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수계의 하천에 대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의 기여도 정량화
Quantifying Contribution of Direct Runoff and Baseflow to Rivers in Han River System,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4, 2015년, pp.309 - 319  

홍지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신용철 (APEC 기후센터 기후변화연구팀) ,  정영훈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하천특성은 기후변화에 의한 계절별 기후변동성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급격한 토지피복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왔다. 이와 관련하여, 하천관리는 수자원이용 등 인간의 활동 뿐 아니라 생태계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천관리의 첫 번째 단계인 직접유출기저유출을 포함한 하천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지속적인 하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대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하천관리를 위해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정량화하여 하천에 미치는 기여도를 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강수계에 위치한 71개의 유량관측소에 대하여 BFLOW와 WH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저유출 분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강수계의 기저유출비는 0.42에서 0.78의 범위를 가지며, 기저유출비가 50%를 넘는 관측소는 전체 관측소의 76%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산출된 기저유출비는 댐, 저수지, 호수로부터의 방류량과 같은 인위적 영향 때문에 과다산정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추후 국가적 차원에서 하천관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하천 기능을 조절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ver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has been affected by seasonal climatic vari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and by remarkable land cover change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In this regard, the roles of river management is getting more important to eco-system and human community in watersheds of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하천특성은 무엇인가? 국내 하천특성은 기후변화에 의한 계절별 기후변동성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급격한 토지피복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왔다. 이와 관련하여, 하천관리는 수자원이용 등 인간의 활동 뿐 아니라 생태계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속적인 하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이와 관련하여, 하천관리는 수자원이용 등 인간의 활동 뿐 아니라 생태계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천관리의 첫 번째 단계인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포함한 하천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지속적인 하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대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하천관리를 위해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정량화하여 하천에 미치는 기여도를 산정하는 것이다.
기저유출 분리를 수행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한강수계에 위치한 71개의 유량관측소에 대하여 BFLOW와 WH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저유출 분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강수계의 기저유출비는 0.42에서 0.78의 범위를 가지며, 기저유출비가 50%를 넘는 관측소는 전체 관측소의 76%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산출된 기저유출비는 댐, 저수지, 호수로부터의 방류량과 같은 인위적 영향 때문에 과다산정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iablame, L., Chaubey, I., Engel, B., Cherkauer, K., and Merwade, V. (2013). "Estimation of annual baseflow at ungauged sites in Indiana USA." Journal of Hydrology, Vol. 476, pp. 13-27. 

  2. Anderson, M.G., and Burt, T.P. (1978). "Experimental investigations concerning the topographic control of soil water movement on hillslopes." Z. Geomorphol., Vol. 29, pp. 52-63. 

  3. Anurag, S. (2010),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WEPP in a Forested Watershed with Perennial Streams, MS Thesis, Auburn University, AL 

  4. Arnold, J.G., Allen, P.M., Muttiah, R., and Bernhardt, G. (1995). "Automated baseflow separation and recession analysis techniques." Ground Water, Vol. 33, No. 6, pp. 1010-1018. 

  5. Arnold, J.G., and Allen, P.M. (1999). "Automated methods for estimating baseflow and ground water re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J. American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35, No. 2, pp. 411-424. 

  6. Chapman, T.G. (1991). Comment on "Evaluation of automated techniques for baseflow and recession analyses" by R.J. Nathan and T.A. McMahon, Water Resour. Res., Vol. 27, No. 7, pp. 1783-1784. 

  7. Chapman, T.G., and Maxwell, A. (1996). "Baseflow Separation - Comparison of Numerical Methods With Tracer Experiments." 23rd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Symposium, Hobart,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 Hobart, Tasmanta, pp. 539-545 

  8. Cho, S.H. (2006). Computation of baseflow contribution to streamflow using environmental tracers in three small catchments Yuseong, Daejeon. PhD Dissertation, Choo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Korean Literature] 

  9. Du, X. (2012). Quantifying And Differentiating Impacts Of Climate Variation, Instream Modification, And Anthropogenic Land Use Change On River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 Processes, PhD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10. Eckhardt, K. (2005). "How to Construct Recursive Digital Filters for Baseflow Sepa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No. 2, pp. 507-515. 

  11. Jeon, S.M., Park, J.H., and Park, C.G. (2012).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Evaluating Streamflow Depletion in the Urbanized Small and Medium Watershed." Korean Reviewof Crisis & EmergencyManagement, Vol. 8, No. 6, pp. 51-65 [Korean Literature] 

  12. Ji, D.G. (201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Baseflow Using WHAT SYSTEM in Han River Watershed, M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13. Kang, D.S. (2011). Study on the change of river discharge and baseflow considering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M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14. Kang, H.W., Ryu, J.C., Kum, D.H., Jeong, Y.H., Lim, K.J. (2012). "Application of seasonal Alpha Factor using SWAT BFlow program." Proceeding of the 2012 conferenc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462-462. [Korean Literature] 

  15. Kedareswarudu, U., and Kumar, S. (2013). "Estimation of contribution of springs to ASAN River watershed of DOON valley through baseflow-Hydrograph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Geology,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Vol. 3, No. 1, pp. 69-82. 

  16. Kum, D.H., Moon, J.P., Ryu, J,C., Kang, H.W., Jang, W.S., and Lim, K.J. (2011). "Analysis of Baseflow at Major Rivers using Web-based SWAT Bflow System." Proceeding of the 2011 conference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462-462. [Korean Literature] 

  17. Lim, K.J., Engel, B., Tang, Z., Choi, J., Muthukrishman, S., and Tripathy, D. (2005). "Automated Web GIS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course Association, Vol. 41, No. 6, pp. 1407-1416. 

  18. Lyne, V., and Hollick, M. (1979). "Stochastic time-variable rainfall runoff modelling.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Symposium, Berth." 1979 Proceedings. National Committee o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of the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 pp. 89-92. 

  19. Nam, K.H., Kim, G.B., and Jeong, G.C., (2013). "Baseflow Comparison using the WHAT system and Flow Rate Measurements in the Dry and Rainy Seas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3, No. 2, pp. 117-125. [Korean Literature] 

  20. Rutledge, A.T.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 the recession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for 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Updat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USA. 

  21. Willems, P. (2009). "A time series tool to support the multi-criteria performance evaluation of rainfall- runoff models."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Vol. 24, pp. 31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