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 후반기 부부의 자아분화와 심리적 불편감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on Antenatal Attachment of Pregnant Couples in Their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2, 2015년, pp.89 - 101  

채진영 (Department of Child Studies &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혜정 (Department of Child Studies &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on antenatal attachment of pregnant couples in their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The subjects were 182 couples in J provinc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first wave of the Korea Attachment Longitudinal Study (K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olombok(1993)은 상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불안은 우울을 예측하는 위험요인이고, 우울이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므로 임신 중 느끼는 불안 역시 태아애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임산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우자가 임신기에 경험하는 심리적 불편감은 태아애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나,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매우 미흡하므로 이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임산부와 배우자의 심리적 불편감이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므로 임신기 성별에 따른 심리적 불편감의 차이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부모-자녀의 정서적 유대가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임신한 부부라는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출산 이후 부모-자녀 정서적 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태아애착에 관해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부족했던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시기적절하게 이루어진 연구라 하겠다. 또한 태아애착에 임신 부부의 개인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국내에서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아온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 또한 자아분화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개인의 자아분화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R.
  • 본 연구는 임신 후반기 부부의 자아분화, 심리적 불편감, 태아애착에 차이가 있는지와 자아분화 및 심리적 불편감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첫째, 배우자의 자아분화 수준은 정서적 단절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임산부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성보다 남성의 자아분화가 높다는 선행 연구결과(J.
  • 그렇지만, 예비부모로서 자녀의 출생을 기다리고 부모됨을 준비하는 기간인 임신기의 태아에 대한 애정정도와 관련해서 임산부와 배우자의 차이가 없다는 것은 직접 자신의 몸속에서 성장해 나아가는 태아를 느끼며 임산부가 모성애를 키워가듯 배우자 역시 부성애를 키우고 있다는 증거라 하겠다. 소(少)자녀화 현상이 나타나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부부가 함께하는 태교프로그램이 유행을 하며 출산과정도 함께 하는 등 임신기부터 남성의 역할이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현상도 예비아버지의 태아애착 발달에 어느 정도 반영된 것은 아닌가 추측해 본다.
  • 이 연구는 부모-자녀의 정서적 유대가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임신한 부부라는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출산 이후 부모-자녀 정서적 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태아애착에 관해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부족했던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시기적절하게 이루어진 연구라 하겠다. 또한 태아애착에 임신 부부의 개인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국내에서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아온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
  • 이상의 연구목적을 종합하여 보면, 임신 후반기의 부부를 대상으로 자아분화, 심리적 불편감, 태아애착은 부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부부 성별에 따른 자아분화와 심리적 불편감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아애착이 형성되는 과정은? 인생에 있어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중요한 변화인 임신을 통해 여성은 아직 태어나지 않은 태아에게 정서적 유대감과 감정을 갖게 되고, 태동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감정이 더욱 강해지며 태아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결속을 통해 태아와 상호작용을 하고 애정을 나타내는 행위에 참여하는 것을 태아애착이라고 한다(Cranley, 1981).
애착이라는 개념에 대해 그나마 근접했다고 여겨지는 정의는? 그나마 가장 근접했다고 여겨지는 것은 I. Bretherton(1985)에 의해 대략적으로 정의된 ‘특정 상대에 대한 정서적 유대(emotional tie) 또는 심리적 결속(psychological bond)’이라 할 수 있다(Condon, 1993). 그간의 애착 연구는 주로 부모에 대한 자녀의 애착이 대부분이었는데, 생후 최초로 맺는 사회정서적 유대관계 대상인 부모와의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경험의 질에 따라 애착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개념 또는 대인관계가 영향을 받는다는 보편적인 의견에 기인했기 때문이다.
부모에 대한 자녀의 애착이 주된 연구대상이었던 이유는? Bretherton(1985)에 의해 대략적으로 정의된 ‘특정 상대에 대한 정서적 유대(emotional tie) 또는 심리적 결속(psychological bond)’이라 할 수 있다(Condon, 1993). 그간의 애착 연구는 주로 부모에 대한 자녀의 애착이 대부분이었는데, 생후 최초로 맺는 사회정서적 유대관계 대상인 부모와의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경험의 질에 따라 애착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개념 또는 대인관계가 영향을 받는다는 보편적인 의견에 기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애착관계는 애착대상과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부모가 자녀에게 보이는 애착 역시 부모-자녀 관계에 영향을 주어 이후 부모에 대한 자녀의 애착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lhusen, J. L. (2008). A literature update on maternal-fetal attachmen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7(3), 315-328. 

  2. Arkell, H. (2014, September 11). My wife's pregnant, but I'm off work with morning sickness! Father-to-be claims to be first in UK to be signed off with sympathy symptoms. Daily Mail. Retrieved from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751715/My-wife-s-pregnant-I-m-work-morning-sickness.html 

  3. Bae, B. R. (201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1: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ram. 

  4. Bastani, F., Hidamia, A., Kazemnejad, A., Vafaei, M., & Kashanian, M. (2005).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applied relaxation training on reducing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50(4), 36-40. 

  5. Bloom, K. C. (1995). The development of attachment behaviors in pregnant adolescents. Nursing Research, 44(5), 284-289. 

  6.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7. Bowlby, J. (1960). Grief and mourning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15, 9-52. 

  8. Bretherton, I. (1985). Attachment theory: Retrospect and prospect. In I. Bretherton & E. Waters (Ed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3-35. 

  9. Cho, S. H., & Chung, H. (2009).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adjustment and parent-child affectionate relationships.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14(1), 33-59. 

  10. Chung, H., & Cho, E.-K. (2007). Korean self-differentiation invento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5(1), 19-46. 

  11. Condon, J. T. (1993). The assessment of antenatal emotional attachment: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66(2), 167-183. 

  12. Condon, J. T., Corkindale, C. J., & Boyce, P. (2008). Assessment of postnatal paternal-infant attachment: Developmental a questionnaire instrument.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6(3), 195-210. 

  13. Cranley, M. S.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9(5), 281-284. 

  14. Derogatis, L. R. (2001). Brief Symptom Inventory(BSI-18):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Minneapolis: NCS Pearson, Inc. 

  15. Derogatis, L. R., Lipman, R. S., Rickels, K., Uhlenhuth, E. H., & Covi, L. (1974).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s (HSCL): A self-report symptom inventory. Behavioral Science, 19(1), 1-15. 

  16. Fawcett, J., & York, R. (1987). Spouse's strength of identification and report of symptoms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Florida Nursing Review, 2(2), 1-10. 

  17. Field, T., Diego, M., & Hermandez-Rief, M. (2006). Prenatal depression effects on the fetus and newborn: A review.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29(3), 445-455. 

  18. Fisher, J. R., Hammarberg, K., & Baker, G. H. (2008). Antenatal mood and fetal attachment after assisted conception. Fertility and Sterility, 89(5), 84-89. 

  19. Fonagy, P. (2001). Attachment Theory and Psychoanalysis. New York: Other press. 

  20. Fuller, J. R. (1990). Early patterns of maternal attachment.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1(4), 433-446. 

  21. Gaffney, K. F. (1986). Maternal-fetal attachment in relation to self-concept and anxiety.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15(2), 91-101. 

  22.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an's developm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3. Gubbinns, C. A., Perosa, L. M., & Bartle-Haring,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couples' self-differentiation/individuation and Gottman's model of marital interaction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2(4), 383-395. 

  24. Hart, R., & McMahon, C. A. (2006). Mood stat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pregnanc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6), 329-337. 

  25. Hjelmstedt, A., Widstrom, A. M., & Collins, A. (2006). Psychological correlates of prenatal attachment in women who conceived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women who conceived naturally. Birth, 33(4), 303-310. 

  26.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7. Kim, M. (2014).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and Nursing, 20(2), 163-172. 

  28. Kim, Y. I. (2006).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29. Kozlowska, K., & Hanney, L. (2002). The network perspective: An integration of attachment and family system theories. Family Process, 41(3), 351-374. 

  30. Kwon, M. K., & Bang, K. S. (2011).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276-283. 

  31. Lee, W. O.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and single adult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2. Lindgren, K. (2006). Relationship among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and health practices in pregnanc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4(3), 203-217. 

  33. Lorensen, M., Wilson, M., & White, M. (2004). Norwegian families: Transition to parenthood.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5(4), 334-348. 

  34. McFarland, J., Salisbury, A. L., Battle, C. L., Hawes, K., Halloran, K., & Lester, B. M. (2011). Major depressive disorder during pregnancy and emotional attachment to fetu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14(5), 425-434. 

  35. Mercer, R. T., Ferketich, S., May, K., De Joseph, J., & Sollid, D. (1988). Further explora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fetal attachment.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1(2), 83-95. 

  36. Miller, R. B., Anderson, S., & Keala, D. K. (2004).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4), 281-300. 

  37. Na, B. Y., & Chung, H. (2008).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with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fear of intimacy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2), 155-168. 

  38. Park, E. Y. (2002). A similarity study on theory of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9. Park, K.-P., Woo, S.-W., & Chang, M.-S. (2012). Validational study of brief symptoms inventory-18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2), 507-521. 

  40. Parloff, M. B., Kelman, H. C., & Frank, J. D. (1954). Comfort, effectiveness, and self-awareness as criteria of improvement in psychotherap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11(5), 343-351. 

  41. Pearson, R. M., Evans, J., Kounali, D., Lewis, G., Heron, J., Ramchandani, P. G., O'Connor, T. G., & Stein, A. (2013). Maternal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natal period: Risk and possible mechanisms for offspring depression at age 18 yea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sychiatry, 70(10), 1312-1319. 

  42. Peleg, O., & Yitzhak, M. (2011).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eparation anxiety: Is there a similarity between spouse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3(1), 25-36. 

  43. Ross, L. E., Evans, S. E., Sellers, E. M., & Romach, M. K. (2003). Measurement issues in postpartum depression part I: Anxiety as a feature of postpartum depressio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6(1), 51-57. 

  44. Siddique, A., Haggliff, B., & Eisemann, M. (2000). Own memories of upbringing as a determinant of prenatal attachment in expectant wome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18(1), 64-74. 

  45. Skowron, E. A., & Dendy, A. K. (2004). Differentiation of self and attachment in adulthood: Relational correlates of effortful control.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6(3), 337-357. 

  46. Stanton, F., & Golombok, S. (1993). Maternal-fet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following in-vitro fertiliz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ecology, 14(2), 154-158. 

  47. Threthowan, W. H., & Colon, M. F. (1965). The couvade syndrom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11(470), 57-66. 

  48. Ustunsoz, A., Guvenc, G., Akyuz, A., & Oflaz, F. (2010). Comparison of maternal-and paternal-fetal attachment in Turkish couples. Midwifery, 26, e1-e9. 

  49. Van Bussel, J. C. H., Spitz, B., & Demyttenaere, K. (2009). Anxiety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ole of maternal orientation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4(1-3), 232-242. 

  50. Van den Bergh, B., & Simons, A. (2009). A review of scales to measure the mother-foetus relationship.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7(2), 114-126. 

  51. Wapner, J. (1976). The attitudes, feelings and behaviors of expectant fathers attending Lamaze classes. Birth and the Family Journal, 3(1), 5-13. 

  52. Weaver, R. H., & Cranley, M. S. (1983). An exploration of paternal-fetal attachment behavior. Nursing Research, 32(2), 68-72. 

  53. White, M A., Wilson, M E., Elander, G., & Persson, B. (1999). The Swedish family: Transition to parenthood.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3(3), 171-176. 

  54. Wilson, M. E., White, M. A., Cobb, B., Curry, R., Greene, D., & Popovich, D. (2000). Family dynamics, parental-fetal attachment and infant tempera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1), 204-210. 

  55. Yarcheski, A., Mahon, N. E., Yarcheskui, T. J., Hanks, M. M., & Cannella, B. L. (2009).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5), 708-715. 

  56. Yoon, J.-Y., & Kang, M.-H. (2004). Development of pregnant women-fetus interaction program and its effects on enhancing mother-newborn baby interac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7(2), 15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