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pumilus IJ-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Bacillus pumilus IJ-1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8 no.1, 2015년, pp.81 - 88  

박은진 (Department of Neuroscienc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  김지연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Inj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pumilus IJ-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 pumilus IJ-1은 0.5%(w/v) tryptone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은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다. B. pumilus IJ-1은 0-10% (w/v)의 NaCl 농도와 pH 5-10, $20-45^{\circ}C$의 환경에서 생장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은 pH 9.0의 초기 배지에서 $20^{\circ}C$, 72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최대였으며, 이러한 배양 조건 하에서 얻어진 배양액의 표면장력은 27.0 dyne/cm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haracterize the culture medium for the biosurfactant production by Bacillus pumilus IJ-1, the influences of various carbon, nitrogen and mineral sources were assessed. As a result,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tion was observed after 96 h cultivation containing 0.5% (w/v) tryptone. The str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 pumilus IJ-1의 해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미치는 NaCl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균주는 충남 태안의 해안에서 분리한 것으로, 실험결과 0–10%(w/v)의 NaCl 농도에서 생장하였다.
  • Bacillus pumilus IJ-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
  • 많은 연구자들은 Bacillus의 생장과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탄소원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Kim 등, 1997;Makkar와 Cameotra, 1998; Joshi 등, 2008; Haddad 등, 2009). 그러나 이들은 균주가 한가지 기질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양조건에 따라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원에 대한 각종 탄소원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자는 해양 원유 오염제거용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생물계면활성제 개발을 위해 태안의 원유 유출지역에서 원유분해능이 우수한 Bacillus pumilus IJ-1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밝힌 바 있다(Kim, 2014). 본 연구에서는 각종 인자(탄소원, 질소원, 무기염, NaCl 농도, 배지의 초기 pH, 배양 온도)에 따른 B.pumilus IJ-1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특성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들은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대한 한가지 기질인 질소원에 대해서만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양조건에 따라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조사하기 위해 최적 탄소원에 대한 각종 질소원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자는 해양 원유 오염제거용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생물계면활성제 개발을 위해 태안의 원유 유출지역에서 원유분해능이 우수한 Bacillus pumilus IJ-1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밝힌 바 있다(Kim, 2014). 본 연구에서는 각종 인자(탄소원, 질소원, 무기염, NaCl 농도, 배지의 초기 pH, 배양 온도)에 따른 B.
  •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온도의 영향 조사. 다양한 배양 온도에 따른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조사하기 위하여 B.
  •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초기 pH의 영향 조사. 배지의 다양한 초기 pH에 따른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조사하기 위하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면활성제의 특성은?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한 분자 내에 친수성기(hydrophilic)와 소수성기(hydrophobic)를 모두 갖는 양친매성 물질(amphipaticcompound)로서 표면이나 계면의 성질을 변화시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이다(Deshpande 등, 1999). 이는 유화, 분산, 침습, 습윤, 용해, 기포형성, 기포방지, 부식방지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약품, 식품, 화장품, 농약, 세제 및 각종 공업생산공정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응용분야가 확장되어 microelectronics, 자기 기록 매체, 고급 전지, 전자 인쇄용 액체 인화제 등의 개발과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Banat 등, 2000).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대부분이 석유화학 제품을 원료로 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학합성 계면활성제(chemical surfactant)로서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되고 있다(Greek,1991).
계면활성제란?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한 분자 내에 친수성기(hydrophilic)와 소수성기(hydrophobic)를 모두 갖는 양친매성 물질(amphipaticcompound)로서 표면이나 계면의 성질을 변화시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이다(Deshpande 등, 1999). 이는 유화, 분산, 침습, 습윤, 용해, 기포형성, 기포방지, 부식방지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약품, 식품, 화장품, 농약, 세제 및 각종 공업생산공정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응용분야가 확장되어 microelectronics, 자기 기록 매체, 고급 전지, 전자 인쇄용 액체 인화제 등의 개발과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Banat 등, 2000).
화학합성 계면활성제의 특징은?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대부분이 석유화학 제품을 원료로 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학합성 계면활성제(chemical surfactant)로서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되고 있다(Greek,1991). 일반적으로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는 단가가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지만, 대부분 독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난분해성으로 자연 생태계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계면활성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imou F, Jacques P, and Deleu M (2000) Surfactin and iturin A effects on Bacillus subtilis surface hydrophobicity. Enzyme Microb Technol 27, 749-54. 

  2. Banat IM, Makkar RS, and Cameotra SS (2000) Potential commercial applications of microbial surfactants. Appl Microbiol Biotechnol 53, 495-508. 

  3. Bognolo G (1999) Biosurfactants as emulsifying agents for hydrocarbons.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152, 41-52. 

  4. Deshpande S, Shiau BJ, Wade D, Sabatini DA, and Harwell JH (1999) Surfactant selection for enhancing ex situ soil washing. Water Res 33, 351-60. 

  5. Dibble JT and Bartha R (1979)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biodegradation of oil sludge. Appl Environ Microbiol 37, 729-39. 

  6. Fonseca RR, Silva AJ, De Franca FP, Cardoso VL, and Servulo EF (2007) Optimizing carbon/nitrogen ratio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by a Bacillus subtilis strain. Appl Biochem Biotechnol 137-140, 471-86. 

  7. Ghojavand H, Vahabzadeh F, Roayaei E, and Shahraki AK (2008)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a biosurfactant obtained from a member of the Bacillus subtilis group (PTCC 1696). J Colloid Interface Sci 324, 172-6. 

  8. Gogotov IN and Miroshnikov AI (2009) The influence of growth medium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n biosurfactant production by the bacterium Bacillus licheniformis VKM B-511. Prikl Biokhim Mikrobiol 45, 654-8. 

  9. Greek BF (1991) Sales of detergents growing desoite recession. Chem Eng News 69, 25-52. 

  10. Haddad NI, Wang J, and Mu B (2009) Identification of a biosurfactant producing strain: Bacillus subtilis HOB2. Protein Pept Lett 16, 7-13. 

  11. Hassanshahian M, Emtiazi G, and Cappello S (201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ude-oil-degrading bacteria from the Persian Gulf and the Caspian Sea. Mar Pollut Bull 64, 712. 

  12. Hur SH, Yang JS, and Hong JH (2002) Production of biosurfactant using Bacillus sp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89-93. 

  13. Joshi S, Bharucha C, and Desai AJ (2008) Production of biosurfactant and antifungal compound by fermented food isolate Bacillus subtilis 20B. Bioresour Technol 99, 4603-8. 

  14. Kim HS, Yoon BD, Lee CH, Suh HH, Oh HM, Katsuragi T et al. (1997)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a lipopeptide biosurfactant from Bacillus subtilis C9. J Ferment Bioeng 84, 41-6. 

  15. Kim JS, Song HS, Chung NH, and Bang WG (2005) Optimization of production conditions of biosurfactant from Bacillus sp. and its purific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9-14. 

  16. Kim JY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Bacillus pumilus IJ-1 from contaminated crude oil collected in Taea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7, 514. 

  17. Lang S (2002) Biological amphiphiles (microbial biosurfactants).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7, 12-20. 

  18. Makkar RS and Cameotra SS (1998) Production of biosurfactant at mesophilic and thermophilic conditions by a strain of Bacillus subtilis. J Ind Microbiol Biotechnol 20, 48-52. 

  19. Mukherjee S, Das P, and Sen R (2006) Towards commercial production of microbial surfactants. Trends Biotechnol 24, 509-15. 

  20. Mulligan CN (2005) Environmental applications for biosurfactants. Environ Pollut 133, 183-98. 

  21. Najkar D and Gutnick DL (2003) Involvement of a protein tyrosine kinase in production of the polymeric bioemulsifier emulsan from the oildegrading strain Acinetobacter lwoffii RAG-1. J Bacteriol 185, 1001-9. 

  22. Pagilla KR, Sood A, and Kim H (2002) Gordonia (nocardia) amarae foaming due to biosurfactant production. Water Sci Technol 46, 519-24. 

  23. Pirog TP, Shevchuk TA, Voloshina IN, and Karpenko EV (2004) Production of surfactants by Rhodococcus erythropolis strain EK-1, grown on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bstrates. Appl Biochem Microbiol 40, 470-5. 

  24. Sahoo S, Datta S, Biswas D, and Banik Choudhury R (2010) Biosurfactant production from n-paraffins by an air isolate Pseudomonas aeruginosa OCD1. J Oleo Sci 59, 601-5. 

  25. Shim SH and Park KR (2006)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G314. Kor J Mocrobiol 42, 286-93. 

  26. Thavasi R, Jayalakshmi S, Balasubramanian T, and Banat IM (2007) Biosurfactant production by Corynebacterium kutscheri from waste motor lubricant oil and peanut oil cake. Lett Appl Microbiol 45, 686-91. 

  27. Walker JD and Colwell RR (1975) Some effect of petroleum on estuarine and marine microorganisms. Can J Microbiol 21, 305-13. 

  28. Wei YH, Wang LF, Changy JS, and Kung SS (2003) Identification of induced acidification in iron-enriched cultures of Bacillus subtilis during biosurfactant fermentation. J Biosci Bioeng 96, 17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