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times, studies sentiment analysi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by implement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ies for analyzing subjective data such as opinions and attitudes of users expressed on the Web, blog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Conventionally, to classif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에서는 심리학적 감정들을 기반으로 트위터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정의한 감정 정보 프레임을 추출한 후 기본적으로 정의해놓은 감성을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감성의 극성뿐만 아니라 긍정과 부정의 근거가 되는 감성을 재구성함으로써 긍정 9가지, 부정 10가지, 중립 4가지의 감성으로 분류하였다.기존의 감정 분류 방법은 SNS 의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방법이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Thayer의 감정 모델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분류하고자 한다.
  • 또한 [10]의 연구에서는 해시태그 기능이 소셜 네트워크 상승의 중요한 역할로 작용함을 언급하였으며 인스타그램에서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iveBayesclassifier)를 사용하여 해시태그의 감정 분류를 시도하였다. 따라서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시태그의 특징을 활용하여 감정 카테고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SNS의 확산은 개인의 관심사와 관련된 사용 자간의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 등을 이용하여 관심사나 감정을 분석을 위한 연구[3, 4, 5]가 수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의보편화된 SNS를 활용한 연구에 미치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3세대 SNS중 하나인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감정분류를 수행하고자 한다. 인스타그램은 사용자가 공유하고 싶은 이미지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촬영하거나 기존에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 간단한 해시태그(Hashtag)를 덧붙여 글을 게시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인 3세대 SNS 이다.
  • 본 논문에서는 인스타그램에서 심리학적 감정 분류 체계 이론 중 하나인 Thayer의 감정 모델을 기반으로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감정을 분류한 뒤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에 분류한 감정 카테고리를 적용하여 감정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Fig.
  • 인스타그램은 사용자가 공유하고 싶은 이미지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촬영하거나 기존에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 간단한 해시태그(Hashtag)를 덧붙여 글을 게시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인 3세대 SNS 이다. 논문에서는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오피니언 마이닝에서 활용하고 있는 극성 분류와는 달리 심리학적으로 정의된 감정을 기준으로 감정을 분류하였고, 실제 인스타그램에서 사용되는 감정을 분석하기 위해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감정 카테고리를 제안하였다.기존 감정 분석에 대한 연구의 경우 텍스트의 감정을 분류하기 위해 감정 사전을 이용하여 감정어휘에 대한 극성 값을 부여해 긍/부정을 판별하여 감성을 판단하였으나 제안하는 감정 카테고리를 통해 사용자의 주요 감정을 분석할 수 있어 주관적인 감정에 대한 모호함을 해결할 수 있다.
  • 준다[12].본 연구에서는 감정 분류의 정확성 향상과 오분류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Thayer의 대표 4가지 감정인 Happy, Angry, Peaceful, Sad를 카테고리로 선정하여 분류 기준을 세우고, 이를 감정 형용사라고 표현하였다.카테고리의 선정이 끝나면 인스타그램에서 정의된 감정 형용사가 포함된 해시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본 절에서는 Fig.3을 예로 들어 앞서 제안한 해시태그 기반 감정 카테고리를 인스타그램 사용자 게시물에 적용하여 감정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감정을 분석하기 위한 대상으로는 게시물 하나를 기준으로 두었을 때, 게시물에 있는 게시 글과 댓글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인스타그램의 사용자 게시물에서 객관적 판단이 가능한 게시글 자료인 텍스트 정보만을 수집하여 사용한다.
  • 이때 해시태그는 게시물의 주제를 담는 키워드가 될 수 있으며 자신의 기분이나 상태를 공유하는 감정을 담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절에서는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인스타그램 내에서 사용자들이 자주 공유하는 감정들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감정을 분류하기 위해 카테고리를 선정하여 기준을 세우고, 선정된 각각의 대표 카테고리를 감정 형용사로 표현하여 감정 형용사가 포함된 해시태그 데이터를 수집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lobalWebIndex, GWI Social Summary, 2014. 

  2. B.S. Park, “Global SNS Present Condition and Implication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nformation & Communications policy, Vol. 26, No. 2, pp. 22-34, 2014. 

  3. M.J. Nam, J.I. Kim, and J.H. Shin, “A User Emotion Information Measurement using Image and Text on Instagram-Based,”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7, No. 9, pp. 1125-1133, 2014. 

  4. J.I. Kim, D.J. Choi, B.K. Ko, E.J. Lee, and P.K. Kim, “Extracting User Interests on Facebook,”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Vol. 2014, Article ID 146967, pp. 1-5, 2014. 

  5. C.H. Lee, D.H. Choi, S.S. Kim, and S.W. Kang,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Emotion in Korean Microblog Tex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Databases, Vol. 40, No. 3, pp. 159-167, 2013. 

  6. D.Y. Kim, Y. Wu, and H.R. Park, “Constructing an Evaluation Set for Korean Sentiment Analysis Systems Incorporating the Category and the Strength of Senti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1, pp. 30-38, 2012. 

  7. M.S. Chang, “Empirical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Psychological Emotions and Social Web D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2, No. 5, pp. 563-569, 2012. 

  8. K.D. Rosa, R. Shah, B. Lin, A. Gershman, and R. Frederking, "Topical Clustering of Tweets," Proceeding of the ACM SIGIR : SWSM, pp. 1-8, 2011. 

  9. X. Wang, F. Wei, X. Liu, M. Zhou, and M. Zhang, "Topic Sentiment Analysis in Twitter : A Graph-based Hashtag Sentiment Classification Approach," Proceedings of the 20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pp. 1031-1040, 2011. 

  10. N. Gunawardena, J. Plumb, N. Xiao, and H. Zhang, Instagram Hashtag Sentiment Analysis, University of Utah, Utah, 2013. 

  11. R. Thayer, The Biopsychology of Mood and Arousal,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9. 

  12. H.S. Lee, A Thesis on Apply Emotion to Location-Based Service, Master's Thesis of KonKuk University, 2013. 

  13. Instagram Developer Documentation(2013), https://instagram.com/developer/ (accessed April, 1. 2015). 

  14. Natural Language Toolkik(2009), https://www.nltk.org/ (accessed April, 1. 2015). 

  15. E.J. Kwon, J.W. Kim, N.J. Heo, and S.G. Ka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Level of Cosine Similarity of Emotion Word from Social Network,"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9, No. 3, pp. 333-34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