校 に及ぼ?たる影響. 朝鮮?督府. 

  29. 評江汕二. 1979. 改訂增補 朝鮮民族獨立運動秘史. 改訂增補. 

  30. Sandman, P. M., Rubin, P.M., & Sachman, D.B. 1972. Media. N.J: Prentice-Hall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