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목관절 피하밑주머니에 문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의학적 운동치료가 발목 통증, 관절가동범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 of Medical Exercise Therapy Program on Ankle pain, Range of Motion, Stress After Traumatic Injury, and Depression in a Stroke Patient with Inflammation on Subcutaneous Bursa of Ankle Joint: Case Study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1 no.2, 2015년, pp.53 - 62  

유창선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물리치료실) ,  채경주 (경복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weeks medical exercise therapy on ankle pain, range of motion, stress symptom after traumatic injury, and depression, in a 51 years old stroke patient with right ankle joint inflammation. Method: The 8-weeks medical exercise therapy program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른쪽 발목관절 피하밑주머니에 염증이 있는 51세 여성 뇌졸중 환자에게 8주간의 의학적 운동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발목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우울 증상의 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도 이 두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많은 문제점을 가진 발목관절을 대상으로 8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해 보았다. 뇌졸중 환자는 근 긴장도의 변화로 상하지에서의 공동운동패턴 (synergy pattern)이 나타나며, 특히, 발목관절에서는 굽힘 공동운동패턴으로 발목관절의 발등 굽힘과 안쪽번짐이 나타나고, 발목관절의 폄 공동운동패턴으로는 발바닥 굽힘과 안쪽번짐이 나타나(박창일와 문재호, 2012), 서투른 보행 패턴의 결과를 초래한다(Gao 등,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관절이상 구축이 발생한 비율은? 또한, 뇌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 84%에서 관절이상 구축이 발생되었고, 그 중 76%는 발목관절의 구축이 동반되었으며(Yarkony 등, 1987), 발목관절의 경직 (spasticity)이나 구축으로 인한 아킬레스 힘줄(achilles tendon)의 단축으로 이동성과 독립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발목관절의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 의 변화 및 감소된 관절가동범위와 움직임 저하를 가져온다(Zhihao Zhou 등, 2014).
발목관절의 문제점이 야기하는 것은? 이러한 발목관절의 문제점은 뇌졸중 환자에게 더욱 더 균형 및 자세조절과 보행 장애를 초래하게 되며 (Gao 등, 2011), 심하게는 정신적인 심리적 반응들 (psychological reactions)로 나타나는데 과민반응 (hypervigilance), 움직임의 공포(fear of movement), 불안, 우울증(depression) 등이 대표적이다(Torstensen, 2015).
규칙적인 신체적 운동을 통한 중추성 엔도르피네르직 시스템의 작용으로 가지는 효과는? 이러한 우울증에는 신체적인 활동이나 운동이 효과가 있고(Dinas 등, 2011), 규칙적인 신체적 운동은 진정 작용에 의해 불안 감소, 스트레스 감소, 기분 상승 및 통증 지각을 변화시키는 정신신체적 효과 (psychophysical effects)의 넓은 범위와 연관되어 있다 (Morgan, 1985; Pierce와 Pate, 1994). 이러한, 운동을 통한 중추성 엔도르피네르직 시스템(endorphinergic system)의 작용으로 기분 변화 및 스트레스와 관련된 항통각의 효과를 유도하는 진통작용의 효과를 나타내며 (Harber와 Sutton, 1984; Francis,. 1983), 또한, 베타–엔돌핀(beta-endorphins)의 분비는 통증을 조절한다고 보고 하였다(Bender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중선, 장종성. 뇌졸중 환자의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의 신뢰도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4):31-36. 

  2. 김희자. 만성 질환을 가진 재가 노인의 사회적지지, 우울 및 삶의 질.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 박창일, 문재호. 재활의학. 한미의학. 990-991, 2012. 

  4. 이선미, 은헌정.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38(3):501-513. 

  5. 임선영, 이은정, 정성원, 등. 한국판 벡 우울 척도 2판의 타당화 연구. 대한불안학회지. 2011;7(1):48-53. 

  6. 임현희. 소방대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련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등.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5;44(3):303-310. 

  8. 정혜선. 불임주부의 스트레스, 디스트레스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9. 조영환. Medical Exercise Therapy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최창순. 지하철 기관사의 기질 및 성격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위험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 Osteras H, Osteras B, Torstensen TA. Is post-operative exercise therapy necessary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meniscu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one year follow-up.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4;22(1):200-206. 

  12. Andersen HS, Christensen AK, Petersen GO. Post-traumatic stress reactions amongst rescure workers after a major rail accident. Anxiety Res. 1991;4(3):245-251. 

  13. Beck AT, Ward CH, Mendelson M, et al. An in 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iy. 1961;4:561-571. 

  14. Bender T, Nagy G, Barna I.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y on beta-endorphin levels. Eur J Appl Physiol. 2007;100(4):371-82. 

  15. Benedetti F, Thoen W, Blanchard C, et al. Pain as a reward: Changing the meaning of pain from negative to positive co-activates opioid and cannabinoid systems. pain. 2013;154(3):361-367. 

  16. Brody LT, Hall CM. Therapeutic Exercise: Moving Toward Func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rd ed. 2011. 

  17. Dinas PC, Koutedakis Y, Flouris AD. Effects of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on depression. Ir J Med Sci. 2011;180(2):319-325. 

  18. Dohrenwend BS, Dohrenwend BP. Stressful Life Events: Their Nature and Effects. John wiley & Sons Inc. 1974. 

  19. Faugli HP, Jacobsen F, Leirvik R, et al. The Norwegian Medical Exercise Therapy Institute. 1996;8-17. 

  20. Francis K. The role of endorphins in exercise: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3;4(3):169-173. 

  21. Frank JB, Kosten TR, Giller EL,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henelzine and imipramine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 J Psychiatry. 1998;145(10):1289-1291. 

  22. Gao F, Ren Y, Roth EJ, et al. Effects of repeated ankle stretching on calf muscle-tendon and ankle biomechanical properties in stroke survivors. Clinical Biomech. 2011;26(5):516-522. 

  23. Goldfarb AH, Jamurtas AZ. Beta-endorphin response to exercise. An update. Sports Med. 1997;24(1):8-16. 

  24. Hackett ML, Yapa C, Parag V, et al. Frequency of depress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Stroke 2005;36(6):1330-1340. 

  25. Harber VJ, Sutton JR. Endorphins and exercise. Sports Med. 1984;1(2):154-171. 

  26.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209-218. 

  27. Joseph S. Psychosomatic evaluation of Horowitz's Impact of Event Scale: A review. J Trauma Stress. 2000;13(1):101-113. 

  28. Loras H, Osteras B, Torstensen TA, Osteras H. Medical exercise therapy for treating musculoskeletal pain: A narrative review of results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ails with a theoretical perspective. Physiother. Res. Int. 2015;20(3):182-190. 

  29. Lowenthal MF, Chiriboga D. Social stress and adaptation : Toward a life-course perspect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3. 

  30. Mcnair PJ, Marshall RN, Maquire K. Swelling of the knee: effects of exercise on quadriceps muscle strength. Arch Phys Med Rehabil. 1996;77(9):896-899. 

  31. Melzack R, Wall PD. Pain mechanisms: A new theory. Science. 1965;150:971-979. 

  32. Menz HB, Morris ME, Lord SR. Foot and ankl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impaired balance and functional ability in order peopl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60(12):1546-1552. 

  33. Miller J, Gross A, D'Sylva J, et al. Manual therapy and exercise for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Man Ther. 2010;15(4):334-354. 

  34. Morgan WP. Affective beneficence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Med Sci Sports Exerc. 1985;17(1):94-100. 

  35. Osteras B, Osteras H, Torstensen TA. Long-term effects of medical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Results from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12 months follow-up. Physiotherapy. 2013;99(4):311-316. 

  36. Osteras Berit, Osteras Havard, Torstensen TA, et al. Dose-response effects of medical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 Physiotherapy. 2013;99(2):126-131. 

  37. Pierce EF, Pate DW. Mood alterations in older adults following acute exercise. Percept Mot Skills. 1994;79(1):191-194. 

  38. Schwarz L, Kindermann W. Changes in ${\beta}$ -endorphin levels in response to aerobic exercise. Sports Med. 1992;13(1):25-36. 

  39. Torstensen TA, Ljunggren AE, Meen HD, et al. Efficiency and costs of medical exercise therapy, conventional physiotherapy, and self-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pragmatic, randomized, single-blinded, controlled trial with 1-year follow-up. Spine. 1998;23(23):2616-2624. 

  40. Torstensen TA. The Mirror Book: How to understand and deal with pain and stress. Sweden. Holten Institute AB. 2015. 

  41. Van de Port IG, Kwakkel G, van Wijk I, et al. Susceptibility to deterioration of mobility long-term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hort study. Stroke. 2006;37(1):167-171. 

  42. Wilson JP, Keane TM.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The Guilford Press. New York. 1st ed. 1997, p399-411. 

  43. Yarkony GM, Roth EJ, Heinemann AW, et al. Benefits of rehabilitation for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Multivariate analysis in 711 patients. Arch Neurol. 1987;44(1):93-96. 

  44. Yule W, Udwin O. Screening child surviv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experiences from the 'Jupiter' sinking. Br J Clin Psychol. 1991;30(2):131-138. 

  45. Zhou, Yuan Zhou, Ninghua Wang, et al. hanges of Achilles tendon properties via 12-week PNF based robotic rehabilitation of ankle joints with spasticity and/or contracture.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14:1214-12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