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이 온라인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 감시성의 조절적 효과
The Effects of Body Esteem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Online Fashion Products: The Moderating Role of Self Monitoring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0 no.2, 2015년, pp.85 - 96  

김완민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  강성호 (조선대학교 경영학부) ,  이한근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모와 신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한 관련 산업들의 폭발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신체 존중감과 소비자의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관적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제품을 대상으로 신체 존중감과 소비자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들 관계에서 존재하는 자기 감시성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172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 존중감은 온라인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감시성은 신체 존중감과 온라인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growth of body-related industry has generat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is topic among bo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that explore body esteem toward online fashion products leads to purchase intentions, which self-monitoring moderates the relationshi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과 자기 감시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사회 심리학에서 발달된 자기 감시성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됨으로써 소비자와 관련된 많은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10-11,31,35].
  • 본 연구는 가설검증에 앞서 다항목으로 측정된 구성개념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과 패션 제품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자기 감시성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그렇다면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변수는 무엇이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절변수로 자기 감시성(self-monitoring)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기 감시성은 소비자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 상황의 영향을 받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0-12].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 신체 존중감과 자기 감시성의 역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몇몇 소비자들의 쇼핑 패턴을 살펴보면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 즉,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신체 존중감이 자기 감시성 수준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소비자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과 온라인 패션제품의 구매촉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신체 존중감이 온라인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자기 감시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신체 존중감이 자기 감시성 수준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신체 존중감이 온라인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자기 감시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신체 존중감이 자기 감시성 수준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소비자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과 온라인 패션제품의 구매촉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소비자의 지각된 신체 존중감은 온라인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소비자가 신체 존중감을 높게 지각할 때, 온라인 의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자기 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들이 자기 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들 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 가설 3: 소비자가 신체 존중감을 낮게 지각할 때, 온라인 의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자기 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들이 자기 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들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들이 개인의 신체 정보만을 의존하여 구매결정을 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온라인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있어 소비자들은 개인의 신체 정보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고 보았을 때[6-8],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패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자기 감시성과 같은 사회적 상황에 영향을 받는 개인의 특성변수를 다소 간과해왔다는 것이다. 특히 패션제품이 개인의 사회적 이미 지를 증대시키는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에[9], 소비자 들이 개인의 신체 정보만을 의존하여 구매결정을 하였다고는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다른 특성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패션제품 시장의 급격한 성장의 이유는 무엇인가? 소비자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화장품, 의류, 헤어제품 등과 같은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를 촉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등장 이후 국내 온라인 쇼핑에서의 패션제품은 제품별 거래액에 있어 매년 15%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3], 시장 성장률은 연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4]. 따라서 온라인 쇼핑에서의 패션제품 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마케팅 실무자들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신체 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신체 존중감은 자신의 외모나 신체에 대한 전반적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6],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중요한 한 요소로 간주되어 진다[14]. 이는 개인이 신체 존중감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정신 건강, 대인관계, 주관적 안녕감 등과 같은 개인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6,15-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isafocus (2014), "Appearance is the competitiveness," September. 10, 2014. 

  2. Financial News, "84% of University students think that nice appearance help them find a job," November, 16, 2011. 

  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nline shopping trends," November, 30, 2014. 

  4. J.-H. Lee and D. I, Lee, "The effects internet shopping on Korea economy,"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2013. 

  5. J. A. Rosa and A. J. Malter, "E-(embodied) knowledge and e-commerce: how physiological factors affect online sales of experiential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3, No. 1&2, pp. 63-73, 2003. 

  6. J. A. Rosa, E. C. Garbarino and A. J. Malter, "Keeping the body in mind: the influence of body esteem and body boundary aberration on consumer beliefs and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6, No. 1, pp. 79-91, 2006. 

  7. J. Park, Y. Nam, K.-M. Choi, Y. Lee and K.-H. Lee, "Apparel consumers' body type and their shopp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 13, No. 3, pp. 372-393, 2009. 

  8. A. Merle, S. Senecal and A. St-Onge. "Whether and how virtual try-on influences consumer responses to an apparel web site,"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 16, No. 3, pp. 41-64, 2012. 

  9. R. E. Goldsmith and L. R. Flyn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rivers of online clothing purchas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 8. No. 1, pp. 84-95, 2004. 

  10. K. G. DeBono and M. Packer, "The effects of advertising appeal on perceptions of product qual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17, No. 2, pp. 194-200, 1991. 

  11. S. Shavitt, T. M. Lowrey and S.-P. Han, "Attitude functions in advertising: The interactive role of products and selfmonitor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 No. 4, pp. 337-364, 1992. 

  12. M. Snyder and T. C. Monson, "Persons, situations, and the control of social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2, No. 4, pp. 637-644, 1975. 

  13. M. Snyder,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0, No. 4, pp. 526-537, 1974. 

  14. J. L. Goldenberg, S. K. McCoy, T. Pyszczynski, J. Greenberg and S. Solomon, "The body as a source of self-esteem: the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on identification with one's body, interest in sex, and appearance monitor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9, No. 1, pp. 118-130, 2000. 

  15. T. F. Cash, D. W. Cash and J. W. Butters, "Mirror, mirror, on the wall.? Contrast effects and self-evaluations of physical attractive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9, No. 3, pp. 351-358, 1983. 

  16. T. F. Cash and T. E. Pruzinsky,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1990. 

  17. A. J. Marsella, L. Shizuru, J. Brennan and V. Kameoka, "Depression and body image satisfactio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12, No. 3, pp. 360-371, 1981. 

  18. W.-S. Gim and J.-H. Cha, "Body-related values and consumer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for scale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7, No. 3, pp. 455-485, 2006. 

  19. D. W. Dahl, J. J. Argo and A. C. Morales, "Social information in the retai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consumption alignment, referent identity, and self-esteem,"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8, No. 5, pp. 860-871, 2012. 

  20. E. Berscheid, E. Walster and G. Bohrnstedt," The happy American body: a survey report, Vol. 7, No. 6, pp. 119-131, 1973. 

  21. T. F. Cash, B. A. Winstead and L. H. Janda, "The great American shape-up: Body image survey report," Psychology Today, Vol. 20, No. 4, pp. 30-37, 1986. 

  22. W.-S. Gim and H. Kim, "Effects of body image on body-related consumption in femal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6, No. 3, pp. 27-40, 2005. 

  23. E.-A. Park and Y.-S. Su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image-body image discrepancy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2, No. 1, pp. 87-116, 2001. 

  24. P. A. LaBarbera, "The nouveaux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 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Vol. 3, pp. 179-210, 1988. 

  25. S. Epstein, "The self-concept: a review and the proposal of an integrated theory of personality. in E. Staub (Eds), Personality: Basic Issues and Current Researc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pp. 82-132. 1980. 

  26. D. W. Rook, "Body cathexis and market segmentation,", in M. R. Solomon, (Eds), The Psychology of Fashion,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pp. 233-241, 1985. 

  27. S. J. Gould, "Assessing self-concept discrepancy in consumer behavior: the joint effect of privat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20, No. 1, pp. 419-424, 1993. 

  28. R. C. Becherer and L. M. Richard, "Selfmonitoring as a moderating variable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5, No. 3, pp. 159-162, 1978. 

  29. T. R. Graeff, "Image congruence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The role of self monitoring and public/private consumption," Psychology & Marketing, Vol. 13, No. 5, pp. 481-499, 1996. 

  30. L. M. Musser and B. A. Browne, "Selfmonitoring in middle childhood: Personality and social correlate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7, No. 6, pp. 994-999, 1991. 

  31. M. Snyder and K. G. DeBono, "Appeals to image and claims about quality: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adverti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9, No. 3, pp.586-597, 1985. 

  32. M. Slama and K. Celuch, "Self-presentation and consumer interaction style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 10, No. 1, pp. 19-30, 1995. 

  33. I.-Y. Nam, "Effectiveness of advertiser, message, self monitoring and involvement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46, No. 1, pp. 116-149, 2001. 

  34. B. A. Browne and D. O. Kaldenberg, "Conceptualizing self-monitoring: links to materialism and product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 14, No. 1, pp. 31-44, 1997. 

  35. K. Wilcox, H. M. Kim and S. Sen, "Why do consumers buy counterfeit luxury bran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6, No. 2, pp. 247-259, 2009. 

  36. J. Alba, J. Lynch, B. Weitz, C. Janiszewski, R. Lutz and A. Sawyer, "Interactive home shopping: Consumer, retailer, and manufacturer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electronic marketplaces," Journal of Marketing, Vol. 61, No. 3, pp. 38-53, 1997. 

  37. J. Morahan-Martin and P. Schumacher, "Loneliness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19, No. 6, 659-671, 2003. 

  38. A. O'Cas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evised version of the Lennox and Wolfe revised self-monitoring scale," Psychology & Marketing, Vol. 17, No. 5, pp. 397-419, 2000. 

  39.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94. 

  40.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3, No. 3, pp. 411-423, 1988. 

  41.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6, No. 1, pp. 74-94, 1988. 

  4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 39-50, 1981. 

  43. J. Cohen and P. Coh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75. 

  44. C. H. Anderson,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 useful tool for retail management decisions," Journal of Retailing, Vol. 62, No. 2, pp. 186-203, 1986. 

  45. J. R. Edwards and L. S. Lambert, "Methods for integrating moderation and mediation: a general analytical framework using moderated path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 12, No. 1, pp. 1-2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