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자비와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능동적 정서조절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c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Qua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mpassion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3, 2018년, pp.21 - 39  

강수경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해미 (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c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qua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mpassion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36 pregnant women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21 and M-plus7,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자기자비 성향이 높은 사람이 능동 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여 자신의 부정적 정서와 스트레스를 낮추고(문은주, 최해연, 2015; 박신유, 2015; 조용래, 노상선, 2011), 이는 부부 간 갈등을 줄여주며 부부관계 질을 높임으로써 (김두길, 유영달, 2015; 이지혜, 채규만, 2012; 정문경, 김병석, 2014) 태아애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백현정, 2009; 정미라 등, 2012; Cohen, 2010; Mohamadirizi & Kordi,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능동적 정서조절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자기자비와 태아애착의 직․간접적인 경로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산부의 자기자비, 능동적 정서조절, 부부관계 질, 태아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능동적 정서조절과 부부관계 질이 자기자비와 태아애착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렇게 높아진 부부관계 질 혹은 결혼만족도는 임산부의 임신과 태아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게 해주고, 지각된 스트레스를 낮추어 태아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정미라 등, 201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자기자비가 부부관계 질을 통해서 태아애착으로 가는 경로의 유의성을 밝힘으로써 자기자비라는 개인내적인 요인이 태아와의 관계로 가는 경로에서 배우 자와의 관계라는 대인관계적 요인이 매우 중요함을 밝혔다. 이는 결국 아이와의 긍정적인 관계 맺음과 발달은 임산부 혼자만의 몫이 아니라 배우자와의 관계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아와의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떤 특성들이 있는가?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임산부의 연령이나 소득 및 학력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임신주수 및 계획임신 여부와 같은 임신관련특성, 스트레스, 우울, 정서조절과 같은 심리․정서적 특성, 성인애착, 부부관계 질과 같은 관계적 특성 등이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임산부의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임신주수가 많고 계획임신일수록 태아애착이 높고, 임신기 스트레스와 산전우울, 불안은 태아애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성인애착이 안정적이고, 결혼만족도가 높은 임산부가 태아애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백현정, 2009).
애착이란 무엇인가? 임신은 부모로의 전환기로서 여성과 가족에게 중요한 사건이고, 이 시기 임산부는 태아와의 애착을 형성해간다. 애착이란 본래 아이가 욕구충족과 안전을 위해 주양육자에게 의존하면서 갖는 아이와 주양육자 간의 유대감을 말한다(Bowlby, 1988). 초기에는 주로 영유아와 어머니와의 애착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이후 임산부와 태아와의 애착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자기자비란 무엇인가? 자기자비는 임신과 출산, 부모가 되는 것 등 삶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적응을 돕고, 태아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Mohamadirizi & Kordi, 2016). 자기자비란 부정적인 상황에 처했거나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게 되었을 때, 자책하기보다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고 자신에 대한 위로와 돌봄, 자비심을 갖는 것을 말하는데(Neff, 2003), ‘자기친절 대 자기판단’, ‘보편적 인간성 대고립’, ‘마음챙김 대 과잉동일시’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Neff, 2003). 자기친절은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따뜻한 인식, 보편적 인간성은 삶의 어려움을 모든 인간이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란 인식, 마음챙김은 고통과 부정적 정서를 직면하여 겸허히 받아들이는 사고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미자 (2013). 알아차림 명상에 기반한 부부관계 향상(MBRE: Mindfulness-Based Relationship Enhance- ment)의 원리에 대한 불교적 고찰. 선학, 36, 384-416. doi:10.22253/jkss.2013.12.36.384 

  2. 강수경, 박수경, 정미라 (2012). 임신기 부부의 태아 관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 생활과학회지, 21(6), 1017-1028. doi:10.5934/KJHE.2012.21.6.1017 

  3. 강수경, 정미라 (2012). 임산부의 스트레스 및 기질과 태아애착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1(2), 213-223. doi:10.5934/KJHE.2012.21.2.213 

  4. 강수경, 최지현, 정미라 (2017). 임신기 부부의 성격, 부부친밀감, 가족지지가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2(2), 223-245. doi:10.16978/ecec.2017.12.2.010 

  5. 권수현, 이승연 (2013).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과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65-77. doi:10.7466/jkhma.2013.31.5.065 

  6.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doi:10.17315/kjhp.2008.13.4.012 

  7. 김두길, 유영달 (2015).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 략의 매개효과-남편과 아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177-191. doi:10.5392/jkca.2015.15.11.177 

  8. 김민정, 허정문, 김완석 (2017). 임부를 위한 자비명상 기반 중재의 가능성 탐색: 예비연구. 스트레스연구, 25(2), 145-154. doi:10.17547/kjsr.2017.25.2.145 

  9. 김영란, 정재원 (2014). 스트레스 취약성 및 스트레스 대처 모델을 적용한 임신 중 우울 관련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 38-47. doi:10.4069/kjwhn.2014.20.1.38 

  10. 류석진, 조현주 (2015).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213-233. doi:10.17315/kjhp.2015.20.1. 012 

  11. 문은주, 최해연 (2015).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1-16. doi:10.17315/kjhp.2015.20.1.001 

  12. 박신유 (2015). 자기자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방초아, 신희천 (2016). 미혼커플의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적용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7(1), 59-80. 

  14. 백현정 (2009). 임산부의 모 애착과 태아 애착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 지각과 정서 상태의 매개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양영미, 박경 (201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8(1), 43-57. 

  16.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경숙, 김진하, 홍수종, 장형윤, 신의진, 김명식 (2013). 태아애착 척도 (MF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4), 81-91. 

  18. 이수민, 박혜자 (2017).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명확성과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3(2), 99-108. doi:10.4069/kjwhn.2017.23.2.99 

  19. 이지혜, 채규만 (2012).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2), 169-190. 

  20. 임전옥, 장성숙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275. 

  21. 우현경, 채진영 (2016). 예비아버지의 아동기 원부모 애착경험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에 대한 낭만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23(4), 39-54. doi:10.15284/kjhd.2016. 23.4.39 

  22. 위휘, 박소연 (2012). 임부의 불안, 우울, 산전스트레스와 모-태아애착 및 감사성향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6(2), 274-286. doi:10.21896/jksmch.2012.16.2.274 

  23. 정문경, 김병석 (2014). 마인드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상담학연구, 15(1), 499-518. doi:10.15703/kjc.15.1.201402.499 

  24. 정미라, 강수경, 이혜진 (2012). 임신기 부부의 부부관계 질과 태아애착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4), 51-61. doi:10.6115/khea.2012.50.4.051 

  25. 정미라, 최지현, 강수경 (2015). 임산부의 기질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95-214. 

  26. 정영숙 (2004). 임부의 내적 작동모델에 따른 산전애착과 친모와의 관계 및 배우자와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3), 210-217. 

  27. 정현숙 (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224. 

  28. 조용래, 노상선 (2011). 자기 자비 대 주의분산 처치와 특질 자기 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07-726. 

  29. 허정문, 김민정, 김완석 (2017a). 마음챙김, 자기연민 및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스트레스연구, 25(4), 286-293. doi:10.17547/kjsr.2017.25.4.286 

  30. 허정문, 김민정, 김완석 (2017b). 임부의 마음챙김과 긍정정서가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긍정 및 부정적 태동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713-737. doi:10.17547/kjsr. 2017.25.4.286 

  3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 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doi:10.1037//0033-2909. 103.3.411 

  32. Berlin, L. J., & Cassidy, J. (2003). Mothers' self­reported control of their preschool children's emo- tional expressiveness: A longitudinal study of associations with infant-mother attachment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2(4), 477-495. doi:10.1111/1467-9507. 00244 

  33. Bowen A. & Muhajarine N. (2006). Antenatal depression. Canadian Nurse, 102(9), 27-30. 

  34. Bowlby, J.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35.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36.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2), 117-124. doi:10.1037//0003-066x.31.2.117 

  37. Cohen, J. S. (2010).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 the transition to motherhood: A prospective study of postnatal mood and attach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USA. 

  38.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doi:10.1037//1082-989x.1.1.16 

  39. Cassidy, J., Parke, R. D., Butkovsky, L. & Brauncart, J.(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doi:10.1111/j.1467-8624.1992.tb01649.x 

  40. Cranley, M. S.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5), 281-284. doi:10.1097/00006199-198109000-00008 

  41. Condon, J. T. (1985). The Parental-foetal relationship-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expectant par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4(4), 271-284. doi:10.3109/01674828509016729 

  42. Gilbert, P., & Irons, C. (Ed). (2005). Focused therapies and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shame and self-attacking. In P. Gilbert (Ed.), Compassion: Conceptualizations, research and use in psychotherapy(pp. 263-325), New York: Routledge. 

  43. Gourounti, K., Anagnostopoulos, F., & Sandall, J. (2014). Poor marital support associate with anxiety and worries during pregnancy in Greek pregnant women. Midwifery, 30(6), 628-635. doi:10.1016/j.midw.2013.10.008 

  44. Fitness, J.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imate relationships. In J. Ciarrochi, J. P. Forgas, & J. D. Mayer (E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veryday life (pp. xi-xviii). New York: Psychology Press. 

  45. Floyd, F. J., & Widaman, K. F. (1995).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3), 286-299. doi:10.1037//1040-3590.7.3.286 

  46.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doi:10.1080/10705519909540118 

  47. Kishton, J. M., & Widaman, K. F. (1994).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3), 757-765. doi:10.1177/0013164494054003022 

  48.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doi:10.1037/0033-2909.131.6.803 

  49. McFarland, C., & Buehler, R. (1997). Negative affective states and the motivated retrieval of positive life events: The role of affect acknowle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 200-214. doi:10.1037//0022-3514.73.1.200 

  50. Mohamadirizi, S., & Kordi, 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self-compassion and fetal-maternal attachment in prenatal period in referred women to Mashhad Health Center.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21(5), 1-12. doi:10.4103/2277-9531.184550 

  51. Neff, K. D.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doi:10.1080/15298860309027 

  52. Neff, K. D., & Beretvas, S. N. (2013).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Self and Identity, 12(1), 78-98. doi:10.1080/15298868.2011.639548 

  53. Neff, K. (2004).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structivism in the Human Sciences, 9(2), 27-38. 

  54. Neff, K. D. & Lamb, L. M. (2009). Self-Compassion. In S. Lopez (Ed.), The encyclopedia of positive psychology (pp. 864-867). Oxfordshire, OX: Blackwell Publishing. doi:10.1002/9781444306002 

  55.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3), 225-240. doi:10.1080/15298860902979307 

  56. Neff, K. D., & Vonk, R. (2009).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Two different ways of re- lating to oneself. Journal of Personality, 77(1), 23-50. doi:10.1111/j.1467-6494.2008.00537.x 

  57.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36(4), 717-731. doi:10.3758/bf03206553 

  58. Salovey, P., & Grewal, D. (2005).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6), 281-285. doi:10.1111/j.0963-7214.2005.00381.x 

  59. Stewart T. M. (2004) Light on body image treatment: Acceptance through mindfulness. Behavior Modification 28(6), 783-811. doi:10.1177/0145445503259862 

  60.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doi:10.1037//1082-989x. 7.4.422 

  61. Wood, J. M., Tataryn, D. J., & Gorsuch, R. L. (1996). Effects of under-and overextraction on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Psychological Methods, 1(4), 354-365. doi:10.1037/ /1082-989x.1.4.354 

  62. Yarnell, L. M., & Neff, K. D. (2013). Self-compassion,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s, and well-being. Self and Identity, 12(2), 146-159. doi:10.1080/15298868.2011.6495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