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채로부터 갓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교잡종의 휴면에 따른 잡초화 가능성
Dormancy Associated Weedy Risk of the F1 Hybrid Resulted from Gene Flow from Oilseed Rape to Mustard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1, 2015년, pp.35 - 43  

임연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육민정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장전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나경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박수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도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본 연구는 유채의 화분이동으로 근연종 갓과의 교잡을 통해 형성된 교잡종의 발아휴면특성과 월하 및 월동성을 평가하여 교잡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잡종은 부본인 유채와 모본인 갓에 비해 전반적인 발아특성이 갓에 근접한 중간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휴면성도 41.1%로 갓에 근접한 높은 휴면성을 보여주었다. 수확 직후 종자를 토양에 매립하여 월하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토보다는 3 cm 토심에서 월등히 높은 월하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월하기간과 상관없이 3 cm 토심조건에서 부본인 유채에 비해 매우 높고 모본인 갓에 비해 약간 높은 월하특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종자의 월동특성은 월하특성과 반대로 표토조건에서 교잡종이 부모종보다 높은 월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채-갓 교잡종은 휴면성이 비교적 높고 월하 및 월동성이 높아 잡초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채-갓 교잡종의 보다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는 교잡종의 종자생산 가능성 및 자연 생태계 적응성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the dormancy associated weedy risk of the F1 hybrid generated by hybridization between Brassica juncea (maternal) and Brassica napus (paternal), seed germination, dormancy and longevity were examined sequentially after seed harvest. The F1 hybrids exhibited th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수분을 통해 유채(Brassica napus)로부터 갓(Brassica juncea)으로 유전자 이동이 발생한 교잡 개체의 발아, 월동 및 월하 휴면특성을 확인하여 추후 유전자변형 유채의 장기적인 잡초화 및 생태계 교란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유채의 화분이동으로 근연종 갓과의 교잡을 통해 형성된 교잡종의 발아휴면특성과 월하 및 월동성을 평가하여 교잡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잡종은 부본인 유채와 모본인 갓에 비해 전반적인 발아특성이 갓에 근접한 중간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휴면성도 4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자의 탈립으로 발생한 탈립종자가 생육 및 종자생산을 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은? 유채와 갓의 종자는 보통 초여름에 등숙하여 수확하며 이때 주로 종자의 탈립이 발생하는데, 특히 유채는 온도가 높고 바람이 많이 불 때 최대 70%까지 탈립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lton and Sykes, 1992). 이들 탈립종자가 자연상태에서 다음주기의 생육 및 종자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활력있는 종자형태로 토양중에 월하(越夏)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보다 장기적으로는 월동능력 역시 중요하다. 해외에서는 Gulden et al.
유채가 재배종 및 근연종으로의 유전자 이동 위험이 높은 이유는? 유채는 세계 주요 유전자변형 작물 중 하나이며, 충매와 풍매에 의해 수분 및 교잡이 원활히 발생하기 때문에 재배종 및 근연종으로의 유전자 이동 위험이 높다(Kim et al., 2012).
1세대 교잡종이 발생했다는 사실만으로 환경 위해성 여부를 결론 내릴 수 없는 이유는? 유전자변형 유채의 유전자 이동으로 인해 1세대 교잡종이 발생했다는 사실만으로는 환경 위해성에 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는데(Andersson and Vicente, 2010), 이는 세대 진전과정에서 선택압력(selection pressure)에 의해 장기적으로 자연 도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Snow et al., 2005; Kw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ersson, M.S. and de Vicente, C. 2010. Gene flow between crops and their wild relatives. pp.3-37. Johns Hopkins Univ. Press, Baltimore, Maryland, USA. 

  2. Bing, D.J., Downey, R.K. and Rakow, G.F.W. 1996. Hybridizations among Brassica napus, B. rapa and B. juncea and their two weedy relatives B. nigra and Sinapis arvensis under open pollination conditions in the field. Plant Breeding 115(6):470-473. 

  3. Colton, R.T. and Sykes, J.D. 1992. Canola. Department of Agriculture, N.S.W., USA. 

  4. Di, K., Stewart, C.N., Wei, W., Shen, B.C., Tang, Z.X., et al. 2009. Fitness and maternal effects in hybrids formed between transgenic oilseed rape (Brassica napus L.) and wild brown mustard (B. juncea (L.) Czern et Coss.) in the field. Pest Manag. Sci. 65(7):753-760. 

  5. Genstat 5 Committee. 1997. Genstat 5 release 4.1 : Reference manual supplement to Genstat 5 Committee (1993) Genstat 5 reference manual release 3. Oxford, UK: Numerical Algorithms Group. 

  6. Gompertz, B. 1825. On the nature of the functions expressive of the law of human mortality, and on a new mode of determining the value of life contingencies. Philo. Trans. 115:513-585. 

  7. Gulden, R.H., Thomas, A.G. and Shirtliffe, S.J. 2004a. Relative contribution of genotype, seed size and environment to secondary seed dormancy potential in Canadian spring oilseed rape (Brassica napus). Weed Res. 44:97-106. 

  8. Gulden, R.H., Thomas, A.G. and Shirtliffe, S.J. 2004b. Secondary dormancy, temperature, and burial depth regulate seedbank dynamics in canola. Weed Sci. 52(3):382-388. 

  9. Gu, X.Y., Chen, Z.X. and Foley, M.E. 2003. Inheritance of seed dormancy in weedy rice. Crop Sci. 43(3):835-843. 

  10. Jorgensen, R.B., Andersen, B., Landbo, L. and Mikkelsen, T.R. 1994. Spontaneous hybridization between oilseed rape (Brassica napus) and weedy relatives. In ISHS Brassica Symposium-IX Crucifer Genetics Workshop 407:193-200. 

  11. Kim, D.S., Kwon, Y.W. and Lee, B.W. 2006.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eedling emergences of rice and Echinochloa species as influenced by soil burial depth. Kor. J. Crop Sci. 51:362-368. 

  12. Kim, D.Y., Nam, K.J., Moon, Y.S., Kim, D.I., Kim, Y.J., et al. 2012. Monitoring of the escape of introduced genes of transgenic oilseed rapes outside the trial site in a confined field trial. J. Kor. Soc. Int. Agri. 24(2):241-246. (In Korean) 

  13. Kim, J.W., Moon, B.C., Lim, S.H., Chung, J.H. and Kim, D.S. 2010. Prediction of seedling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under elevated temperature. Kor. J. Weed Sci. 30(2):94-102. 

  14. 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2014. Key Statistic of Gene Modified Organisms. Daejeon, Korea. (In Korean) 

  15. Kwon, Y.W., Kim, D.S. and Yim, K.O. 2001a.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crop: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gene flow. Weed Biol. Manag. 1(2):96-107. 

  16. Kwon, Y.W. and Kim, D.S. 2001b.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modified crop: Its risks with an emphasis on gene flow.Weed Biol. Manag. 1(1):42-52. 

  17. Lakon, G. 1949. The topographical tetrazolium method for determining the germinating capacity of seeds. Plant Physiol. 24:389-394. 

  18. Liu, Y.B., Wei, W., Ma, K.P. and Darmency, H. 2010. Backcrosses to Brassica napus of hybrids between B. juncea and B. napus as a source of herbicide-resistant volunteer-like feral populations. Plant Sci. 179(5):459-465. 

  19. Louarn, S., Torp, A.M., Holme, I.B., Andersen, S.B. and Jensen, B.D. 2007. Database derived microsatellite markers (SSRs) for cultivar differentiation in Brassica oleracea. Genet. Resour. Crop Ev. 54(8):1717-1725. 

  20. Lopez-Granados, F. and Lutman, P.J. 1998.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dormancy and germination of volunteer oilseed rape seed (Brassica napus). Weed Sci. 46(4):419-423. 

  2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study o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post-management of LMO (IV). Incheon, Korea. (In Korean)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protocols for risk assessments of gene flow from LM crops to its relatives in Korea (II). Incheon, Korea. (In Korean) 

  23. Park, M.W., Kim, J.W., Lim, S.H., Lee, I.Y. and Kim, D.S. 2010. Prediction of seedling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Monochoria vaginalis and Scirpus juncoides under elevated temperature. Kor. J. Weed Sci. 30(2):103-110. 

  24. Pekrun, C., Potter, T.C. and Lutman, P.J.W. 1997. Genotypic variation i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dormancy in oilseed rape and its impact on the persistence of volunteer rape. Proc. Brighton Crop Prot. Council Conf. - Weeds, BCPC, Farnham, Surrey, UK. pp. 243-248. 

  25. Simard, M.J., Legere, A., Pageau, D., Lajeunesse, J. and Warwick, S. 2002. The frequency and persistence of volunteer canola (Brassica napus) in Quebec cropping systems. Weed Tech. 16:433-439. 

  26. Snow, A.A., Andow, D.A., Gepts, P., Hallerman, E.M., Power, A., et al. 2005.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Current status and recommendations 1. Ecol. Appl. 15(2):377-404. 

  27. Tsuda, M., Okuzaki, A., Kaneko, Y. and Tabei, Y. 2012. Relationship between hybridization frequency of Brassica $juncea{\times}$ B. napus and distance from pollen source (B. napus) to recipient (B. juncea) under field conditions in Japan. Breeding Sci. 62(3):274-2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