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복궁 근정전 박석의 산지와 운송과정 해석
Interpretation of Provenance and Transportation Process for Bakseok of Geunjeongjeon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no.3, 2015년, pp.181 - 191  

최명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복궁 근정전 박석은 눈부심과 미끄럼 방지 및 배수 등을 고려한 판상의 바닥 포장석재다. 이 영역의 박석은 이방성을 갖는 중립질 흑운모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미약한 미르메카이트 조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고문헌을 토대로 박석의 채석지점을 탐색하여 양자의 동질성을 분석하였으며, 박석의 운송과정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박석과 석모도 낙가산 일대의 화강암은 암상, 구성광물, 조직 및 지구화학적 특징이 거의 동일하였다. 박석에 대한 석역은 치석 및 운송 용이성, 물자 및 인력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석모도의 화강암 박리돔이라는 물리적 풍화특성을 활용하여 판상의 석재를 조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kseok of Geunjeongjeon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is platy floor stone acting as drainage, protected glaring and sliding. The Bakseoks were composed of anisotropic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with a weak myrmekitic texture. Interpretation of transportation process for the Bakseok and or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선시대 기록에 의하면 궁궐 영건사업에서 박석 및 석조물은 인접지에서 석재를 가져다 쓰던 통상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원거리에 채석지를 지정해두고 지속적으로 조달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952~1958; Seungjeongwon, 1623~1649).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정전 박석의 채석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산지로 추정되는 석모도의 심성암류를 대상으로 산출상태, 광물학, 암석학 및 지구화학적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가연구개발사업(R&D)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음을 명기하며 이에 깊이 감사드린다. 또한 원고의 미비점을 지적해주시고 건설적인 비평을 가해주신 국립문화재연구소 김사덕 박사님과 안동대학교 황상구 교수님께도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 이를 바탕으로 근정전 박석의 수급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조선시대 채석 및 공급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근정전 박석 및 채석과 관련된 조선시대의 고문헌, 고지도, 회화 및 사진을 확보하여 궁궐 영건사업에서 진행되었던 박석의 석역과정을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복궁의 특징은? 경복궁(사적 제117호)은 조선 건국 직후 한양으로 천도하며 세운 조선왕조의 정궁이다. 풍수지리 사상에 의해 도읍 및 궁궐의 입지를 선정하고, 좌묘우사 전조후시로 왕경을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산의 남쪽 지맥인 북악산을 주산으로 삼고 사신사를 갖추었으며, 경복궁 남쪽으로는 객수인 한강이 동서로 관류하여 한양의 조운로 역할을 하였다(Cho, 2007).
석모도의 지리적 특징은?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지리지 5집에 경복궁 박석의 채석지로 기록된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는 한반도 중서부 경기만에 위치한 하구의 섬으로, 수운로를 통해 한강 유역을 비롯한 한반도 중앙부까지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이다. 석모도는 강화 본섬에서 서쪽으로 약 2 km 떨어진 곳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리아스식 해안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의 충적층이 두터워 해협의 수심이 얕다. 조선시대에는 국용박석의 채석지와 목장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세 개의 섬이었던 송가도, 구음도, 석모(로)도의 지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18세기~19세기에 둑을 쌓아 하나의 섬으로 만들고 농지를 조성하였다.
경복궁 근정전 박석의 특징은? 경복궁 근정전 박석은 눈부심과 미끄럼 방지 및 배수 등을 고려한 판상의 바닥 포장석재다. 이 영역의 박석은 이방성을 갖는 중립질 흑운모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미약한 미르메카이트 조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고문헌을 토대로 박석의 채석지점을 탐색하여 양자의 동질성을 분석하였으며, 박석의 운송과정을 해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ox, K.G., Bell, J.D. and Pankhurst, R.J.,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George Allen & Unwin. London, 450p. 

  2. Hwang, J.H. and Kim, Y.H., 2005, Geological report of the Ganghwa and Onsu-ri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46p. 

  3. Irvine, T.N., and Baragar, W.R.,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8, 523-548. 

  4. Jo, Y.H., Lee, C.H., Yoo, J.H., Kang, M.K. and Kim, D.M., 2012, Petrological classification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ungnyemun stone block foundation,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5, 174-193. 

  5. Kim, J., Jo, Y.H. and Lee, C.H., 2013, Material and deterior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stone sculptures in Gyeongbokgung Royal Palace, Seoul.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 407-420. 

  6. Kim, S.D., Yi, J.E., Lee, D.S., and Lee, C.H., 2011, Homogeneity investigation of replace stone for restoration of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n Ik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 211-222. 

  7.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83-196. 

  8. Lee, C.H., Kim, M.Y., Jo, Y.H. and Lee, M.S., 2010,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4-25. 

  9.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955-1958,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Photocop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3, 422; 5, 622; 6, 411; 19, 290; 25, 258; 32, 505; 33, 348. 

  10. Seungjeongwon, 1623-1649, Diary of Royal Secretaria. 11, 19-56; 29, 94; 2685, 9. 

  11.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e, 65, 1007-1032. 

  12. Cho, J.M., 2007, The reconstruction of KyeongBok-Gung Palace in the year of Kojo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architectural norms.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9, 30-54. 

  13.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e.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230-249. 

  14. Taylor, S.R. and Mclennam, S.M., 1985, The contim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