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의 이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Factor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353 - 379  

전정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보매체 및 정보서비스 연구영역에서 새로운 분석기준으로 대두되고 있는 이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한 경험요인을 개발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선정한 분석 기준을 기반으로 이용자 경험 샘플링 방법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통해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지각요인과 이용자 경험요인을 도출하였다. 수행결과 총 9개의 경험요인에 대한 55개의 세부 경험요인, 138개의 시스템 지각요인으로 구성된 이용자 경험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추상적 개념인 이용자 경험을 실험을 통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측정 가능한 요인으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도출된 이용자 경험 요인은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자 경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 user experience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from the user experience perspectives, which is emerging as a new analysis standar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media and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select...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특정 시스템에 한정된 의견을 배제하기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지식정보자원의 유형별로 대표적 정보시스템을 선정하여 이용자의 선택하게 하였으며, 각 유형별 복수의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공통적 과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과업 수행 시 경험하는 시스템 관련 모든 의견을 실험지에 기입하도록 하였다. 실험대상 지식정보자 원시스템은 역사정보시스템(7명), 전자도서관 (10명), 학술정보시스템(10명), 아카이브(9명) 의 네 가지 유형의 기관에 대하여 유사한 비율로 실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반영되지 않았던 지식 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의 이용 경험 측면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지식정보자원 시스템 이용자의 총체적 경험구조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실제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식정보자원을 제공하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기존의 도서관, 기록관에서 구축한 정보시스템뿐만 아니라 전통적 정보자원을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도 범위를 확장하여 연구들을 조사하였다.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이 일반화된 1990년도 후반 부터 2017년 현재까지 국내 지식정보자원시 템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및 평가 연구현황을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 경험요인을 개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이용자 경험 관점에서의 지식정보자원시스템 분석을 위한 기준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의 실제적 경험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과업지시서를 이용일지로 사용하여 이용자 경험 샘플링 방법을 적용한 이용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이용성 평가 실험의 주 목적은 시스템의 이용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으나(Dumas & Redish, 1999),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과업 수행과정에서 이용자가 실제로 경험하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기 때문에 전형적인 이용성 평가 실험방법을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이 시스 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정보들을 이용자가 화면구조상에서 어떠한 요소를 통해 지각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실험결과 총 385개의 인터페이스 관련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인터페이스 요소는 실험 참여자 개인의 특성과 어휘사용 패턴, 정보에 대한 조직적 사고 성향에 따라 다양한 차원에서 제시되었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자원 이용자의 정보이용 맥락 전반을 반영할 수 있는 이용자 경험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이용성 판단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 경험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어떠한 요인을 통해 이용자에게 지각되고, 어떠한 인지 과정을 거쳐 시스템 이용 경험을 결정하는 주관적 판단의 근거로서 작용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이러한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요인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자 경험 지표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지식정보자원 이용자의 정보이용 맥락 전반을 반영할 수 있는 이용자 경험요인을 도출하고자 하는 이유는? 그러나 현재 이용자 경험 연구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분석대상은 지식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들이 아닌 콘텐츠를 기반으로 이차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는 미디어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류정우, 김유리, 서봉원, 2014; 박상후, 김상미, 한승미, 2014). 미디어 플랫폼은 제공하는 정보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해당 정보에 원활하게 접근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의의를 가지고 있는 정보시스템과는 이용자의 이용목적에서부터 차이가 있어(이혜정, 2010), 미디어 플랫폼을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의 이용자 경험 연구에서 밝혀 낸 경험요인 및 분석기준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 활동의 기반이 되는 지식정보자원 시스템은 인간의 지적 활동 결과를 정보로 전달 하기 위한 방법 및 수단으로서 학술적 관점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시스템 이용자 경험 요소에 대한 규명과 분석을 위한 방법적 체계의 부재로 인해 아직까지는 시스템 이용자의 총체적 이용 맥락 관점에서 분석이 수행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이용자 경험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일반적으로 이용자 경험은 제품이나 시스템,서비스를 이용하려고 예상하거나, 이용한 결과로 나타난 사람의 인지와 반응을 의미한다(ISO 9241-210). 그러나 이용자 경험은 인간의 인지와 지각의 요인으로서 전통적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각 분야의 특성에 맞추어 주요 변수로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 ‘경험’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친숙성에 비해 ‘이용자 경험’에 대한 개념의 범위 및 속성은 명확하게 정의내리기 어려우며 측정 및 판단을 위한 기준도 명확하지가 않다 (Forlizzi & Battarbee, 2004; Leong, 2006).
이용자 경험 관점에서 수행되는 분석 및 평가의 장점은?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 및 제공하는 정보 콘텐츠의 양적, 질적 측면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이러한 연구들은 이용성(usability)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되는 이용의 편의성 측면, 넓게는 이용 전반의 유용성 부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이용자 중심의 시스템 설계방안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서은경, 2011; 오인균, 정석길, 2014; 정수진, 이지연, 2011; Taylor, 1986). 이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은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등장한 개념으로 이용자 경험 관점에서 수행되는 분석 및 평가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항목이나 이용자의 편리성, 유용성과 같은 측면만이 아닌 궁극적으로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설계를 강조하고 있어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엄기 준, 2014; 이동원, 김재정, 이강욱, 이호원,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Kang, Jaejung, & Moon, Taesoo (2008).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based online learning systems influencing on the flow experienc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arch, 8(2), 61-83. 

  2. Kang, Hyuneung (2012). The impact of user interface and emotional experience on brand ident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8(1), 1-12. 

  3. Kim, Sangheon, & Kim, Nayun (2011). Knowledge hierarchy for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2), 711-722. http://doi.org/10.5392/JKCA.2011.11.12.711 

  4. Kim, Jinwoo (2012). Human-computer interaction: Principles and methods for UX innovation. Ahn Graphics. 

  5. Kim, Hyunjin, Kim, Kwangjae, Heo, JunYeon, Kim, Minjun, Yim, JinHo, Shin, Seungcheo, & Ahn, HyoIn (2012). Developing an user experience evaluation system. Proceeding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356-1362. 

  6. Roh, Joohwan (2011). UXDESIGN. Seoul: Mentor. 

  7. Ryu, Jeongwoo, Kim, Yoori, & Suh, Bongwon (2014). Research on browsing experience of smartphone applications. Proceeding of HCI KOREA, 363-370. 

  8. Maeng, Seungwoo, & Lee, Eunjong (2008).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model in product design- focused on the information appliance. Proceeding of HCI KOREA, 874-879. 

  9. Moon, Heeyung, Han, Sung H., Park, Jaehyun, Kim, Hyun K., & Oh, Seunghwan (2010). A literature survey of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Proceeding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14-117. 

  10. Park Sanghoo, Kim, Sangmi, & Han Seungmi (2014). Analysis of multitasking in the context of using multiple mobile devices. Proceeding of HCI KOREA, 404-411. 

  11. Park, Jongmin, Ha, hyunnam, Hong, Sangwoo, & Chung, Kyungwon (2014). Building service UX index: Measuring UX satisfaction in mobile content services.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9(2), 41-51. http://doi.org/10.17210/jhsk.2014.11.9.2.41 

  12. Park, Taesung, Lee, Cindy, Seo, Julie, & Lee, Rick (2004). A study on the timely execution of usability testing on a specific phase of website development project. Proceeding of HCI KOREA, 1574-1579. 

  13. Ban, Juncheol (2013). Long-lasting UX design. Seoul: Hanbit Media. 

  14. Seo, Eunkyung (2001).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interface metaphor model in search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8(3), 179-201. 

  15. Seo, Eunkyung (2011). A review on user interface research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7-31. http://doi.org/10.3743/KOSIM.2011.28.4.007 

  16. Son, Youngmin, & Lim, Junghoon (2014). A study on the mobile application UX assessment table development for infant educ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3(3), 63-72. http://doi.org/10.21195/jidr.2014.13.3.006 

  17. Um, GiJun (2014). A study on UX guideline of the University mobile web the perspective of an information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14(2), 161-170. http://doi.org/10.17280/jdd.2014.14.2.016016 

  18. Um, Myoungyong, & Kim, Taeung (2010). Flow experience of digital contents: Focusing on the case of online gam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209-216. http://doi.org/10.5392/JKCA.2010.10.8.209 

  19. Yee, Jongseok, & Yang, Sungho (2001). The effect of loyalty program on the value recognition and loyalty of custome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4), 23-37. 

  20. Oh, In Kyun, & Jung, Sukgill (2014).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rends on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Journal of Digital Design, 14(2), 247-256. http://doi.org/10.17280/jdd.2014.14.2.024024 

  21. Lee, Dongwon, Kim, Jaejeung, Lee, Kangwook, & Lee, Howon (2011). A study on technology valuation method considering UX. Proceeding of HCI KOREA, 1146-1149. 

  22. Lee, Seung-Min, & Jung, Hoe-Kyung (2011).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PHon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9), 293-301. http://doi.org/10.5392/JKCA.2011.11.9.293 

  23. Lee, Jeeyeon, & Kim, Junsup (2016). Analyzing the trends of the korean information user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201-223. http://doi.org/10.3743/KOSIM.2016.33.4.201 

  24. Lee, Changwook (2010). The status of cultural interface by emergence of new media's cont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33, 26-34. 

  25. Lee, HyeJung (2010). UX design, applying the model of future content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7, 51-64. 

  26. Jeong, Sujin, & Lee, Jeeyeon (2011).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for the usability of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355-376. http://doi.org/10.3743/KOSIM.2011.28.3.355 

  27. Ha, Youngkyong, & Pan, Younghwan (2015). A study on user research methods of UX design based on time. KSDS Conference Proceeding, 220-221. 

  28. Consolvo, S., & Walker, W. (2003).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to evaluate ubicomp applications. IEEE Pervasive Comput, 2(2), 24-31. DOI: 10.1109/MPRV.2003.1203750 

  29.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xiet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0. Dervin, B., & Nilan, M. (1986). Information needs and use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ARIST), 21, 3-33 

  31. Desmet, P., & Hekkert, P. (2007). Framework for produc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1(1), 57-66. 

  32. Dumas, J. S., & Redish, J. (1999). A practical guide to usability testing. The Mill, UK: Intellect Books. 

  33. Forlizzi, J., & Battarbee, K. (2004, August). Understanding experience in interactive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5th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Processes, practices, methods, and techniques (pp. 261-268). 

  34. Ghani, J., & S. Deshpande. (1994). Task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optimal flow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128(4), 381-391. 

  35. Hassenzahl, M. (2002). The effect of perceived hedonic quality on product appealing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13, 479-497 

  36. Hiltunen, M., Laukka, M., & Luomala, J. (2002). Mobile user experience. Finland: Edita Publishing Inc. 

  37. Johnson, J. (2008). GUI bloopers: Don'ts and do's for software developers and web designers. San Franscisco, CA: Elsevier Science 

  38. Karapanos, E., Zimmerman, J., Forlizzi, J., & Martens, JB. (2009). User experience over time: An initial framework.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729-738. ACM. https://doi.org/10.1145/1518701.1518814 

  39. Kujala, S., Roto, V., Vaananen-Vainio-Mattila, K., Karapanos, E., & Sinnela, A. (2011). UX Curve: A method for evaluating long-term user experience. Interacting with Computers, 23(5), 473-483. https://doi.org/10.1016/j.intcom.2011.06.005 

  40. Law, E. L. C., van Schaik, P., & Roto, V. (2014). Attitudes towards user experience(UX)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72(6), 526-541. https://doi.org/10.1016/j.ijhcs.2013.09.006 

  41. Leong, T. W. (2006, June). Designing for experiences: randomness as a resource. In Proceedings of the 6th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pp. 346-347). 

  42. Marcus, A. (2006). Cross-cultural user-experience design,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ory and Application of Diagrams, 4045: 16-24. https://doi.org/10.1007/11783183_4 

  43. Nielsen. J. (1994). Usability engineering, cambridge. MA: Academic Press. 

  44. Norman, D. A. (1998). The invisible computer. Cambridge, USA: MIT Press. 

  45. Obrist, M., Roto, V., & Vaananen-Vainio-Mattila, K. (2009). User experience evaluation: Do you know which method to use?. In CHI'09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763-2766. ACM. https://doi.org/10.1145/1520340.1520401 

  46. Roto, V. (2006). Web browsing on mobile phones -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 Ph.D. diss., Department of Technology, Helsinki University, Finland. 

  47. Taylor, R. S. (1986). Value-added processes in information systems. Norwood, NJ: Ablex. 

  48. Tullis, T., & Albert, B. (2008).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Collecting, analyzing, and presenting usability metrics. San Fransisc, CA: Morgan Kaufmann. 

  49. Vermeeren, A. P., Law, E. L. C., Roto, V., Obrist, M., Hoonhout, J., & Vaananen-Vainio-Mattila, K. (2010).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 needs. In Proceedings of the 6th Nordic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Extending Boundaries, 20(3), 521-530. ACM. https://doi.org/10.1145/1868914.1868973 

  50. Walton, G. (2015). What user experience(UX) means for academic libraries.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21(1), 1-3. https://doi.org/10.1080/13614533.2015.1001229 

  51. Yamazaki, K., & Furuta, K. (2007). Design tools for user experience design, Human-Computer Interaction, 4550, 298-307. https://doi.org/10.1007/978-3-540-73105-4_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