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휠 구동 모바일 로봇의 정밀 위치제어
A Precise Position Control of Mobile Robot with Two Wheels 원문보기

한국산업응용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v.18 no.2, 2015년, pp.67 - 74  

정양근 (신라정보기술(주)) ,  백승학 (두산중공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wheeled driying mobild robots are precise controlled in terms of linear contol methods without considering the nonlinear dynamical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high maneuvering situations such as fast turn and abrupt start and stop, such neglected terms become dominant and heavy influenc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비선형 제어에서는 비선형 요소들을 갖는 제어구조 설계 문제가 핵심적인 오픈 이슈로 남아있으며, 아직까지 이론에 근거한 체계적인 설계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휠 구동 모바일 로봇에 대한 설계 예제 로서 두 가지 제어구조를 제시하였다. 특히 로봇이 고기동하는 주행 조건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상태행렬을 적용했을 때 선회주행 안정성이 크게 개선됨을 보였다.
  • SDRE 비선형 제어 이론을 응용한 기존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LQR과 SDRE 사이의 단순한 비교실험[10,11]이나 전역 점근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제한적인 상태행렬을 가진 시스템에 국한되고 있으며[13], 아직까지 SDRE 제어기 설계에서 핵심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행렬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 방법 또는 절차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변수 비선형 시스템인 역진자 형태의 이륜 모바일 로봇에 대하여 SDRE 제어기를 설계하고, 로봇 주행 시에 나타나는 동역학적 특성을 상태행렬 선정에 고려한 설계 예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로봇에 대하여 비선형 최적제어기를 설계 하였으며 선형제어와의 비교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용성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제어 방법은 비선형 동역학 항의 크기가 증가하는 고기동 상황에서 선형제어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로봇 양 바퀴에 대한 최대토크를 완화시킨다.
  • 그러나 이륜 모바일 플랫폼을 채택한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 기능을 구현하고 비선형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동작 구간에서도 원활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선형제어 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밸런싱 로봇에 비선형 제어기를 도입하는 목적은 로봇에 고기동 제어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특히 로봇에 사람이 탑승하는 경우에 급정지, 급출발, 그리고 급회전과 같은 안정성 측면에서 불리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확보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SDRE 제어에서는 비선형 최적 레귤레이션(regulation) 문제를 다루며 시스템의 모든 상태가 관측 가능하고 (입력값에 대하여 아파인이라고 가정한다.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우선 피드백 시스템은 다변수 입력 시스템에 대하여 지역 점근적으로(locally asymptotically) 안정하고 최적이며, 단일 입력에 대해서는 최적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16,17].
  • 일반 작용력과 일반 관성력은 Fi, Fi*로 표기하고, i=1은 직진방향, i=2는 피치(pitch) 방향, 그리고 i=3은 요(yaw)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방 이동 축에 대한 회전, 즉 롤(roll) 운동은 없다고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Kane 방법에 의거하여 이륜 밸런싱 로봇의 운동 방정식을 유도하면 다음 (1)식과 같이 3자유도 비선형 미분 방정식의 형태가 된다.
  • 이 때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이륜 밸런싱 로봇의 파라미터 값들은 표 2와 같으며 이것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로봇에 해당한다. 양 바퀴는 최대 토크가 0.35 Nm인 모터에 기어비가 20:1인 감속기와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며 최대 구동 토크를 세그웨이 경우와 같이 6.5 Nm로 제한한다. 표1에 나타난 다른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은 표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DRE 제어 방법은 어떤 모델에 국한 되었는가? SDRE 제어 방법은 1962년 Pearson[6]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지만 1990년도 후반에 와서야 본격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SDRE 방법의 적용은 카트-역진자 시스템과 같은 단순한 모델[7,8]에 국한 되었으며 로봇제어에 적용된 사례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모바일 로봇은 무엇인가? 서비스 로봇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모바일 플랫폼으로는 기동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 이륜 밸런싱 플랫폼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대부분의 모바일 로봇은 한번 충전에 약 20km를 주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 으로서 전기 모터만으로 구동되는 새로운 무공해 교통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륜 이동 로봇은 두 바퀴와 몸체를 갖는 역진자 타입의 로봇으로서 두 개의 모터만으로 자세제어와 주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부족 구동 시스템이며, 동역학적으로는 3자유도 비선형 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 된다.
이륜 이동 로봇은 무엇인가? 기존의 대부분의 모바일 로봇은 한번 충전에 약 20km를 주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 으로서 전기 모터만으로 구동되는 새로운 무공해 교통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륜 이동 로봇은 두 바퀴와 몸체를 갖는 역진자 타입의 로봇으로서 두 개의 모터만으로 자세제어와 주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부족 구동 시스템이며, 동역학적으로는 3자유도 비선형 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 된다. 밸런싱 로봇은 이륜 역진자 로봇 이동 로봇 또는 구조적인 단순성을 특징으로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www.segway.com 

  2. http://www.gm.com 

  3. F. Grasser, A.D'Arrigo, and S.Colombi, "JOE:A mobile, inverted pendulum,"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49, no. 1, pp.107-114, Fed.2002 

  4. Y. Kim, S. Kim, and Y. Kwak, "Dynamic analysis of a nonholonmic two-wheeled inverted pendulum fobot," Journal of Intelligent and Robotic Systems, vol.44, no. 1,pp.25-46, sep.2005 

  5. J. M. Yun, J.-K. Lee, and J.-M. Lee,"An Efficient Horizontal Maintenance Technique for the Mobile Inverted Pendulum,"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in Korean), vol. 13,pp. 656-663, jul2007 

  6. J. D. Pearson, "Approximation methods in optimal control,"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ntrol, vol. 13,pp.453-469,1962 

  7. N.M Singh, J.Dubey, and G. Laddha, "Control of pendulum on a cart with state dependent riccati equations," Int.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and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pp. 92-96, 2009. 

  8. C. Huifeng, L. Hongxing, and Y. Peipei, "Swinging- up and stabilization of the inverted pendulum by energy well and SDRE control. "Control and Decision Conf,pp.2222-2226, Jun.2009. 

  9. J. R. Cloutier and C. P. Mracek, "Parametric enhancement of state-dependent riccati equation based control," Proc. of the American Control Conf, vol.2,pp.1072-1073,Jun.1997 

  10. E. Erdem and A. Alleyne., "Experimental real- time SDRE control of an underactuated robot," Proc. of the 40th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vol.3,pp.2986-2991,Dec.2001 

  11. P. Dand and F.Lewis., "Controller for swing-up and balance of single inverted pendulum using sdre-based solution," IECON3 1st Annual Conference of IEEE, pp.304-309,Nov.2005 

  12. A. Fenili and J. M. Balthazar, "The rigid-flexible nonlinear robotic manipulator: Modeling and control,"Communications in Nonlinear Science and Numerical Simulation, vol.16,pp.2332-2341, May 2004. 

  13. E. Fenili and A. Alleyne, "Design of a class of nonlinear controllers via state dependent riccati equations," IEEE Tra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 12,no. 1,pp.133-137, Jan.2004 

  14. A. Nemra and N, aouf "Robust INS/GPS sensor fusion for UAV Localization using sdre nonlinear filtering," IEEE Sensors Journal, vol. 10,no.4, Apr.2010. 

  15. T. R. Kane and D. A. Levinson, "Dynamics: Theory and applications," McGraw-Hill Book Company,1085 

  16. C. P. Mracek and J. R. Cloutier, "Control designs for the nonlinear benchmark problem via the state-dependent riccati equation method," Int, Journal of Robust and Nonlinear Control, vol.8,pp.401-433, Apr.1998 

  17. J. R. Cloutier, C. N. D'Souza, and C. P. Mracek, "Nonlinear regulation and nonlinear $H_{\infty}$ control via the state-dependent Riccati equation techniue: Part 1, Theory; Part 2, Examples," Proc. of the First Int. Conf. on Nonlinear Problems in Aviation and Aerospace, pp. 117-141,May 1996 

  18. T. Cimen, "State-Dependent Riccati Equation (SDRE) control: A survey," Proc. of the 17th World Congress the Int.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 pp.3761-3775, Jul.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