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연연구기관 융합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Research Network Structure of Convergence Technologies i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8 no.4, 2015년, pp.693 - 718  

김홍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  정선양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구, 기초기술연구회 및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24개 기관이 출연금과 정부수탁과제로 집행한 최근 3개년간(2011~2013)의 연구과제중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 분류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기술을 연구하는 융합기술 연구과제를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간에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출연연의 융합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 융합연구와 비교할 때 더 활발하고,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기관과 공동연구에 의한 융합연구보다 내부에서 더 활발히 융합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융합기술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여 융합연구의 중심역할을 하는 기술이 내부중심형 기술과 외부중심형 기술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융합연구는 단순히 기술간의 융합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출연연은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단순히 다기술 연구만을 수행하지 말고, 신기술,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연구 영역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출연연의 융합연구 현황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출연연의 융합연구를 활성화를 위한 역할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ce of network structures among convergence technologies focusing on national R&D projects performed by GRIs(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 dataset of convergence technology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by 24 GRIs over 3 years (2011-2013),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구, 기초기술연구회 및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24개 출연연이 출연금과 정부수탁과제로 집행한 정부출연금 연구과제중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분류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기술을 연구하는 융합연구과제를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간에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전체적인 융합연구의 기술간 네트워크 구조와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과제와 비교를 통하여 자체 기관내에서 수행하는 융합연구과제와 타 기관과의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기술분야를 분석함으로써 융합연구 대상기술 중에서 내부역량으로 가능한 기술분야와 외부 협력연구를 통해서 연구가 활성화될 기술분야를 분석하였다.
  • 연구과제간의 유기적 관계는 연구책임자간의 유기적 관계, 과제간의 연관관계, 기술에 따른 연구분야의 연관관계, 연구결과간의 연관관계 등 상호작용에 따른 관계가 형성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연구내의 기술분야간의 연관관계를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구조적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 기술분야는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2012년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데 대분류 33개, 중분류 369개로 나누어 지며,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자료에 대・중분류 기술을 3개까지 입력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분석에 제출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분류 기준에서 분석할 것이다. 융합연구 네트워크내에서 기술분야간 연계는 연결관계(link)로 나타내며, 연결관계를 통해서 융합연구의 경로(path)가 구축된다고 본다.
  • 이광호 외(2013)는 국내 융합연구사업의 실태를 2011년 정부연구개발사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R&D 조직특성을 분석하여 융합R&D의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융합연구과제단위에서 분석한 것이 아니고 이종기술이 일정비율 이상인 사업을 융합사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투입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순수 이종기술의 연구과제에 대한 성과분석으로 인정하기는 곤란할 것이다.
  • 이러한 관점에서 출연연의 융합기술연구는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출연연의 융합기술연구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연구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중분류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기술이 포함되어 연구되는 과제로 정의하고, 기관별로 주요기술이 다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의 융합연구과제를 대상으로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융합연구에서의 기술간 융합관계 및 유기적 연계구조를 실증적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연구개발비 169,139억원(2013년)의 41.3%인 69,923억원(미래창조과학부・KISTEP, 2014)를 집행하고 있는 출연연구기관중에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1)(이하 “출연연”이라 한다)에서 수행하고 있는 정부출연금2) 사업의 융합연구과제에 대한 기술간 네트워크가 어떠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어떠한 기술이 융합연구의 중심에 있는지를 분석하여 출연연 융합연구과제의 기술간에 어떠한 연계 속성이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 융합연구과제중에서 연구수행 주체간의 융합은 어떠한 현상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출연연 융합연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 즉, 본 연구는 출연연구기관에서 수행한 정부 출연금과제중 2개 이상의 기술이 혼합된 융합연구과제간에 어떠한 유기적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과제간의 유기적 관계는 연구책임자간의 유기적 관계, 과제간의 연관관계, 기술에 따른 연구분야의 연관관계, 연구결과간의 연관관계 등 상호작용에 따른 관계가 형성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적인 혁신을 통한 성장이 가능하려면? 21세기는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사회로 과학기술기반의 지속 가능한 혁신(Sustainable Innovation)을 바탕으로 경쟁적 우위를 점유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지속적인 혁신을 통한 성장은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서 양적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은 전 세계적으로 미래사회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 수단으로 인식되어 활용된 지 오래되었다.
융합기술연구에 대한 관심은 누가, 어떤 이야기를 한 이후에 시작되었는가? 융합기술연구에 대한 관심은 Kodama(1992)가 융합은 기술혁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R&D투자의 효율적 정책으로 유용하다고 이야기 한 이후에 정책입안자들의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미국에서 제1차 NBIC 융합기술전략을 수립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융합연구 정책이 활성화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부터 융합기술에 대한 기본방침과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2008)’이 수립되면서 부처별 융합기술에 대한 정책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네트워크 단위와 노드의 정의가 중요한 이유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은 연결망 형태의 특징을 도출하고, 관계성으로 체계의 특성을 설명하거나 체계를 구성하는 단위의 행위를 설명하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론이다(김용학, 2011). 네트워크 분석은 연구설계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동일한 자료도 다른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김용학, 2011). 네트워크 단위, 네트워크 단위내의 노드와 링크 등을 어떻게 설계하는지에 따라 네트워크의 위상 및 노드간의 구조들이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단위와 노드의 정의가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의 네트워크 단위는 출연연에서 수행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과제이며, 노드는 각 연구과제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술분야(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중분류 기준)이고, 연결관계(링크)는 단일과제에서의 기술간의 관계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국가융합기술발전기본방침,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안) ('09-'13): 교육과학기술부 등,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 201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4. 김용학 (2011),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5. 김홍영.박소희 (2014), 융합R&D 추진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미래창조과학부 (2014),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 서울: 과학기술종합심의회. 

  7.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201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사이람 (2014),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기본과정, 서울: 사이람. 

  9. 안승구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양혜영 (2008), 네트워크분석방법을 적용한 과학기술분야간 상관관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성분석,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1. 이광호.김승현.최종화.서지영.강지훈.이아정 (2013), 융합연구사업의 실태조사와 연구개발 특성분석,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이중만.허태영.이정배.황규희.엄기용 (2008),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현황 및 이동 행태분석, 대전:한국연구재단. 

  13. 지식경제부 외 (2012), 제1차 산업융합 발전 기본계획, 서울: 산업융합발전위원회. 

  14. 진영현 (2013), 기술.산업의 융합현상에 관한 실증적 고찰,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5. 강현무.김정식.이용순.노태천 (2010), "공업교육학 연구집단의 사회 네트워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1): 87-105. 

  16. 경정운.김영우.한승환 (2011), "융합연구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 NSF의 환경 속의 생명복합성과 NRF의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 비교", 한국정책과학회보, 15(1): 151-177. 

  17. 경정운 (2012), "정부의 역할이 유합연구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김경식 (2011), "스포츠사회학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와 연구생산성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4(3): 67-91. 

  19. 김윤종.정욱.정상기 (2009), "융합기술 관련 국가 연구개발 사업 현황과 효과적 지원전략에 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2): 413-429. 

  20. 김예슬.정선양 (2014), "창조경제 발전을 위한 융합형 인재 양성",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1-84. 

  21. 김하나.조한구 (2005),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컨소시엄 사업의 실적 및 성공 사례",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0-144. 

  22. 남수현.설성수 (2007),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자 관계구조 분석 사회네트워크 관점", 기술혁신학회지, 10(4): 605-628. 

  23. 박치성 (2012), "행정학 학문공동체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4): 129-153. 

  24. 송용일.이대희.박성배.정윤철 (2004), "융합 연구사업의 최선단 연구기획 관리 전략", 기술혁신연구, 12(3): 135-157. 

  25. 안연식 (2010), "국가기술전략 관점에서의 기초 융합 연구개발(R&D) 기획선진화 방안 연구:EU, 일본, 미국사례 분석 기반", 유라시아연구, 7(1): 25-46. 

  26.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1(2): 297-315. 

  27. 이중만.최민석 (2010),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6): 415-428. 

  28. 이재윤.최상희 (2013), "계량정보학분야의 협력연구 네트워크 및 문헌네트워크 분석 : 국가, 기관, 문헌단위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179-191. 

  29. 임혜선.장태우 (2012), "물류분야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및 연구주제 분석", IE interface, 25(4): 458-471. 

  30. 정성훈 (2012), "정부 주도형 지역 산학연 협력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4): 65-74. 

  31. 정태원.정동섭.김정흠 (2014), "공동논문 현황을 통한 정부출연(연)의 협력네트 구조와 논문성과와의 관계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7(1): 242-263. 

  32. 조찬우.이성주 (2013), "융합기술 개발을 위한 중소기업 간 협업모형 제안",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98-203. 

  33. 최진현 (2010),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특성 분석",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28(3): 184-191. 

  34. 한승환.경정운 (2010), "융합연구 지원의 정책 방향: 미국 과학혁신정책 기반사업, 스위스 연구센터 역량강화사업을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10(2): 109-136. 

  35. 한혁.권오진.강혜진.심위.노경란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나타난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8(5): 671-678. 

  36. 허정은.양창훈 (2013),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융합연구 구조 분석: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4): 883-912. 

  37. Acedo, F. J., Barroso, C., Casanueva, C. and Galan, J. L. (2006), "Co-Authorship i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tudies: An Empirical an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3(5): 957-983. 

  38. Nordmann, A. (2004), "Converging Technologies - Shaping the Future of European Societies", European Commission Research, Interim report of the Scenarios Group, High Level Expert group, 3. 

  39. Barabasi, A.-L., Jeong, H., Neda, Z., Ravasz, E., Schubert, A. and Vicsek, T. (2002), "Evolution of the Social Network of Scientific Collaborations",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311(3-4): 590-614. 

  40. Bower, J. L. and Christensen, C. M. (1995), "Disruptive Technologies: Catching the Wav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43-53. 

  41. Cho, H., Lee, J. S., Stefanone, M. and Gay, G. (2005), "Development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Social Networks in a Distributed Learning Community",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4(2): 435-447. 

  42. Kodama, F. (1992), "Technology Fusion and the New R&D", Harvard Business Review, 70(4): 70-78. 

  43. Hoekmana, J., Frenkena, K., Robert J. W. and Tijssen, R. J. (2010), "Research Collaboration at a Distance: Changing Spatial patterns of scientific collaboration within Europe", Research Policy, 39(5): 662-673. 

  44. Morlacchi, P., Wilkinson, I. F. and Young, L. (2004), Social Networks of Researchers in Business To Business Marketing: A Case Study of the IMP Group 1984-1999 (No.116), SPRU-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Sussex. 

  45. Rosenberg, N. (1963), "Technolog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Journal of Economic History, 23(4): 414-446. 

  46. Newman, M. E. J. (2001),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8(2): 404-409. 

  47. Roco, M. C. and Bainbridge, W. S. (2002),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 Arlington, Virginia: NSF/DO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