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꼬막, Tegillarca granosa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1 no.1, 2015년, pp.27 - 34  

주선미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전미애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김혜진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구가연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이정식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꼬막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화맹낭은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세 가지 종류 (A, B, C) 로 구분 할 수 있었는데 이들 소화세포들은 세포형태, 전자밀도, 세포소기관의 발달 차이를 보였으나 자유면에서 섬모와 미세융모의 발달 및 세포질의 용해소체는 세 가지 상피세포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atomy and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Tegillarca granosa were described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digestive diverticulum was situated on the gonad and connected to stomach by a primary duct. Digestive diverticulum is composed of numerous digestive tubul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에 서식하는 이동, 내재형 이매패류인 꼬막의 화학적 소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소화맹낭의 해부학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고 이를 서식지 차이와 연관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매패류를 구분하는 기준은? 이매패류는 이동성에 따라 부착형과 이동형으로 구분되며, 서식지에 따라 크게 표재형 (epifauna) 과 내재형 (infauna) 으로 구분 할 수 있다 (Gosling, 2004). 부착형에는 굴, Crassostrea gigas,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진주담치, M.
이매패류의 화학적 소화가 이루어지는 방법은? 이매패류의 화학적 소화는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Brock and Kennedy, 1992). 소화맹낭의 소화선세관은 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호염기성세포는 효소를 분비하는 세포로 이들의 분비과립에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주로 세포외 소화기능을 가진다 (Lobo-da-Cunha, 1999).
부착형 이매패류의 종류는? 이매패류는 이동성에 따라 부착형과 이동형으로 구분되며, 서식지에 따라 크게 표재형 (epifauna) 과 내재형 (infauna) 으로 구분 할 수 있다 (Gosling, 2004). 부착형에는 굴, Crassostrea gigas,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진주담치, M. edulis 등이 있으며, 이동형에는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꼬막, Tegillarca granosa 등이 있는데 이들은 서식생태의 차이에 따라 섭이와 소화기작 또한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bentosa, M. and Moyano, F.J. (2009) Differences in the digestive biochemistry between the intertidal clam, Ruditapes decussatus and the subtidal clam, Venerupis pullastra. Aquaculture International, 17: 273-282. 

  2. Alyakrinskaya, I.O. (2001) The dimension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crystalline style of molluscs. Biological Bulletin, 28: 523-535. 

  3. Bernard, F.R. (1973) Crystalline style formation and function in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1795). Ophelia, 12: 159-170. 

  4. Brock, V. (1989) Crassostrea gigas (Thunberg) hepatopancreas-cellulase kinetics and cellulolysis of living monocellular algae with cellulose wall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128: 157-164. 

  5. Brock, V. and Kennedy, V.S. (1992) Quantitative analysis of crystalline style carboohydrases in five suspension-and deposit-feeding bivalve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159: 51-58. 

  6. Dimitriadis, V.K., Domouhtsidou, G.P. and Cajaraville, M.P. (2004) Cytochemical and histochemical aspects of the digestive gland cells of the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L.) in relation to function. Journal of Molecular Histology, 35: 501-509. 

  7. Eble, A.F. (2001) Anatomy and histology of Mercenaria mercenaria. In: Biology of the hard clam. (ed. by Kraeuter, J.N. and Castagna, M.). pp. 117-220. Elsevier, New york. 

  8. Fernandez-Reiriz, M.J., Labarta, U., Navarro, J.M. and Velasco, A. (2001) Enzymatic digestive activity in Mytilus chilensis (Hupe 1854) in response to food regimes and past feeding history.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171: 203-221. 

  9. Gosling, E. (2004) Bivalve molluscs: Biology, Ecology and Culture. 2. Morphology of bivalves. pp. 7-39, Blackwell Publishing Ltd., Oxford. 

  10. Henry, M., Boucaud-Camou, E. and Lefort, Y. (1991) Functional micro-anatomy of the digestive gland of the scallop Pecten maximus (L.). Aquatic Living Resources, 4: 191-202. 

  11. Ibarrola, I., Larretxea, X., Iglesias, J.I.P., Urrutia, M.B. and Navarro, E. (1998) Seasonal variation of diges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digestive gland and the crystalline style of the common cockle Cerastoderma edule.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121: 25-34. 

  12. Ju, S.M. and Lee, J.S. (2011)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Saxidomus purpuratus (Bivalvia: Venerida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3): 159-165. 

  13. Ju, S.M., Kwon, O-N., Kim, J.W., and Lee, J.S. (2011) Digestive enzyme activity within crystalline style in three species of bivalve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1): 9-14. 

  14. Judd, W. (1979) The secretions and fine structure of bivalve crystalline style sacs. Ophelia, 18: 205-233. 

  15. Lobo-da-Cunha, A. (1999) Ultrastructural and cytochemical aspects of the basophilic cells in the hepatopancreas of Aplysia depilans (Mollusca, Opisthobranchia). Tissue & Cell, 31: 8-16. 

  16. Lobo-da-Cunha A. (2000) The digestive cells of the hepatopancreas in Aplysia delipans (Mollusca, Opisthobranchia): ultrastructural and cytochemical study. Tissue & Cell, 32: 49-57. 

  17. Morton, B.S. (1983) Feeding and digestion in bivalves. In: The Mollusca Physiology 5th. (ed. by Saleuddin, A.S.M. and Wilburg, M.). pp. 563-586. Academic Press, New York. 

  18. Owen, G. (1955) Observations on the stomach and digestive diverticula of the Lamellibranchia. I. The Anisomyaria and Eulamellibrasnchia. Quarterly Journal of Microscopical Sciences, 96: 517-537. 

  19. Owen, G. (1970) The fine structure of the digestive tubules of the marine bivalve Cardium edul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58: 245-260. 

  20. Park, J.J. and Lee, J.S. (2010). Ultrastructural changes in digestive gland and lipofuscin accumulation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on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6(1): 63-78. 

  21. Reid, R.G.B. and Sweeney, B. (1980) The digestibility of the bivalve crystalline style.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B, 65(2): 451-453. 

  22. Robledo, Y., Marigomez, I., Angulo, E. and Cajaraville, M.P. (2006) Glycosylation and sorting pathway of lysosomal enzymes in mussel digestive cells. Cell and Tissue Research, 324: 319-333. 

  23. Seiderer, L.J., Newell, R.C. and Cook, P.A. (1982) Quantitative significance of style enzymes from two marine mussels (Choromytilus meridiomalis Krauss and Pern aperna Linnaeus) in relation to diet. Marine Biology Letters, 3: 257-271. 

  24. Wojtowicz, M.B. (1972) Carbohydrases of the digestive gland and the crystalline style of the Atlantic deep-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43(1): 131-141. 

  25. Xu, B. (2002) Endoglucanase and mannanase from blue mussel, Mytilus edulis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gene and three dimensional structure. Acta Universitatis Upsaliensis, Sweden, pp. 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