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교를 활용한 체험활동 숙박시설의 공간계획 분석
A Study on Space Planning of Accommodations for Experiential Activities by Remodeling Closed School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2, 2015년, pp.111 - 119  

변경화 (가톨릭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연구센터) ,  강은정 (제주대 관광경영학과) ,  유창균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ace planning of accommodations in seven closed schools involved in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s on Jeju Island, a famous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5 schools had been closed down in Jeju between 1982 and 2015. Among them, four c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관광지인 제주도에 있어서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하여 숙박시설을 제공하는 7개의 폐교를 선정하여 숙박시설의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주도 내에 있는 폐교를 활용하여 체험활동을 위하여 제공되는 숙박공간에 대한 현황과 공간계획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내 학교의 통폐합 현황을 1차적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교 재산의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난 후 가능해진 것은? 정부는 교육의 질 향상과 교육재정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취지로 1982년부터 ‘소규모 학교 통폐합 계획’을 실시하였으며, 폐교된 학교의 적극적 활용을 위하여 ‘폐교 재산의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1999년 제정되었다. 이 특별법에 의하여 각 교육청에서는 교육용시설이나 주민복지시설, 공동생산시설 등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수의계약에 의해 일부 폐교시설 및 부지를 개인 및 단체에게 매각 및 유상임대 할 수 있게 하였다.
산업발달과 도시화로 인한 농어촌의 상황은? 산업발달과 도시화로 인한 농어촌의 이농현상은 학령인구의 감소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하여 농어촌지역에서는 학교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폐교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교육의 질 향상과 교육재정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취지로 1982년부터 ‘소규모 학교 통폐합 계획’을 실시하였으며, 폐교된 학교의 적극적 활용을 위하여 ‘폐교 재산의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1999년 제정되었다.
소규모 학교 통폐합 계획을 실시한 이유는? 산업발달과 도시화로 인한 농어촌의 이농현상은 학령인구의 감소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하여 농어촌지역에서는 학교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폐교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교육의 질 향상과 교육재정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취지로 1982년부터 ‘소규모 학교 통폐합 계획’을 실시하였으며, 폐교된 학교의 적극적 활용을 위하여 ‘폐교 재산의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1999년 제정되었다. 이 특별법에 의하여 각 교육청에서는 교육용시설이나 주민복지시설, 공동생산시설 등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수의계약에 의해 일부 폐교시설 및 부지를 개인 및 단체에게 매각 및 유상임대 할 수 있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o, J. M. & Shin, J. U. (2014). Local Publicness and Locality-Extension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Publicness Concept Viewed through Problem of Closed School, The Journal of Localitology, 11, 123-152. 

  2. Choi, J. P., Lee, Y. J., Ryu, J. W., Byun, N. H., & Moon, G. J. (2013). School Conversion Strategy for Affordable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 & Design, 26(3), 3-11. 

  3. Kim, J. Y. & Lee, J. K. (2014).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the Closed School Applicati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General Plan, The Journal of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13(1), 50-57. 

  4. Ko J. S. (2011). A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 of Closed School in Jeju, 36th Jeju Conference, 239-253. 

  5. News Time. (2014). Number of Closed School is 3,595 in Korea (Article, 2014.10.27.).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431) 

  6. Suh, K. Y. & Lee, S. W. (2011).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bolished School Buildings and its Impediment Factorsthe Case of Youth Training Center,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 & Design, 27(2), 11-21. 

  7. Yi, Y. K. & Ko, D. W. (2013). The Study of the closed schools regeneration as the cultural facilities-Focused on Dumoak, Kim Young Gap Gallery,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2), 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