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범죄의 대응강화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수사 활용방안
The application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for response of cyber-crim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4, 2015년, pp.81 - 87  

오세연 (세명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이버범죄에 대한 대응강화를 위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의 발생현황과 경찰청의 디지털 포렌식 활용실태를 살펴 본 후 사이버범죄의 수사와 범인검거에 있어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버범죄 대응 디지털 포렌식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모델은 디지털 포렌식 분석기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언어지원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개별언어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는 범죄혐의를 입증하는데 있어 법적 증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법적증명력이 있다고 분석된 데이터들은 다시 경찰 등의 수사기관에 알려주게 되어 신속한 수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사기관은 파일시스템에 직접 접근하여 디지털 증거능력 여부를 조회 확인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강수사에 대한 수사절차와 시간을 최소화 하고, 디지털 포렌식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는 디지털 포렌식 저장기에 다시 저장하여 모아진 데이터를 통해 향후 범죄예측과 예방에 활용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이버범죄 감소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ill show the digital forensic model which fights against cyber-crimes to prepare various cyber-crimes. The digital forensic model will be more useful about the investigation of cyber-crimes and arresting criminals after researching the uses of the digital forensic model and cyber-crim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각각의 성격이 다른 범죄에 대하여 디지털 증거를 분석하여 증거로 제시하는 정도의 모델을 연구하고 있어 제시된 디지털 데이터의 증명력확보에 문제점을 가지게 되고, 수사에 사용되어진 디지털 증거 데이터를 향후 발생하게 될 범죄를 예측하는데 사용 하지 않고 있어 디지털 증거 데이터의 범죄예측 활용에 대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이버범죄 대응강화를 위한 온톨로지 형식의 디지털 포렌식 모델을 제안하여 디지털 증거 데이터의 증명력 여부 검토에 대한 분석을 추가하고 이후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여 향후 범죄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바탕으로 사이버범죄에 대응강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디지털 포렌식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의 증가현상에 따른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강구하고자 사이버범죄의 발생현황과 디지털 포렌식의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수사상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사이버범죄에 대해 디지털 포렌식을 활용한 좀 더 효율적인 수사방법과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이를 위해 우선 사이버범죄의 개념 및 유형 그리고 디지털 포렌식의 범죄수사처리절차에 대하여 살펴본 후 사이버범죄의 유형별 발생현황과 우리나라 경찰의 디지털 포렌식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사이버범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포렌식 수사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포렌식은 무엇인가? 디지털 포렌식이란 디지털증거를 저장하는 정보기기에 내장된 디지털자료를 근거로 삼아 그 정보기기를 매개체로 하여 발생한 어떠한 행위의 사실관계를 규명하고 증명하는 일체의 절차를 말한다. 다시 말해 디지털 증거를 수집, 운반, 분석하여 범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법정에서 유죄의 증거로 사용하기 위한 일견의 과정으로 1991년 미국 포틀랜드에서 열린 IACI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mputer Specialists)에서 처음 사용되었다[5]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포렌식을 활용한 수사지원체계가 강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사이버범죄에 대하여 사이버대응센터를 설치하여 사이버범죄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범죄의 발생추이와 다양한 범죄기술 양상의 발달로 고도의 전문화 되어진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사이버상이라는 특성을 감안할 때 증거수집과 관련하여서도 디지털 포렌식의 활용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하지만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예산지원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디지털매체의 발달과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포렌식을 활용한 수사지원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포렌식에서 최초수집부터 보관까지 각 매체별 특징에 맞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과 절차가 준수되었다는 사실을 수사기관이 입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디지털 포렌식은 범죄수사의 일환으로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는 절차는 일반적인 증거물에 적용되는 법률절차를 그대로 적용하며, 디지털 매체의 특성으로 인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수적이다. 디지털포렌식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매체나 데이터는 비가시성, 변조가능성, 복제용이성, 휘발성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최초수집에서 보관까지 각 매체별 특징에 맞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과 절차가 준수되었다는 사실을 수사기관이 입증해야 한다[6].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포렌식의 수사가 컴퓨터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폰에서 사건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삭제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ang-Woon Kim, Hyun-Bin Jo, Prevention Methods of Cyber-crimes using the Private Security,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3, pp. 141-151, 2012. 

  2. Won-Geun Yang, Nature of cyber crime and the investigation direction, Investigation research, 2006. 

  3. Bong-Gyu Song, Suk-Hun Chang. The Actual Condition of Police Digital Forensic and Its Solutions for Improvement,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Vol. 12, No. 2, pp.115-142, 2013. 

  4. Jeong-Wan, The Recent Situation of Cybercrime and the Legal Measurements. Hongik University Legal Research Center, Vol. 10, No. 1, pp. 195-224, 2009. 

  5. Han-Kuk. Yun, Sang-Hoon. Lee, Digital Forensics Ontology for Intelligent Crime Investigation System,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9, No. 12, pp.161-169, 2014. 

  6. Sang-Jin. Lee. Introduction to Digital Forensics. Iroon. 2010. 

  7. Kyung-Soo Lim, Jong-Hyuk Park, Sang-Jin Lee, Trend and Challenges of Current Digital Forensics, Journal of Security Engineering, Vol. 5, No.4, pp. 47-58, 2008. 

  8. Kyung-Soo Lim et al, A Study on the Information Interchanging of Forensic Investig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Winter Symposium, pp. 35-53, 2007. 

  9. Kwang-Hun Cho, Improvement of the Issues in Search and Confiscation of Digital Evidence, Seoul Law Review, Vol. 21, No.3, pp. 699-738, 2013. 

  10. Young-Ho Kim, Dae-Sung Lee, The Problem Point and Improvement Program of the Scen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at Practical Affairs,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7, No.11, pp. 2595-2601, 2011. 

  11. Byong-Sun Kwack,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Law Review, Vol. 23, No.2, pp. 171-191, 2013. 

  12. Byong-Sun Kwack,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Law Review, Vol. 23, No.2, pp. 171-191, 2013. 

  13. Sang-Hee Jang et al,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of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3, No.2, pp. 203-212, 2013. 

  14. Se-Hwan Park, Young-Soo Chol, Jong-Kyu Park, Technology Trend on Image File Carving,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37, No.6, pp. 1428-1431, 2014. 

  15.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tatistical Yearbook of the Police,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