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소요공간에 따른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Program Based on the Library Facility Program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6 no.3, 2015년, pp.349 - 379  

고재민 (수원과학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  조현양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고흥권 (수원과학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80년대에 79개관에 불과했던 전국 공공도서관이 2013년 말 기준으로 885개관에 이르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 건립된 도서관이 전체 도서관의 60%를 넘어서고 있을 정도로 도서관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상당한 양적팽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른 질적 측면도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공간구성에 대한 이용자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디지털열람실과 문화교육실의 증가는 2000년 전 후의 변화에 따른 시사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 공간구성 비율에서 벗어나 시대에 적합한 도서관 공간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1980~1990년대 준공된 공공도서관과 2000년 이후 설립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대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형태를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장서보존과 열람 기능이 강조되었던 1980~1990년대와 이용자의 측면을 고려하여 문화영역 기능이 확대된 200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의 소요시설별 면적비율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현시점의 도서관 공간의 중요 고려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시대요구와 부합할 수 있는 면적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최종연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1980's opening 79 of the end of 2013, the National Public Library that had been It was 885 its opening remains in effect. Especially in the 2000s after 60% of the whole library, a library erected since the advent of the library is enough to be a significant quantitative expansion. The resul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로써 일반 공공건축에서의 공용면적비율인 약 40%에 비하여 많이 적은 비율이나, 이는 오히려 공공도서관에서의 공용공간 비율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낮게 구성하고 열람기능을 더욱 고려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고려요소라고 판단된다. 2000년 이전의 공간과 이후의 공간별 차이점은 분석종합에서 상호비교를 통해 더욱 자세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 시기별 공공도서관의 공간변화와 면적구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요공간 기준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기준이 될 수 있는 소요시설편성기준를 고찰하고, 면적산정 방법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적용한다. 2000년 전후의 소요공간 변화양상과 그에 따른 면적구성비율의 변화를 도출함으로써 현시점의 공공도서관의 시설별 중요 고려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대상관의 선정기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소요공간과 면적기준에 대한 일련의 시리즈 연구 중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연구로써 2000년을 기점으로 공간구성의 변화와 그에 따른 면적기준 변화양상을 도출하여 현시점의 공공도서관의 시설별 중요 고려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전후의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의 변화와 면적비율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신규로 건립될 공공도서관의 계획시 고려요소를 도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분석내용이 각 시설영역별 면적의 평균면적을 산정하고, 분석한 관계로 현 시점에서의 큰 흐름은 살펴볼 수 있으나, 공공도서관 신규건립시 기준이 될 수 있는 면적산정 및 비율제 시는 한계가 있다.
  • 이에 국내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하여 현시점에 기준이 될 수 있을만한 공간구성체계(페실리티프로그램) 및 면적비율(스페이스프로그램)에 대한 기준연구는 최대의 연구테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여러 고려요소를 적용한 일련의 시리즈적인 연구가 필요한데, 본 연구는 이러한 연계연구 중 초기단계의 연구로써 2000년을 기점으로 전후 시대의 공간구성의 변화와 그에 따른 면적기준 변화양상을 고찰하고 현시점의 공공도서관의 시설별 중요 고려 요소를 도출하여 최종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기반을 다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말 기준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수는 얼마인가? <그림 1>은 2014년 10월에 제공된 전국공공도서관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다이어그램으로 2013년 말 기준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수가 885개에 이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중 57%가 넘는 507개관이 2000년 이후부터 불과 10여년 남짓한 기간 동안 건립된 공공도서관이다.
2000년 이후부터 불과 10여년 남짓한 기간 동안 건립된 공공도서관의 개수는 몇 개인가? <그림 1>은 2014년 10월에 제공된 전국공공도서관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다이어그램으로 2013년 말 기준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수가 885개에 이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중 57%가 넘는 507개관이 2000년 이후부터 불과 10여년 남짓한 기간 동안 건립된 공공도서관이다. 도서관의 필요성을 깨닫고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서관의 양적성장이 급격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도서관 건립 후 공간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관련하여 어떤 연구테마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공간변경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이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관련연구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국내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하여 현시점에 기준이 될 수 있을만한 공간구성체계(페실리티프로그램) 및 면적비율(스페이스프로그램)에 대한 기준연구는 최대의 연구테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여러 고려요소를 적용한 일련의 시리즈적인 연구가 필요한데, 본 연구는 이러한 연계연구 중 초기단계의 연구로써 2000년을 기점으로 전후 시대의 공간구성의 변화와 그에 따른 면적기준 변화양상을 고찰하고 현시점의 공공도서관의 시설별 중요 고려 요소를 도출하여 최종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기반을 다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고흥권. 2013. 公共圖書館 스페이스프로그램의 模型 提案 硏究 : 2000년 이후 국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사논문. 홍익대학교. 42. 48. 56.(Ko, Hung Kwon. 2013. A Study on Suggestion of Space Program Model for the Public Library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after the Year 2000, Ph.D Thesis. Hongik University. 42. 48. 56.) 

  2. 고흥권, 임채진, 임호균. 2012.10. 공공도서관 소요공간 규모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1.(Ko, Hung Kwon. Im, Che Jin. Im, Ho Kyun. 2012. 10.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1.) 

  3. 김우영. 2002. 정보양식의 변화에 따른 사회정보시설의 공간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논문, 서울대학교. 2-4.(Kim, Yoo Young. 2002. A Study on the Spatial System of Social Inform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Shift in Information Style. Ph.D thesis. Seoul University. 2-4.) 

  4. 김은자. 2008. 공공도서관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사논문, 경기대학교. 1.(Kim, Eun Ja. 2008.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by the User's Behavior in Public Library. Ph.D thesis. Kyounggi University. 1.) 

  5. 김정희. 2007. 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전공. 11-34.(Kim, Jung Hee. 2007.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System Based on a Paradigm in Public Library Ph.D thesis Architectur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11-34.) 

  6. 김정희. 이상호. 2005.8.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 건축설계경기를 통해 건립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권 8호. 2.(Kim, Jung Hee. Lee, Sang Ho. 2005. 8. A Study on the Changes in Space Constitution of the Public Libr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 

  7.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10.1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59-82.(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ibrary Information Policy Group an Opportunity. 2010. 12.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59-82.) 

  8. 손정표 외. 1991. 공공도서관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협회.(Son, Jung Pyo. et al. 1991. A Study on Building the Standardized Model of Public Library. Korean Library Association.) 

  9. 은경원. 2006. 공공도서관의 복합화경향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17.(Eun, Kyung Won. 2006.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Mixed-Use Public Libraries. M. A. Thesis. Architectur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17.) 

  10. 이광노 외. 1988. 건축계획, 문운당. 128.(Lee, Kwang No. et al. 1988. Architectural Planning. Muneundang. 128.) 

  11. 이수경. 2009.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유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의 깊이와 회로경험의 관점에서. 박사논문, 한양대학교. 1.(Lee, Su Kyoung. 2009.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Focused on Depth and Browsing Circuit of Space Syntax.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1.) 

  12. 일본건축학회. 1986. 건축설계자료집성 7권: 건축-문화, 집문사. 4.(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1986. The Composition of Design Kit 7:Architectural- Culture. Zipmunsa. 4.) 

  13. 임호균. 2007. 공공도서관 공간체계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미디어 테크를 중심으로. 박사논문, 홍익대학교. 69-102(Im, Ho Gyun. 2007. A Study on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System of the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Mediatheque in France. Ph.D thesis. Hongik University. 69-102) 

  14. 임채진, 고재민, 고흥권 외. 2012.1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계획수립 지원을 위한 웹 시스템 개발연구, 문화체육관광부.(Im, Che Jin. Ko, Jae Min. Ko, Hung Kwon. 2012. 12. Study on Web Systems for Support Public Library Construction Operational Planni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5. 한무영. 2001. 정보.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102-107.(Han, Mu Young. 2001. A Study on the Planning of Public Library Building as an Information Culture Space : Focused on the Plnning of Space Needed for the Local Community. M. A. Thesis Architectural and Urban Graduate Hongik University. 102-1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