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트룹 간섭에 의한 시각작업기억의 왜곡 현상
Distortion of the Visual Working Memory Induced by Stroop Interference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26 no.1, 2015년, pp.27 - 51  

김대규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주석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기기억 분야와 달리 시각작업기억에 대한 기억왜곡 연구사례는 흔치 않다.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 표상이 하향적 간섭에 의해 왜곡될 가능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기억표상의 질적 특성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위해서는 기억용량선명도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색상환 과제를 통해 스트룹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회상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시행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단어의 명칭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표상의 왜곡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과제에서 500ms 동안 제시되는 1, 2, 3 혹은 6개의 스트룹 단어 항목의 색상을 기억하였다. 1초의 기억지연 시간 후, 기억이 요구된 스트룹 단어 중 단서가 지정하는 특정 단어의 색상을 회상해 색상환에서 선택 보고하였다. 색상환에서 회상이 요구된 자극의 실제 색상으로부터 ${\pm}45^{\circ}$ 이내의 색상을 선택했을 경우 정반응으로 간주 되었으며, 그 밖의 경우는 오반응으로 간주되었다. 오반응 시행에 대해 색상 선택의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보고 대상의 명칭 색상 범주에 기초한 회상 오류가 시행 전반에서 사용된 명칭 기반 평균 회상 오류를 상회하였다. 또한 항목개수 증가로 인한 기억부담의 증가는 이와 같은 스트룹 간섭에 의한 기억왜곡의 발생 확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스트룹 자극에 대한 시각작업기억 표상에 대하여 자극의 명칭색상에 의한 체계적 왜곡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교적 짧은 기간 활용되는 시각작업기억 수준의 표상 역시 장기기억과 마찬가지로 간섭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effect of a top-down influence on recalling the colors of Stroop words. Participants remembered the colors of 1, 2, 3 or 6 Stroop words. After 1 second of a memory delay, they were asked to recall the color of a cued Stroop word by selecting out its corresponding color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앞서 소개된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형성된 기억 표상의 특성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참가자의 오류 반응들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동일한 색상환 과제를 사용하되, 큰 해석의 여지를 두지 않았던 참가자의 오류반응들의 패턴과 특성을 관찰해 시각작업기억에서 기억 표상의 왜곡에 준하는 사례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 이 경우 참가자는 스트룹 간섭에 의해 스트룹 단어의 색상 자체 보다는 명칭이 지칭하는 색상을 색상환 상에서 편파적으로 선택할 것이 예상되며, 자극의 실제 색상(예: 스트룹 단어 색상)이 아닌 단어의 명칭 색상을 시각작업기억에 파지한 분명한 기억 왜곡 오류 상황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분명하고 체계적인 기억 오류에 해당되는 세 번째의 경우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에 성공적으로 저장된 정보의 비율과 정확성을 살피는데 그치지 않고 단기기억 수준의 기억 왜곡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트룹 단어를 기억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때 발생한 기억 오류의 패턴을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에 저장되는 기억 정보의 표상적 특성을 조사하는 색상환 회상 과제를 사용함으로써, 스트룹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회상과정에서 스트룹 단어의 명칭이 초래하는 간섭에 의한 체계적인 기억 왜곡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회상이 요구된 스트룹 단어의 명칭 색상에 기초한 회상 선택이 상대적으로 빈번한 것이 관찰되었다.
  • 대다수의 기억 연구들은 인출된 정보와 간섭을 초래한 정보 간 체계적인 관련성에 대한 면밀한 분석 없이 단순히 재인 및 회상 과제에서 특정 기억 항목을 성공적으로 재인하거나 회상해 내었는지 여부 즉 기억 정확도의 관찰에 집중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틀을 벗어나, 기억 실패로 인한 오류와 체계적인 기억 왜곡을 구분하고 이러한 기억 왜곡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한 규명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기억이 요구된 정보와 간섭 단서 간의 체계적 관련성을 조사함으로써, 간섭 자극이 단순히 기억 저장 실패를 초래하기 보다는 간섭 단서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기억 표상을 형성할 가능성에 대한 관찰을 시도하였다.
  • 스트룹 간섭 현상은, 단어 명칭 정보의 자동적 활성이 초래하는 강력한 하향적 간섭(top-down interference)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룹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파지를 요구함으로써 스트룹 단어의 명칭이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파지를 체계적으로 왜곡 시키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점에 착안해 시각작업기억에 표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스트룹 단어의 실제 색상 정보가 때로는 스트룹 간섭과 같은 하향적 맥락 정보의 간섭에 의해 단어의 명칭이 지칭하는 다른 범주의 색상 정보로 교체되거나 변형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교체나 변형은 일반적인 기억 오류가 단순히 기억 표상 형성의 실패가 아니라 기억 처리 과정에서 간섭 자극이 초래하는 체계적 왜곡에 기인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 구체적으로, 이 오류 시행들은 회상이 요구된 단어의 실제 색상 정보가 선명하게 표상되었음에도 스트룹 단어의 명칭 색상이 회상 선택 과정에 강력한 간섭을 초래한 경우에 해당된다. 이러한 회상 오류는 기억 실패로 인한 무선적 오류와는 달리 단어의 명칭 색상에 토대를 두었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기억 오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증이 시도된 체계적인 기억 왜곡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가설 설정

  • 그림 2. (가) 스트룹 단어의 실제 색상에 대한 회상 선택 반응 분포. 조건별 직선 혹은 점선들은 각 항목개수 조건에서 관찰된 회상 선택 빈도에 기초해 추정된 확률분포곡선.
  • 고정 해상도 슬롯 모형의 또 다른 가정은, 본 연구에서 관찰된 스트룹 간섭의 체계적인 기억 왜곡 현상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해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고정해상도 슬롯 모형은 시각작업기억에 표상된 기억 항목들은 세부특징들의 단순조합이 아닌 통합적 표상 방식을 취한다고 가정한다[3, 10]. 이러한 가정에 기초할 때, 기억에 표상된 스트룹 단어의 실제 색상은 색상 그 자체만이 아니라 단어의 명칭 또한 함께 통합되어 표상될 가능성이 크다.
  • 두 모형은 기억항목개수의 증감에 따른 스트룹 처치의 영향력에 대해 다소 상이한 예측을 제공한다. 먼저 서두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스트룹 간섭의 개입은 기억 표상의 선명도가 저하될수록 커진다고 가정하자. 자원 모형의 경우, 기억 항목 개수 증가로 인한 기억 부담의 증가는 기억항목인 개별 스트룹 단어들의 실제 색상을 표상할 자원의 부족을 초래한다.
  • 본 연구의 결과를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각작업기억의 표상 특성에 대한 기존의 두 대립되는 모형 즉 융통적 자원모형(flexible resource model) 혹은 고정해상도 슬롯모형(fixed-resolution slot model)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융통적 자원모형은 시각작업기억의 저장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기억이 요구되는 항목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개별 항목에 할당되는 기억자원의 양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교환(trade-off) 기제를 통해 기억 표상이 형성된다고 가정한다[14]. 이와는 달리 슬롯 모형은 시각작업기억의 저장용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측면에서는 자원모형과 동일하나, 기억정보가 고정된 해상력을 보유한 기능적(functional) 저장소 즉 슬롯에 저장된다는 관점을 취한다[11, 12].
  •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스트룹 처치를 위해 6개의 색상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이 여섯 명칭은 색상환에서 각각 60°의 간격을 갖는 여섯 지점(0, 60, 120, 180, 240, 300)을 표상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 이 때 균등분포를 제외한 집중분포는 그 분포의 형태 측면에서 표준분포와 유사한 Von Mises 분포 곡선의 분포 형태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되며, 본 연구에서 중요시하는 Pm과 s.d.는 이러한 Von Mises 분포 곡선의 추정 과정에서 산출되었다. 즉 Pm은 기억에 성공한 항목의 색상을 비교적 정확히 회상 보고한 경우의 확률에 해당되므로, Von Mises 분포의 면적 비율 값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 p>인간의 기억은 얼마나 정확할까? 우리는 때때로 사람들 간에 동일한 사건에 대한 경험이나 정보를 전혀 다르게 보고하거나, 심지어는 완전히 잘못 기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을 정확하다고 확신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견한다. 이는 기억 정보의 정확성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잘못된 기억 내용에 대해 그것을 정확한 기억이라고 믿고 있는 경우 즉 기억 왜곡(memory distortion) 현상이 일상생활에서 드물지 않게 발견됨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회상선택 반응 분포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에는 기존 색상환 연구들[10, 11, 13]에서 시도된 기억표상에 대한 혼합모형(mixture model)을 가정한 분석 방식이 사용되었다. 혼합모형에서는, 두 가지 회상 반응 유형의 조합에 의해 색상환의 선택 반응 분포가 형성됨을 가정한다. 첫째는, 기억표상의 부재로 인해 초래되는 무작위적인 회상 선택 반응이며, 색상에 대해 어떠한 체계적인 선택 반응도 시도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반응 분포는 균등 분포(uniform distribution)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룹 간섭 현상의 원인은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스트룹 간섭(stroop interference)은 단어의 실제 색상과 명칭이 불일치할 경우(예: 파란색으로 채색된 ‘빨강’ 단어), 단어에 채색된 색상(예: 파랑)을 명명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명칭(예: ‘빨강’)이 강력한 간섭을 초래해 명명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이다[9]. 스트룹 간섭 현상은, 단어 명칭 정보의 자동적 활성이 초래하는 강력한 하향적 간섭(top-down interference)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룹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파지를 요구함으로써 스트룹 단어의 명칭이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파지를 체계적으로 왜곡 시키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기억 왜곡 현상 연구에 있어 단기기억분야는 왜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는가? 그동안 기억 왜곡 현상을 다룬 연구는 장기기억 분야에 국한되어 왔으며, 이와 달리 단기기억의 왜곡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는 흔치 않았다. 이는 단기기억에서의 정보처리가 비교적 의식적이고 명시적인 수준의 기억 정보에 근거해 수행되며,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억 왜곡의 개입 가능성이 지극히 낮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기억의 여러 특성을 고려할 때 단기기억에 왜곡이 초래될 가능성은 여전히 다분하다.
스트룹 간섭 현상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스트룹 단어를 기억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때 발생한 기억 오류의 패턴을 관찰하였다. 스트룹 간섭(stroop interference)은 단어의 실제 색상과 명칭이 불일치할 경우(예: 파란색으로 채색된 ‘빨강’ 단어), 단어에 채색된 색상(예: 파랑)을 명명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명칭(예: ‘빨강’)이 강력한 간섭을 초래해 명명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이다[9]. 스트룹 간섭 현상은, 단어 명칭 정보의 자동적 활성이 초래하는 강력한 하향적 간섭(top-down interference)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oftus, E. F., & Palmer, J. C. (1974). Reconstruction of automobile destruction: An example of the interaction between language and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 Verbal Behavior, 13(5), 585-589. 

  2. Vogel, E. K., & Luck, S. J. (2002). Delayed working memory consolidation during the attentional blink.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9(4), 739-743. 

  3. Luck, S. J., & Vogel, E. K. (1997). The capacity of visual working memory for features and conjunctions. Nature, 390(6657), 279-281. 

  4. Cowan, N. (2001). The magical number 4 in short-term memory: A reconsideration of mental storage capacit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4(1), 87-114. 

  5. Treisman, A. (1988). Features and objects: The fourteenth Bartlett memorial lectur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0, 201-237. 

  6. Treisman, A., & Schmidt, H. (1982). Illusory conjunctions in the perception of objects. Cognitive Psychology, 14, 107-141. 

  7. Grossman, L., & Eagle, M. (1970). Synonymity, antonymity, and association in false recognition respons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83, 244-248. 

  8. Anderson, D. E., Vogel, E. K., & Awh, E. (2011). Precision in visual working memory reaches a stable plateau when individual item limits are exceeded. The Journal of Neuroscience, 31(3), 1128-1138. 

  9. Stroop, J. R.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8, 643-662. 

  10. Zhang, W., & Luck, S. J. (2008). Discrete fixed-resolution representations in visual working memory. Nature, 453, 233-235. 

  11. Zhang, W., & Luck, S. (2009). Sudden death and gradual decay in visual working memory. Psychological Science, 20(4), 423-428. 

  12. McLeod, C. M. (1991). Half a century of research in the Stroop effect: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9(2), 163-203. 

  13. Brainard, D. H. (1997). The psychophysics toolbox. Spatial Vision, 10(4), 433-436. 

  14. Bays PM, Catalao RFG & Husain M. (2009). The precision of visual working memory is set by allocation of a shared resource. Journal of Vision 9(10): 7, 1-11 

  15. Alvarez, G. A. & Cavanagh, P. (2004). The capacity of visual short-term memory is set both by information load and by number of objects. Psychological Science. 15, 106-111. 

  16. Vogel, E. K., & Machizawa, M. G. (2004). Neural activity predi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Nature, 428, 748-751. 

  17. Vogel, E. K., McCollough, A. W., & Machizawa, M. G. (2005). Neural measures reveal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trolling access to working memory. Nature, 438, 500-503. 

  18. Vogel, E. K., Woodman, G. F., & Luck, S. J. (2001). Storage of features, conjunctions, and objects in visual working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7, 92-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