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수단 Mode를 고려한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Level-of-Service Evaluation Methodology of Urban Roads with Multimodal Consideration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7 no.2 = no.70, 2015년, pp.123 - 134  

박준석 (한국교통연구원,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e key point of a multimodal LOS (level-of-service) evaluation system is that all of the modes are mutually associated to determine each mode's LOS. For example, the LOS of the bicycle mode is measured based on not only bicycle volumes, but also automobile volumes. However, the Korea Hi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수단 영향을 고려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의 필요성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대중교통 이용자의 단독 수단별 서비스수준 평가방법과 각 수단간 영향을 고려한 통합관점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의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 서비스 정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도로 용량을 분석하는데 용량분석은 해당 도로의 통행속도, 통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그리고 교통안전 등의 서비스 상태를 설명하는 질적인 개념을 말한다(KHCM 2013). 용량분석의 목적은 서비스의 질적 상태, 서비스수준을 파악하여 해당 도로의 용량을 명확히 밝힘으로써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도로 투자를 적절히 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수단 영향을 고려한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단계로 평가기법의 개발에 앞서 단독수단별 서비스수준 평가에 대한 문제점 및 한계점을 검증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단 영향을 고려한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는 시설을 이용하는 주요 수단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으로 패러다임에 부합하지 못한다. 따라서 시설의 사용하는 수단과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의 영향까지 고려한다수단 서비스수준 평가방법 검토하였다. 다수단 영향을 고려하고 있는 HCM 2010의 평가방법을 통해 우리나라 대상구간에 적용함으로 그 결과를 KHCM의 분석 방법과 비교하여 Intermodal의 관점에서 단독수단의 서비스수준과 다수단 서비스수준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단독 수단별 서비스수준과 다수단 서비스수준의 분석결과를 비교하는 것 이외에 추가적으로 도로다이어트를 통해 서비스수준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다른 조건을 제외하고 도로 기하구조만을 변화했을 때의 결과가 과연 적절하게 분석되는지를 통하여 서비스수준 평가방법론의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현장조사를 실시한 구간 중 자동차도로의 서비스수준이 대체로 높고 다른 수단의 서비스수준이 낮은 구간을 선정하여 도로다이어트를 실시하였으며 도로다이어트 적용 후에 따른 자동차 속도 변화는 직접적으로 산출할 수 없기 때문에 KHCM2005(2013)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차로 구간의 차로폭 및 측방여유폭에 의한 속도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산술적으로 산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대중교통에 대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독 수단별 서비스수준과 개선된 다수단별 서비스수준 방법으로 분석·비교하였다. 또한 도로다이어트 시행에 적절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적용한 결과를 두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어떠한 방법이 더 적절한 설명력을 나타내는지 또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량분석은 무엇인가? 그만큼 해당 가로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정도를 평가하는 분석이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고 있다. 서비스 정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도로 용량을 분석하는데 용량분석은 해당 도로의 통행속도, 통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그리고 교통안전 등의 서비스 상태를 설명하는 질적인 개념을 말한다(KHCM 2013). 용량분석의 목적은 서비스의 질적 상태, 서비스수준을 파악하여 해당 도로의 용량을 명확히 밝힘으로써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도로 투자를 적절히 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현대 도시에서 교통부문에서는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현대 도시에서는 교통, 인구, 환경문제 등 다양한 제반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얼마나 효율적인 방법을 통하여 해결하느냐가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그 중 교통부문에서 부적합하게 산정된 교통용량 산정 등으로 인해 도로가 처리 가능한 용량이 초과된다거나 부적절하게 운영되는 신호운영 등 도로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시설을 이용하는 주체가 이용할 때 제공받는 서비스에 만족하는 정도에 따라 시설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로다이어트(Road Diet) 기법은 어디서 시작했고 그 효과는 무엇인가? 차로 수를 4차로에서 3차로로 줄인다거나 차로폭을 감소시킨 후 남은 공간을 회전차로, 자전거도로, 중앙분리대, 보도 등을 설치하는 도로다이어트(Road Diet) 기법이다. 이는 1980년대 미국의 펜실베니아주와 플로리다주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심관보(2006)은 도로다이어트를 통해 생활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구성원들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며 주행속도 감소를 통해 교통사고 발생빈도를 낮춰 안정성을 증대시킨다고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Y., Kim, E.(2012), "Integrated Evaluation of Level of Service for Urban Streets Considering Sustain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4, No. 6, pp.75-84. 

  2. Dowling, R. et. al.(2008), "NCHRP 616 Multimodal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Urban Streets", TRB, Washington DC. 

  3. Highway Capacity Manual 2000(200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4. Highway Capacity Manual 2010(201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5. Jonathan Byrd M.S.C.E et al.(2006), "Comparison of Level of Service Methodologies for Pedestrian Sidewalks", TRB,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5th Annual Meeting 

  6. Kim, S., Park, C., Park, W.(2001), "The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 in KHCM and USHCM 200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9, No. 5, pp.143-154. 

  7. Kim, T., Lee, Y., Ko, J.(2008), "A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 perceived LOS of Drivers in Urban Arter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0, No. 4, pp.65-77. 

  8. Kim, T., Park, J., Kang, J.(2009), "A Development of Integrated Evaluation Criteria for Quality of service on Pedestrian Net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7, No. 1, pp.191-200. 

  9. Kim, W., Kang, W., Noh, C., Park, B.(2012), "New Speed Adjustment Factor for Analyzing Level of Service at Multi-Lane Highw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4, No. 6, pp.167-173. 

  10. Kim, W., Roh, C., Son, B.(2012) "Service Evaluation Models from Transit Users'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0, No. 1, pp.149-159. 

  11. Kim, Y., Choi, J.(2007)," Evaluation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Land Use Patter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5, No. 2, pp.83-93. 

  12. Kim, Y., Choi, J.(2011),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Level of Service of Sidewalk Using G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9, No. 6, pp.85-93. 

  13.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2005(2005).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14.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2013(20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5. Landis, B W et al.(2007), "Intersection Level of Service for the Bicycle Through Movement", TRR, Vol. 1828 / 2003 Pedestrians and Bicycles 2003, pp.101-106 

  16. Lee, G., Roh, J., Kang, K.(2009), "Development of Bicycle Level of Service Model from the User's Perspective Using Ordered Probit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8, No. 2, pp.108-117. 

  17. Lee, H., Lee, S., Won, J.(2007),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the Bus Service", Th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3- D, pp..275-280. 

  18. Lee, S.(2012), "Improvement of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LOS on Sidewalk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0, No. 3, pp.7-15. 

  19. Linda B.(2007), "Bicycle and Pedestrian Level-of-Service Performance Measures and standards for Congestion Management Systems", TRR, Volume 1538 / 1996 Pedestrian and Bicycle Research, pp.1-9 

  20. Lim, j., Shin, H., Kim, H.(2004)", New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Trip Purpose and Walkway Function", Th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4, No. 5-D, pp..723-728. 

  21. Soren Underlien Jensen(2007), "Pedestrian and Bicyclist Level of Service on Roadway Segment", TRR, Volume 2031 / 2007 Bicycles and Motorcycle, pp.43-51 

  22. Yang, Bian et al.(2010)", Pedestrian Level of Service for the Overall Unsignalized Mid-block Crossings of Road Segments in China", TRB,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9th Annual Meeting 

  23. Sim, K.(2006), "Terminologies&Concepts for Road Diet",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Vol. 3, No. 13, pp.245-248 (심관보(2006), 도로다이어트의 용어개념, 교통기술과 정책, 제3권제3호, 245-248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