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골재자원의 수급현황(I)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 (I)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no.3, 2015년, pp.253 - 272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제4기지질연구실)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제4기지질연구실)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제4기지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의 골재자원 필요성은 199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점차 중요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정복합도시 등의 기존 도시외의 신도시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골재자원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신도시 건설에는 시멘트, 모래자갈 등과 같은 건설 부자재들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법이 제정된 이후 수집된 골재채취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골재의 수급현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하는데 있다. 90년대 초반 총 골재 생산량의 약 25% 내외는 하천골재에서 20~25%는 바다골재에서 약 45% 내외는 산림골재에서 공급되었으며, 육상골재와 비허가 신고골재에서의 공급은 10% 내외의 규모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하천골재의 공급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선별파쇄가 이를 대체하고 있다. 권역별 현황을 보면 수도권 지역이 항상 가장 많은 골재를 채취하고 있으며, 충남, 경남권의 순으로 골재의 생산이 많다. 생산이 적은 지역은 전북, 강원, 제주권이다. 상기 상위 3개 권역에서의 골재 채취비율은 약 50%이며, 하위 3개 권역에서는 10% 내외로, 사회 간접기반시설 확충과 같은 건설경제가 주로 광역시 주변의 인구밀집지역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cessity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90s. Construction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drastically for last two decades. Such economic activities are much concentrated at big cities in Korea, and recently new neighbouring cities, s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재취재법 시행렬에서 골재의 종류를 어떻게 분류하는가? 골재채취법 제2조 제1항에서는 골재라 함은 “하천·산림·공유수면 기타 지상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쇄석용에 한함)모래 또는 자갈로서 건설공사의 기초재료로 쓰이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 제2조 제1항에서는 골재의 종류를 채취장소에 따라 구분하여 하천골재, 수중골재, 하상 골재, 바다골재, 산림골재, 육상골재 등 6개 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에서 하천골재라 함은 하천법 제 2조의 규정에 의한 하천구역에서 채취하는 골재로서 수중골재와 하상골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며, 수중골재라 함은 수중장비에 의하여 하천구역의 수면 밑에서 채취하는 골재를 말한다.
골재자원 수요 급증과 자원의 고갈에 대한 대책으로 1991년에 제정된 것은? 이와 같이 최근의 골재자원 수요 급증과 자원의 고갈에 대한 대책으로 1991년도에 골재채취법이 처음으로 제정되어 1992년도에 동 시행령이 공포되면서 골재자원에 대한 자원조사와 아울러 수요 공급에 대한 전반적인 총괄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법적근거가 제시되었다(MILT, 2014).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는 일년 단위로 전국의 골재 생산현황을 권역별, 골재원별로 집계하고 있다(MILT, 1993~2014).
골재의 종류를 채취장소에 따라 구분한 6개 골재 중, 하상골재는 무엇인가? 여기에서 하천골재라 함은 하천법 제 2조의 규정에 의한 하천구역에서 채취하는 골재로서 수중골재와 하상골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며, 수중골재라 함은 수중장비에 의하여 하천구역의 수면 밑에서 채취하는 골재를 말한다. 하상골재라 함은 하천구역에서 채취하는 골재 중 수중골재 이외의 것을 말한다. 바다골재라 함은 바다 밑에서 채취하는 골재를 의미하며, 산림골재라 함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산림 안에서 채취하는 골재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ong, S.S., Kim, J.Y., Yang, D.Y., Lee, J.Y., and Yun, H.S., 2006, Prospect and status of domestic aggregate resources(Abstrac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02. 

  2. Hong, S.S., Lee, C.B., Kim, J.Y., Yun, H.S., and Yang, D.Y., 2005, Analysis of production pattern of aggregate by provinces(Abstract).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02. 

  3. Hong, S.S., Lee, C.B., Park, D.W., Yang, D.Y., Kim, J.Y., Lee, B.T., and Oh, K.C., 2004, Geology and distribution of crush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37, 555-568. 

  4. Hong, S.S., Lee, J.Y., and Kim, J.Y., 2010, Analysis of annual aggregates(abstract),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37-38. 

  5. Hong, S.S., Lee, J.Y., and Kim, J.Y., 2010, Analysis of occurrence and distributiion of forest aggregate in the Gyeongbuk area(Abstract). 2013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271. 

  6. Hong, S.S., Lee, J.Y., and Kim, J.Y., 2013, The patterns for the sand gravel production in the Daegu, Gyeongsangbuk- do areas, Korea(Abstract). 2013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340 

  7. Hong, S.S., Lee, J.Y., Kim, J.Y., and Park, J.H., 2010, Analysis of aggregate extraction status during the last three years(Abstract). 2010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209. 

  8. Hong, S.S., Lee, J.Y., Kim, J.Y., Park, J.H., and Kang, I.O., 2009,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Jeonnam area(Abstract). 2009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274. 

  9. Kim, J.Y., Lee, D.Y., Yang, D.Y., Min, C.K., Lee, S.K., Hwang, S.H., Hwang, H.S., Park, I.H., Lee, D.N., Min, K.H., Park, Y.S., Kim, W.S., Lee, H.Y., Kim, J.K., and Lee, Y.O., 1998, Evalu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southern Gyunggi province) part I. KR-98(C)-21,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703p. 

  10. Kim, J.Y., Yang, D.Y., Lee, S.H., Kim, J.C., Nahm, U.H., Kim, J.K., Shin, H.M., Koh, I.S., Oh, K.C., Yun, H.S., Hong, S.S., Kim, Y.U., Park, D.W., Lee, C.B., Lee, J.Y., Lee, H.C., Lee, K.M., Min, K.H., Choi, H.S., Kim, W.S., Kim, S.P., and Kim, J.K., 2005, Assessment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of Korea. GAA2001005-2005(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05p. 

  11. Kim, J.Y., Yang, D.Y., Min, C.K., Lee, S.K., Hwang, S.H., Hwang, H.S., Park, I.H., Shin, H.M., Koh, I.S., Nahm, U.H., Lee, J.Y., Kim, T.H., Park, D.W., Lim, S.B., Lee, C.B., Kim, Y.U., Park, Y.S., Min, K.H., Park, Y.S., Kim, W.S., Kim, J.K., and Lee, H.Y., 1999,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industrial stones and natural aggregates (northern Gyunggi province) part I. KR-2000R-09 200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795p. 

  12. Kim, J.Y., Yang, D.Y., Min, C.K., Nahm, U.H., Hwang, H.S., Lee, J.Y., Park, S.H., Shin, H.M., Kim, J.K., Park, D.W., Lee, C.B., Koh, I.S., Lee, B.T., Hong, S.S., Yun, H.S., Lee, H.C., Min, K.H., Park, Y.S., Choi, H.S., Kim, W.S., Kim, J.K., Oh, K.C., and Lee, K.M., 2003, Resourc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aggregates (western Cheonnam province) part I. KR-03(C)-0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537p. 

  13. Kim, J.Y., Yang, D.Y., Min, C.K., Nahm, U.H., Lee, S.K., Hwang, S.H., Hwang, H.S., Park, I.H., Shin, H.M., Koh, I.S., Lee, H.C., Kim, J.K., Kim, H.J., Park, D.W., Lim, S.B., Lee, C.B., Kim, Y.U., Koh, S.M., Lee, J.Y., Min, K.H., Park, Y.S., Kim, W.S., Kim, J.K., Lee, H.Y., and Choi, H.S., 2002, Investig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at Chungbug province and Sinan offshore area, Part I. KR-2002-C-0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763p. 

  14. Kim, J.Y., Yang, D.Y., Min, C.K., Nahm, U.H., Shin, H.M., Koh, I.S., Kim, J.K., Oh, K.C., Koh, S.M., Lee, H.Y., Park, D.W., Lee, H.C., Yoo, J.H., Kim, Y.U., Song, M.S., Hong, S.S., Yun, H.S., Lee, C.B., Lee, J.Y., Lee, B.T., Min, K.H., Choi, H.S., Kim, W.S., Kim, J.K., and Kim, S.P., 2004, Resourc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aggregates (eastern Cheonnam province) part I. KR-04(C)-06 

  15. Kim, J.Y., Yang, D.Y., Min, C.K., Nahm, W.H., Shin, H.M., Koh, I.S., Kim, J.K, Oh, K.C., Koh, S.M., Lee, H.Y., Park, D.W., Lee, H.C., Yoo, J.H., Kim, Y.U., Song, M.S., Hong, S.S., Yun, H.S., Lee, C.B., Lee, J.Y., Lee, B.T., Min, K.H., Choi, H.S., Kim, W.S., Kim, J.K., and Kim, S.P., 2004, Resource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natural aggregates. KR-04(C)-0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16p. 

  16. Kim, J.Y., Yang, D.Y., Yi, S., Kim, J.C., Nahm, W.H., Kim, J.K., Shin, H.M., Koh, I.S., Oh, K.C., Yun, H.S., Hong, S.S., Kim, Y.U., Park, D.W., Lee, C.B., Lee, J.Y., Lee, H.C., Lee, K.M., Min, K.H., Choi, H.S., Kim, W.S., Kim, S.P., and Kim, J.K., 2005, Assessment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of Korea. GAA2001005-2005(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05p. 

  17. Kim, J.Y., Yoon, H.S., Park, S.H., Hong, S.S., Lee, H.Y., Song, K.Y., Kim, D.E., Lee, B.T., Kim, J.H., Cheong, S.H., Song, Y.H., Lee, M.J., Cho, S.J., Shin, I.C., Kim, J.R., Kim, Y.S., Hyun, H.J., Lee, S.K., Yang, D.Y., Min, C.K., Nahm, U.H., Lee, S.K., Hwang, S.H., Hwang, H.S., Park, I.H., Choi, S.H., Shin, H.M., Koh, I.S., Park, D.W., Lim, S.B., Lee, C.B., Kim, Y.U., Koh, S.M., Lee, H.C., Min, K.H., Park, Y.S., Kim, W.S., Kim, J.K., Lee, H.Y., and Choi, H.S., 2001, Investig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at Chungnam province and Haenam offshore area. KR-01(C)-0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538p. 

  18. Lee, D.Y., Kim, J.T., Lee, Y.O., Kim, J.Y., Cho, J.D., Lee, D.N., Kim, Y.J., Lee, B.J., Kim, S.J., Kwon, Y.I., Choi, J.H., Seong, K.S., Koo, J.S., Shin, H.M., Koh, I.S., Min, C.K., Kim, D.S., Lim, S.B., Lee, C.B., Park, D.W., Lee, B.D., Kim, K.S., Lee, C.O., Park, Y.S., Kim, S.W., Lee, C.W., Bang, H.K., Min, K.H., Kim, W.S., Shin, W.C., Lee, H.Y., Kim, S.W., and Kim, J.K., 1994, Evalu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Gyeongsang province and southern Gyeonggi bay) part I.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736p. 

  19. Lee, D.Y., Kim, J.Y., Cho, J.D., Choi, J.H., Lee, H.I., Lim, M.T., Cheong, H.K., Lee, B.J., Cho, M.J., Choi, S.H., Koo, J.S., Shin, H.M., Koh, I.S., Seong, K.S., and Kim, G.E., 1993, Evalu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Chungcheong Province) part I.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955p. 

  20. Lee, D.Y., Kim, J.Y., Kim, J.T., Lee, Y.O., Yang, D.Y., Lee, S.K., Hwang, S.H., Hwang, H.S., Park, I.H., Lee, D.N., Lim, S.B., Lee, C.B., Kim, D.S., Min, C.K., Park, Y.S., Min, K.H., Kim, W.S., Lee, H.Y., Kim, J.K., and Park, D.W., 1997, Evalu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Gangwon and Jeju provinces) part I. KR-97(C)-48.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1029p. 

  21. Lee, D.Y., Kim, J.Y., Yang, D.Y., Lee, D.N., Kim, Y.J., Lee, B.J., Choi, J.H., Cho, J.D., Lee, Y.O., Park, Y.S., Kim, S.W., Lee, C.W., Bang, H.K., Min, K.H., Kim, W.S., Shin, W.C., Lee, H.Y., Kim, S.W., and Kim, J.K., 1995, Evalu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Kyunggi and capital city areas) part I. KR-95(C)-38.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707p. 

  22. Lee, D.Y., Kim, J.Y., Yang, D.Y., Lee, D.N., Lee, S.K., Hwang, S.H., Choi, Y.S., Shin, H.M., Min, K.H., Park, Y.S., Kim, W.S., Lee, H.Y., and Kim, J.K., 1996, Evaluation of natural aggregate resources (Cheonla provinces) part. I. KR-96(C)-18,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978p.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993-2014, Annual aggregate statistics. 

  2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The 5th Basic 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58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