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이용한 수변지역 양서류 서식지 분석
A Study on Riparian Habitats for Amphibians Using Habitat Suitability Mode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2, 2015년, pp.175 - 189  

정승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서창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  윤재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박종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변지역에 서식하는 양서류 개별종에 적합한 서식환경변수를 구축하여 서식지적합성모형을 적용하여 물리적 교란에 따른 양서류 분포 특성과 생태적 결정인자를 분석하였다.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 횡성군과 원주시 섬강 일대를 대상으로 양서류 현장조사와 하천수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종으로는 그 지역의 양서류 중 우점종인 참개구리, 청개구리, 북방산개구리와 옴개구리를 선정하였고, 임의 비출현 자료를 생성하여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개별종의 분포모형의 특징으로는 참개구리는 식생의 거리와 자갈이 모형의 결과에서 선택되었으며, 청개구리는 농수로와 하천 폭에 좀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방산 개구리와 옴개구리는 비슷한 서식특성을 보여주었다. 옴개구리는 연구지역 전체에 우점하고 있었는데, 광범위한 서식처 선호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상종들의 분포모형을 합산한 종풍부도 결과에서 양서류는 산비탈과 계곡 또는 계류 사이를 왕복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이용해서 서식환경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나, 먹이요소와 다른 생물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조류 또는 어류의 밀도나 서식요소를 함께 분석한다면 생물학적인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amphibian species and the affecting ecological factors. For the study, habitat environment factors were determined and applied to a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om River in Hoengseong Coun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횡성군의 섬강을 대상으로 양서류 개별종의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개발하여 수변지역의 물리적 교란에 따른 양서류 분포 특성과 생태적 결정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식 환경에 따른 분포 특성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잠재적인 핵심서식지를 확인하여 향후 수변의 보호지역 설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횡성군의 섬강을 대상으로 양서류 개별종의 서식지적합성 모형을 개발하여 수변지역의 물리적 교란에 따른 양서류 분포 특성과 생태적 결정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식 환경에 따른 분포 특성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잠재적인 핵심서식지를 확인하여 향후 수변의 보호지역 설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식지환경에 따라 양서류가 가지는 특징은? , 1998; Susan and Max, 1993). 양서류는 다른 척추동물에 비하여 미세한 서식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을 가지는데(Alford and Richards, 1999; Beebee, 1997; Stebbins and Cohen, 1995), 생태적 습성과 생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서식지가 단편화 되거나 변형된다면 그들의 생존에 큰 위협을 받게 된다(Pough et al., 2004).
서식지 파괴와 단절로 생기는 악영향과 그 원인은? 서식지 파괴와 단절의 문제는 생물다양성을 위협 하고 메타개체군 1) 의 멸종을 일으키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인간의 활동과 토지이용의 변화에 기인한다. 인위적인 토지이용 변화로 발생한 서식처 손실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감소되고 있으며, 그러한 영향에 척추동물군 중 양서류가 가장 취약하며, 종수도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감소추세임이 보고되고 있다(Bohm et al.
서식지 파괴와 단절 문제에 가장 취약한 동물군은? 서식지 파괴와 단절의 문제는 생물다양성을 위협 하고 메타개체군 1) 의 멸종을 일으키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인간의 활동과 토지이용의 변화에 기인한다. 인위적인 토지이용 변화로 발생한 서식처 손실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감소되고 있으며, 그러한 영향에 척추동물군 중 양서류가 가장 취약하며, 종수도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감소추세임이 보고되고 있다(Bohm et al., 2013; Gibbon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다형, 전태수, 박영석. 1995. 수영강의 수영천 및 석대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부수성에 따른 월별 군집 변이, 한국생태학회지, 18(1), 157-177.(Kang DH, Chon TS, Park YS. 1995. Monthly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Different Saprobities in the Suyong and Soktae Streams of the Suyong River,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8(1), 157-177.) 

  2. 강영선, 윤일병. 1975. 한국동.식물도감 제17권 동물편 (양서.파충류), 삼화인쇄소, 서울, 191.(Kang YS, Yun IB. 1975. Illustrated Guilde to Korean Fauna and Flora Vol 17, Fauna (Herpetology), Seoul: Samhwa Publishing.) 

  3. 강태한, 유승화, 이시완, 최옥인, 이종빈. 2008. 전라남도 무안만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및 갯벌등급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 521-529.(Kang TH, Yoo SH, Lee SW, Choi OI, Lee CB. 2008. A Study on the Habitat Use of Waterbirds and Grading Assessment of the Tidal Flat at Muan Bay in Jeollanamd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logy, 22(5), 521-529.) 

  4. 기경자, 최세웅. 2004. 목포 유달산에서의 나비 개체군 동태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2(1), 35-42.(Ki KJ, Choi SW. 2004. Butterfly Population Dynamics at Mt. Yudal, Mokp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2(1), 35-42.) 

  5. 김수련, 이지현, 송재영, 장민호, 성현찬, 조동길. 2013. 남생이 서식처 복원을 위한 서식처 모형 연구,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16(2), 115-125.(Kim SR, Lee JH, Song JY, Chang MH, Sung HC, Cho DG. 2013. A Study on the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hinemys reevesii,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2),115-125.) 

  6. 김종범, 송재영. 2010. 한국의 양서파충류, 서울: 월드사이언스.(Kim JB, Song JY. 2010. Amphibians and Reptiles of Korea, Seoul: World Science.) 

  7. 김종범. 2009. 한국산 양서류의 분류목록과 분포상, 한국양서.파충류학회지, 1(1), 1-13.(Kim JB. 2009. Taxonomic List and Distribution of Korean Amphibians,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1(1), 1-13.) 

  8. 김지연, 서창완, 권혁수, 류지은, 김명진. 2012.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환경영향평가, 21(4), 593-607.(Kim JY, Seo CW, Kwon HS, Ryu JU, Kim MJ.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93-607.) 

  9. 계명찬. 2003. 명지산 일대의 양서류, 환경생물학회지, 21(2), 203-207.(Gye MC. 2003. Amphibian Fauna in the Mt. Myungj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1(2), 203-207.) 

  10. 권태성, 변봉규, 이봉우, 이치영, 손정달, 강승호, 김영걸. 2009. 광릉 숲 나비군집의 종풍부도산정,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8(4), 439-445.(Kwon TS, Byun BK, Lee BW, Lee CY, Shon JD, Kang SH, Kim SS, Kim YK. 2009. Estimation of Species Richness of Butterfly Community in the Gwangneung Forest, Kore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8(4), 439-445.) 

  11. 권혁수, 서창완, 박종화. 2012.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0(3), 11-18.(Kwon HS, Seo CW, Park CH. 2012.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3), 11-18.) 

  12. 권혁수. 2011. 보호지역계획을 위한 생물다양성 통합평가모형: 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권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Kwon H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노백호, 윤정호, 최준규, 이석원, 서현지. 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기본연구보고서, 2010(단일호), 1-215.(Roh BH, Yun JH, Choi JK, Lee SW, Seo HJ. 2010. Habitat evaluation strategy for legally protected wildbirds in Korea, Korea Environmental Institution Annual Report, 2010, 1-215.) 

  14. 서창완, 박유리, 최윤수. 2008. 위치자료의 종류에 따른 생물종 분포모형 비교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 59-64.(Seo CW, Park YR, Choi YS.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6(4), 59-64.) 

  15. 서창완, 박종화. 2000. GIS 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한국GIS 학회지, 8(1), 85-99.(Seo CW, Park CH. 2000.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Heude) Habitat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8(1), 85-99.) 

  16. 송원경, 김은영, 이동근. 2013. 통계모형을 활용한 박새류의 서식지 연결성 평가: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자료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22(3), 119-130.(Song WK, Kim EY, Lee DK. 2013. Habitat Connectivity Assessment of Tits Using a Statistical Modeling: Focused on Biotop Map of Seoul,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3), 119-130.) 

  17. 송재영. 2010. 백두대간 내 국립공원의 양서.파충류상, 국립공원연구지, 1(3), 216-219.(Song JY. 2010. Herpetofauna of the Korea National Parks in Baekdudaegan,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1(3), 216-219.) 

  18. 송재영, 이인수. 2009. 한국산 양서류의 고도별 분포, 한국양서.파충류학회지, 1(1), 15-19.(Song JY, Lee IS. 2009. Elevation Distribution of Korean Amphibians,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1(1), 15-19.) 

  19. 심재한. 2001. 생명을 노래하는 개구리, 서울: 다른세상.(Shim JH. 2001. Frogs Singing Life, Seoul: Darunsesang.) 

  20. 양서영, 김종범, 민미숙, 서재화, 강영진. 2001. 한국의 양서류, 서울: 아카데미서적.(Yang SY, Kim JB, Min MS, Seo JH, Kang YJ. 2001. Korean Amphibians, Seoul: Academy Publishing.) 

  21. 이정현, 정환진, 서재화. 2011. 한국 양서.파충류생태도감, 인천: 국립환경과학원.(Lee JH, Jung WJ, Seo JH. 2011. Ecological Guide Book of Herptofauna in Korea, Inch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2. 이철민, 권태성, 박영규, 김병우. 2012. 산불지에서 절지동물 포식자(거미목, 딱정벌레과, 반날개과와 개미과)의 군집구조, 종풍부도 및 풍부도에 대한 교란강도의 영향, 한국임학회지, 101(3), 488-500.(Lee CM, Kwon TS, Park YK, Kim BW. 2012. Influences of Disturbance Intensity on Community Structur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Arthropod Predators (Araneae, Carabidae, Staphylinidae, and Formicidae) in Burned-pine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3), 488-500.) 

  23. 이희연, 노승철. 2012. 고급통계분석론, 파주: 법문사.(Lee HY, Roh SC. 2012.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Paju: Bubmunsa.) 

  24. 정승규. 2014. 수변코리더연결성평가모형(RHSM),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Jeong, SK. 2014. Evaluation Model of Riparian Corridor Connectivity: A Case Study of Seom River Basin, Gangwon-do,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5. 정승규, 이화수, 박종훈, 이동근, 박종화, 서창완. 2015. MaxEnt 모형과 고라니의 이동행태를 고려한 수변지역 이동통로 적지선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3(1), 101-111.(Jeong SG, Lee HS, Park JH, Lee DK, Park CH, Seo CW. 2015. Selecting Suitable Riparian Wildlife Passage Locations for Water Deer based on MaxEnt Model and Wildlife Cross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3(1), 101-111.) 

  26. 정영선. 2009.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 대체서식지 계획 모형: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 맹꽁이 서식처를 사례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Jeong YS. 2009. A Planning model for a substitute habitat of wildlife based on wetland: case of Shinki village Dang dong in Gunpo city, Doctoral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Korea.) 

  27. Alford RA, Richards SJ. 1999. Global amphibian declines: a problem in applied ecology,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33-165. 

  28. Araujo MB, Guisan A. 2006. Five (or so) challenges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Journal of Biogeography, 33(10), 1677-1688. 

  29. Austin MP. 2002. Spatial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 an interface between ecological theory and statistical modelling, Ecological modelling, 157(2), 101-118. 

  30. Beebee TJ. 1997. Changes in dewpond numbers and amphibian diversity over 20 years on chalk downland in Sussex, England. Biological Conservation, 81(3), 215-219. 

  31. Chen Y. 2013.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of amphibian species in southern and central China: environmental correlates and potential richness mapping, Science China Life Sciences, 56(5), 476-484. 

  32. Cushman SA. 2006. Effects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on amphibians: a review and prospectus, Biological conservation, 128(2), 231-240. 

  33. Frank TB, Christopher AP, Edward JH. 1998. A riparian zone in southern Illinois as a potential dispersal corridor for reptiles and amphibians, Biological Conservation, 86(2), 107-115. 

  34. Franklin J. 2010.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Gibbons JW, Scott DE, Ryan TJ, Buhlmann KA, Tuberville TD, Metts BS, Winne CT. 2000. The Global Decline of Reptiles, Deja Vu Amphibians Reptile species are declining on a global scale. Six significant threats to reptile populations are habitat loss and degradation, introduced invasive species, environmental pollution, disease, unsustainable use, and global climate change, BioScience, 50(8), 653-666. 

  36. Guisan A, Thuiller W. 2005.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 offering more than simple habitat models, Ecology letters, 8(9), 993-1009. 

  37. Heyer WR, Donnelly MA, McDiarmid RW, Hayek LAC, Foster MS. 1994. Measuring and monitoring biological diversity: standard methods for amphibian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38. Hosmer DW, Lemeshow S. 1989. Applied logistic regression, New York: Johns Wiley & Sons. 

  39. Ji W, Jeske C. 2000. Spatial modeling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wildlife populations: a case study in the lower Mississippi River region, Ecological modelling, 132(1), 95-104. 

  40. Knutson MG, Sauer JR, Olsen DA, Mossman MJ, Hemesath LM, Lannoo MJ. 1999. Effects of landscape composition and wetland fragmentation on frog and toad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in Iowa and Wisconsin, USA. Conservation Biology, 13(6), 1437-1446. 

  41. Manen FT, Pelton MR. 1997. A GIS model to predict black bear habitat use, Journal of forestry (USA). 

  42. Moilanen A, Nieminen M. 2002. Simple connectivity measures in spatial ecology, Ecology, 83(4), 1131-1145. 

  43. Newbold T. 2010.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museum data for conservation and ecolog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34(1), 3-22. 

  44. Phillips SJ, Dudik M.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2), 161-175. 

  45. Phochayavanich R, Voris HK, Khonsue W, Thunhikorn S, Thirakhupt K. 2010. Comparison of stream frog assemblages at three elevations in an evergreen forest, North-Central Thailand, Zoological Studies, 49(5), 632-639. 

  46. Pough FH, Andrews RM, Cadle JE, Crump ML, Savitzky AH, Wells KD. 2004. Herpetology, 3rd ed,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47. Ray N, Lehmann A, Joly P. 2002. Modeling spatial distribution of amphibian populations: a GIS approach based on habitat matrix permeability, Biodiversity & Conservation, 11(12), 2143-2165. 

  48. Rushton SP, Ormerod SJ, Kerby G. 2004. New paradigms for modelling species distribution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1(2), 193-200. 

  49. Spellerberg IF, Fedor PJ. 2003. A tribute to Claude Shannon (1916-2001) and a plea for more rigorous use of species richness, species diversity and the 'Shannon-Wiener' Index,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2, 177-179. 

  50. Stebbins RC, Cohen W. 1995. A natural history of amphibi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51. Stockwell DR, Peterson AT. 2002. Effects of sample size on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ical modelling, 148(1), 1-13. 

  52. Susan EE, Max KH. 1993. A History of an Extinct Reptilian Clade, the Choristodera: Longevity, Lazarus-Taxa, and the Fossil Record, Evolutionary Biology, 27, 323-338. 

  53. Urbina-Cardona JN, Olivares-Perez M, Reynoso VH. 2006. Herpetofauna diversity and microenvironment correlates across a pasture-edge-interior ecotone in tropical rainforest fragments in the Los Tuxtlas Biosphere Reserve of Veracruz, Mexico, Biological conservation, 132(1), 61-75. 

  54. Wilson LD, McCranie JR. 2003. Herpetofaunal indicator species as measures of environmental stability in Honduras, Caribbean Journal of Science, 39(1), 50-67. 

  55. Wyman RL. 1990. What's happening to the amphibians? Conservation Biology, 4(4), 350-352. 

  56. Zahl S. 1977. Jackknifing An Index of Diversity, Ecology, 58(4), 907-9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