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의 환경윤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도덕적 위치 - 유진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중심으로 -
Critical Analysi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nd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 Focusing on Eugen C. Hargrove's 'Weak Anthropocentrism'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2, 2015년, pp.105 - 113  

오창송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경은 스스로 환경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환경윤리를 이론으로 흡수하였다. 그러나 환경윤리는 자연 보전에 집중한 나머지 조경을 인공물로 취급하며 도덕 대상에서 배척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경은 인간과 자연의 중도적 입장을 주장하나 도덕적 정체성을 의심하게 한다. 오히려 조경은 '자연의 대리인'으로 자처하며 '인간을 위한' 조경의 전통적 도덕관을 밀어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윤리의 비판적 해석을 통해 인간중심으로서 조경의 도덕적 위치의 재정립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환경윤리의 여러 분파 중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는 조경처럼 자연미학을 윤리적 덕목으로 삼는다. 그러나 상이한 자연관 때문에 환경윤리는 조경을 비판적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한 이유로 필자는 하그로브의 조경 비판 내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반론을 도덕적, 미학적, 조경적 입장에서 살펴본다.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연은 존재 자체로서 미적이고 도덕적인 반면 조경은 모조품으로서 자연에 대한 완화된 태도를 취한다. (2) 자연은 자기창조적이기에 완전한 미적 실체인 반면 조경은 상상을 통해 인간적 결함을 감추는 설계된 자연이다. (3) 자연에 기술을 부여하는 환경관리는 무의미하기에 도덕적 허무주의를 발생한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환경윤리는 '도덕적 자율성'을 배제하고 '도덕적 선'을 단순화함으로써 조경이 내포하고 있는 자연을 넘어선 도덕적 실천 능력, 창조와 상상의 폭 넓은 도덕적 의미, '돌봄'으로서 환경관리의 도덕적인 면을 간과하고 있다. 그 결과, 현실에서 자연의 문제는 인간의 삶과 분리할 수 없기에 더 이상 보전만이 미덕이 될 수 없다. 또한 조경은 '선한 삶'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도적 위치보다는 인간중심적 도덕적 위치가 타당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pplies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secure an ecological status. However, environmental ethics that focus on nature conservation excludes landscape architecture as artifacts. In the process, it is hard to identify what landscape architecture insists on a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도적 위치란 양립할 수 없는 관계를 교우하는 의미도 담고 있지만 정확한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윤리와 조경의 접점을 강제하고자 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자연과 윤리의 관계에 있어 각자의 입장과 위치를 해석함으로써 조경의 본질과 일치할 수 있는 도덕적 위치를 탐구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생태적 조경으로 재탄생하기 위해 환경윤리를 습득한 결과 조경의 윤리적 위치는 자연과 인간의 중간에 있다는 기존의 이론에 대한 반론이다. 비록 하그로브가 자연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이 판단하여 한다는 완화된 주장을 하였음에도 자연을 위한 것은 보전만이 도덕이라고 규정한다.
  • 그러나 점점 생태계획화 또는 생태공학화 하는 흐름속에서 조경은 중립적 위치가 아닌 ‘자연의 대리인(agents of nature)’으로 자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반성적 차원에서 생태조경의 근원적 배경을 제시해준 환경윤리를 이면화 (裏面化)함으로써 조경의 본의는 도덕적 삶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임을 되집고자 한다.
  • 초기의 환경윤리는 개체론에서 출발하는데, 인간 중심이었던 윤리를 지구 생명체까지 도덕적 지위를 확장시켰다. 상처 입은 돌고래의 고통, 사냥하며 살육되어진 동물들에 대한 죄스러움 등 생명 객체에 대한 인간의 감정 이입을 통해 생물에 대한 개별적 배려와 복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개체론은 생명 자체를 ‘도덕적 배려(moral consideration)’ 대상으로 삼아 인간에 의해 특정 대상만을 다루거나 변형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 환경윤리학자 이자경 관생태학자인 요안이버슨나쉬어(Joan Iverson Nassauer) 는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조경의 환경관리를 예시하고 있다. 자연보존지역과 사유지의 경계에서 더 많은 자연 착취를 하는 관계로 공원을 완충공간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녀는 이를 ‘경치의 미’와 ‘경관의 돌봄’을 결합한 것으로 경관의 생존전략으로써 도덕적 인간 의지를 강조한다(Nassauer, 2008:365-368).
  • 본 연구는 ‘약한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검토를 필두로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째, 환경윤리가 조경을 비판하는 사유에 대하여 살펴본다. 둘째, 이에 대한 조경적 반론으로 도덕적 정당성을 제시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하그로브는 환경윤리는 현시대의 새로운 윤리담론 이라고 주장 하지만 과거의 규범 윤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① 자연 존재에 대한 도덕적 당위성 주장은 조경이 추구하는 자연의 도덕적 실천행위를 판별하지 못하고 있다. ② 상상을 제거한 미적 태도는 20세기 이전의 조경양식사에만 의존한 나머지 포괄적인 조경의 예술적 자연적 가치를 간과한다.
  • Cooper)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① 조경은 순수예술에 비해 미적 주체가 없다. ② 조경은 선한 삶(good life)으로서 도덕적 면을 증명하지 못하였다.
  • 둘째, 자연에 대한 미학으로서 입장 차이이다. 환경윤리는 자연을 도덕화 하는 과정에서 규범적 이념으로 삼아 자연을 정태적 예술작품으로 취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그로브는 자신의 환경윤리에서 자연에 대한 존재론적 논의를 어떻게 설명했는가? “우리가 해야 할 ‘선’이란 존재해야 할 것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름다움을 증진시키거나 보존해야 할 의무는 아름다움이 경험여부와 상관없이 그것이 선하다는 것을 인정하는데서 나온다(Hargrove, 1988:353).”
환경윤리란? 환경윤리는1960년대후반물질성장에의한생태파국으로부터 지구환경을지키기위한서구의‘반문화적운동’이다(Zimmerman,1993:ⅴ-ⅵ). 초기의 환경윤리는 개체론에서 출발하는데, 인간 중심이었던 윤리를 지구 생명체까지 도덕적 지위를 확장시켰다.
개체론과 전체론이 현대 환경윤리에 미친 영향은? 그리고 생태계 전체구조를 중요시 여기는 관계로 자연 보존을 중요한 도덕 문제라고 선제한다. 개체론과 전체론은 대립관계를 이루기도 하지만 경제적 동기에 의한 생명 파괴를 부정하고 자연에 대한 이타의식, 생물 평등주의, 지구 공동체 의식과 책임․의무라는 윤리적 실천 과제를 남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eathely, Timothy(1994)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field of planning: Aternative theories and middle-range principales. in Huw Thomas(ed.) Values and Planning. Addershot: Avebury. pp. 12-37. 

  2. Callicott, J. Barid(1980)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Environmental Ethics 2: 311-338. 

  3. Callicott, J. Barid(1984) Non-anthropocentric value theory and environmental ethics.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21: 299-309. 

  4. Callicott, J. Barid(1993) Introduction. in Zimmerman M. E. (general ed.) Environmental Philosophy: from Animal Rights to Radical Ecology.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pp. 3-11. 

  5. Callicott, J. Barid(2008) Leopold's Land Aesthetic. in Allen Carlson and Shela Lintott(eds.) Natur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ism: From Beauty to Du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05-118. 

  6. Carlson, Allen(1984) Nature and positive aesthetics. Environmental Ethics 6: 5-34 

  7. Cooper, David E.(2006) A Philosophy of Gard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8. Grange, Joseph(1992) Foundations of environmental ethics by Eugen C. Hargrove. Philosophy East and West 42(1): 175-177. 

  9. Hardin, Garrett(1968) The tragedy of commons. Science 162: 1243-1248. 

  10. Hargrove, Eugene C.(1988) Foundations of Environmental Ethics. 김형철(역) 환경윤리학.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4. 

  11. Hargrove, Eugene C.(1992) Weak anthropocentric intrinsic value. Monist 75(2): 182-208. 

  12. Harvey, David(2000) Space of Hope. 최병두?이상율?박규택(역) 희망의 공간: 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서울: 한울. 2001. 

  13. Johnson, Mark(1993) Moral Imagination: Implications of Cognitive Science for Ethics. 노양진(역) 도덕적 상상력: 체험주의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파주: 서광사. 2008. 

  14. Kim, Kuk Hyun(2006)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and mor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61: 193-225. 

  15. Kim, Kwang Tae(2011) The is-ought debate and the definition of moral -Focused on Peter Singer's ethical theory-.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24: 143-162. 

  16. Kim, Moon Hwan(2001) Historical developments of aesthetics of nature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In its relation with the foundation of environmental aesthetics-.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30: 35-115. 

  17. Kim, Nam Joon(2009) Naturalness as criterion of moral judgment -Nature, naturalness and naturalistic fallacy-. Environmental Philosophy 8: 225-260. 

  18. Kim, Sang Deuk(2003) The is/ought distinction and moral realism.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1: 221-238. 

  19. Kim, Sun Kyu(2011) Ontology of artworks and critic of aesthetic consciousness. Studies for Hermeneutics 27: 111-142. 

  20. Leopold, Aldo(1949) A Sand County Almanac, and Sketches Here and There. 송명규(역) 모래 군의 열두 달: 그리고 이곳 저곳의 스켓치. 서울: 따님. 2000. 

  21. Meyer, Elizabeth K.(2008) Sustaing beauty: The performance of appearance.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3(1): 6-23. 

  22. Mun, Dong Kyu(2004) Das Seinsdenken Heideggers und der ontologische Grund der Umwelt-Ethik. Journal of Pan-Korean Philosophical Society 32: 83-111. 

  23. Nassauer, Joan Iverson(2008) Cultural Sustainability: Aligning Aesthetics and Ecology. in Allen Carlson and Shela Lintott(eds.) Natur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ism: From Beauty to Du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363-376. 

  24. Norton, Bryan G.(1984) Environmental ethics and weak anthropocentrism. Environmental Ethics 6: 131-148. 

  25. Park, Sang Hyuk(2007) Can a morally bad work of art be an aesthetically good work of art?.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50: 115-138. 

  26. Passmore, John(1974) Man's Responsibility for Nature: Ecological Problem and Western Traditions. London: Gerald Duchworth. 

  27. Schauman, Sally(1997) Beyond Stewardship toward Partnership. in George F. Thompson & Frederick R. Steiner(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239-262. 

  28. Shin, HyunWoo(2012) Astudy on the moral imagination as motivational factor of moral behavior.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87: 186-203. 

  29. Singer, Peter(1973) The triviality of the debate over 'is-ought' and the definition of 'moral'.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10: 51-56. 

  30. Song, Myung Gyu(1994)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hilosophy (1): Environmental ethics.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19(2): 79-109. 

  31. Song, Myung Gyu(1998) Aldo Leopold's land ethic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6(1): 39-71. 

  32. Tayor, Paul W.(1986) Respect for Nature: A Theory of Environmental Eth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Thompson, Ian H.(1998)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ory. Landscape Research 23(2): 175-194. 

  34. Walker, Peter and Melanie L. Simo(1996) Invisible Gardens: The Search for Modernism in the American Landscape. Cambridge: MIT Press. 

  35. Zimmerman, M. E.(1993) General Introduction. in Zimmerman M. E. (general ed.) Environmental Philosophy: from Animal Rights to Radical Ecology.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pp. v-x.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