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공사에서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조경기술자들의 인식 -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를 대상으로 -
Landscape Engineers' Perceptions of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in Landscape Construction - Focused on Landscape Constructors and Designer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4, 2023년, pp.90 - 100  

오창송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심지수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 건설안전 정책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를 유도하고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었지만, 조경분야는 현황 파악조차 못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조경공사 건설사고 현황을 살펴보았고, 둘째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의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인식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1)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접수된 조경공사의 사고는 시설종류와 관련하여 민간이 발주한 공동주택공사에서, 조경공정과 관련하여 식재공에서 절반 이상 발생하였다. (2) 조경설계자가 조경시공자보다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그중 안전태도, 작업위험, 작업참여, 작업압박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확보하지 못하였지만, 조경설계자들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나 구체적인 행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마지막으로, 조경시공자들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에 대한 중요성을 타 항목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safety policy of Korea requires safety reviews at design stages, which affect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workers toward safety. Despite this heightened social interest in safety, there is no related research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entails a revi...

주제어

참고문헌 (40)

  1. 고성석(2014) 시공 중 산업안전 및 건물의 유지관리개념의 안전. 건축 58(10): 58-62.? 

  2. 고용노동부(2023) 2023. 3월말 산업재해현황. 국가통계 승인번호 제118006호. 

  3. 국토교통부(2017)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 매뉴얼. 

  4. 김동진, 김광희(2019) 설계단계 설계 안전성 검토 적용의 문제점과 도출 위험요인의 적정성.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9(6): 549-555.? 

  5. 김동철, 안형환(2021) 국내 건설현장 외국인 작업자의 안전행동 요인분석. 표준인증안전학회지 11(3): 43-56.? 

  6. 김세엽, 차수현, 자용운, 한상원(2021) 건설근로자가 갖는 안전불감증의 특성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2(2): 88-96.? 

  7. 김세훈, 강휘진(2020)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동향연구.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13(1): 41-50.? 

  8. 문기섭, 장영철(2014) 안전분위기 구성요소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14(1): 131-154.? 

  9. 박재영(2022) 조경시공현장 안전관리 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31(7): 653-663.? 

  10. 박환표, 한재구(2019)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9(4): 361-371.? 

  11. 서원경, 차유나, 강영철(2023) 설계사의 설계 안전성 검토(DfS): 인식 현황과 업무수행을 위한 필요 역량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9(6): 253-263.? 

  12. 손승현, 하선근, 최상철, 김선국, 손기영(2019) 국내 건설기업의 규모별 안전분위기 인식 수준 비교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9(4): 373-382.? 

  13. 신동필, 이동은(2013) 건설 근로자의 안전행동 영향요인들 간의 구조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4(1): 101-114.? 

  14. 신원상, 손창백(2019) 건설프로젝트의 설계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9(4): 351-359.? 

  15. 신주열(2017) 설계안전성 검토(DfS) 발전방안. 터널과 지하공간 27(6): 351-356.? 

  16. 안관영(2004) 안전분위기와 산업재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27(1): 24-31.? 

  17. 안관영(2005) 안전분위기와 안전성과의 관계 및 연령의 조절효과. 한국안전학회지 20(4): 122-129.? 

  18. 안관영(2006) 안전분위기 안전사고의 관계 및 인적요인과 물적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8(6): 1-11.? 

  19. 안관영, 박노국(2006) 건설업 근로자들의 안전분위기와 안전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8(6): 41-53.? 

  20. 오명호, 박태환, 박영준, 손기영, 안성진, 김태희(2014) 건설현장 공종별 안전사고 유형분석을 통한 안전교육 자료의 적정성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30(3): 131-139.? 

  21. 위국환, 김광규, 장성록, 방원석, 김선화(2022) 안전리다쉽이 근로자의 안전태도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8(1): 87-97.? 

  22. 이군재(2020) 설계 안전성 검토 결과를 활용한 시공단계 안전관리 업무 개선-설계 안전성 검토와 안전관리계획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지 35(6): 54-60.? 

  23. 이군재, 민영기, 정광호(2018) 건설 현장 안전 환경 개선을 위한 설계 안전성 검토 활용 방안. KIEAE Journal 18(5): 113-120.? 

  24. 이동훈(2023) 조직의 안먼문화와 안전동기가 안전휴효성 및 안전행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안전리더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위논문. 

  25. 이종한, 이종구, 석동헌(2011) 조직 안전풍토의 하위요인 확인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4(3): 627-650.? 

  26. 임종민, 장문선, 김경우(2020) 산업현장 중대재해 경험 근로자의 심리적 외상과 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6): 1077-1095.? 

  27. 진해경, 권창희(2016) 건설현장 안전문화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2(4): 403-411.? 

  28. 진형성, 이동은(2013) 건설 근로자의 개인특성 및 안전행동 간의 경로모형 구축.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3(2): 169-180.? 

  2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3) 조경공사(수목식재작업)의 안전보건작업지침. KOSHA GUIDE C_75-2013.? 

  30. 홍인기, 백봉배(2016) 안전문화 평가방안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31(1): 118-125.? 

  31. Cooper, D. and A. Phillips(1994) Validation of a safety climate measure. Proceeding of Occupational Psychology Conference of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Jan: 3-5.? 

  32. Cooper, D.(2000)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6(2): 111-136.? 

  33. Cox, S. and R. Flin(1998) Safety culture: Philosopher's stone or man of straw? Work and Stress 12(3): 189-201.? 

  34. Glendon, I. and A. Stanton(2000) Perspectives on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4(1-3): 193-214.? 

  35. Griffin, M. and A. Neal(2000a) Safety climate & performance perception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347-358.? 

  36. Griffin, M. and A. Neal(2000b)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s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3): 347-358.? 

  37. Mohamed, S.(2002)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8(5): 375-384.? 

  38. Neal, A., A. Griffin and R. Flin(2000)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34: 99-109.? 

  39. Zohar, D.(1980)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5(1): 96-102.? 

  40.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 https://www.csi.go.kr(접속일 2023년 5월 20일)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