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남아출신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 출신국 문화에 대한 청소년기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ilingual Socialization of Mothers from Southeast Asia and Korean Fathers on Adolescent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and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2, 2015년, pp.103 - 117  

허청아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그레이스 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mily environ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dolescent development.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are brought up in a distinctive family environment, where they get to experience two different cultures within their families.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필리핀을 제외한) 동남아출신 어머니의 모국어에 초점을 맞추어 단순히 언어적 구사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보다 ‘문화 전수 과정’의 일부로서의 이중언어 교육이 가지는 의의를 밝혔다. 따라서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주류 언어를 중심으로 구사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이중언어 교육이 아닌, 결혼이민자가 각 가족 내에서 이중언어 교사로서 역량을 발휘하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한국인 배우자가 격려할 수 있게 하는 가족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결혼이민자와 한국인 배우자 모두를 대상으로 이러한 이중언어환경을 가족 내에서 조성하도록 돕는 가족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나 학교에서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부모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자녀로 하여금 어머니 출신국 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고, 외국출신 어머니와의 관계 만족도를 높이는 등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자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앞서 언급한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국정과제(이중언어와 문화에 대한 역량 증진, 부모 출신국 언어·문화 이해 프로그램 지원)에 대한 효과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인 아버지와 동남아출신 어머니로 이루어진 총 318명의 다문화가족의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내 부모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 출신국 문화에 대한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2
  • 본 연구에서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측정변인이 잠재변인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 이처럼 문화적 지위가 낮은 외국출신 어머니와의 관계 만족도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건강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에 대한 자긍심이 부모와의 관계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K. A. Rockquemore et al., 2006)를 토대로 어머니 출신국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가 외국출신 어머니와의 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긍정적 가치를 부여받지 못하는(Y. Kim et al., 2010) (필리핀을 제외한) 동남아출신 어머니의 모국어에 초점을 맞추어 단순히 언어적 구사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보다 ‘문화 전수 과정’의 일부로서의 이중언어 교육이 가지는 의의를 밝혔다.
  •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내 부모의 ‘이중언어사회화’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인 아버지와 동남아시아 출신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족 부모의 이중 언어사회화가 어머니 출신국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어머니와의 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함께 현재 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지원사업과 정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부모가 가족 내에서 이중언어 사용에 대해 격려하고 교육하는 것을 ‘이중언어사회화’라고 명명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3%로 분포되어 있어 여성 결혼이민자 가족이 전체 다문화가족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여성 결혼이민자 가족과 그 자녀로 한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적인 환경을 긍정적 자원으로 보는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면서 정부는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최근 들어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적인 환경을 긍정적 자원으로 보는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면서 정부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문화 역량 증진을 국정 과제로 채택하고 ‘글로벌인재 육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지원 강화’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2013~2017)에서는 다문화가족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부모 출신국 언어·문화 이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이중언어교육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중언어 역량 증진 지원 사업은 어떠한 실정인가? 이에 따라 제2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2013~2017)에서는 다문화가족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부모 출신국 언어·문화 이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이중언어교육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중언어 역량 증진 지원 사업은 주로 학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 강사의 양적 확대에 초점이 맞추어져 시행되고 있으며, 각 학교에서는 중국어·일본어·영어 등 이중언어로 선호되는 주류언어의 언어구사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H. Chung, Y.
다문화가족 청소년이 경험하는 가족 내 이중언어적인 환경과 그로 인한 가족 구성원 간 관계적 역동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외국출신 어머니의 모국어가 아닌 한국어만을 중심으로 하는 이 같은 선행연구들은,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는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적 특수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가족 내에서 한국어 뿐 아니라 어머니의 모국어를 교육하는 이중언어교육은 다문화가족 자녀로 하여금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긍정적 정체성을 갖게 하고 이중문화적 역량을 개발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H. Chung, Y.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mato, P. R., & Fowl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3), 703-716. 

  2. An, E.-M. (2007). Study on factors e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s in the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An, S.-J., Lee, H.-C., & Lim, J.-Y. (2013). The influences of conflict with parent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2), 77-91. 

  4. Bratter, J. L., & Eschbach, K. (2006). What about the couple? Interracial marriage and psychological distress. Social Science Research, 35(4), 1025-1047. 

  5. Cha, S.-E., & Kim, D.-S. (2008). The effect of social roles on depress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Focused on the difference among Japanese, Chinese and Vietnamese wiv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1(3), 131-157. 

  6. Cho, Y. D. (2006). Study on the realities of child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2006-issue-3). Ministry of Education. 

  7. Choi, H.-W., & Hwang, B.-M. (2009). A effect of mother's Korean abilities on their children's Korean 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0(4), 315-329. 

  8. Chung, H.-S., Kim, Y.-S., & Lee, A. (2013). Study on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on bilingual educ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9. Cronsnoe, R. (2005). Double disadvantage or signs of resilience? The elementary school contexts of children from Mexican immigrant famil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2), 269-303. 

  10. Fernandez, R. M., & Nielsen, F. (1986). Bilingualism and hispanic scholastic achievement: Some baseline results. Social Science Research, 15(1), 43-70. 

  11. Hong, J. M. (2012). Exploratory research on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International Area Studies, 16(3), 279-302. 

  12. Hong, S.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13. Hughes, D., Rodriguez, J., Smith, E. P., Johnson, D. J., Stevenson, H. C., & Spicer, P. (2006). Parents' ethnic-racial socialization practices: A review of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42(5), 747-770. 

  14. Jeon, K.-T., Chung, H.-S., Kim, Y.-S., Joo, J.-S., Lee, J.-B., Chung, K., Hwang, M.-J., Kang, M.-J., Sun, B.-Y., Choi, Y.-J., Chu, Y.-S., Park, G.-P., & Tong, C. (2013). A study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2012-5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15. Jun, K. S., & Song, M. K. (2011).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djustment level by multicultural children's nationality.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8(11), 305-330. 

  16. Kasuga-Jenks, S. (2012). Multiple voices: Racial and ethnic socialization within interracial Asian and White families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earch.proquest.com/docview/1033504710. (UMI No. 3517943). 

  17. Kim, D.-S. (2012).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 A Test of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5(1), 1-30. 

  18. Kim, G. Y., Kwak, K. J., & Pae, S. Y. (2009).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Korea: A critical review.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8(3), 571-597. 

  19. Kim, M.-J. (2012). A study of ethnic-racial socialization of foreign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2(5), 73-89. 

  20. Kim, S. K., & Yang, K. M. (2012). The study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ego-resiliency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1), 147-176. 

  21. Kim, S. Y., & Chao, R. K. (2009). Heritage language fluency, ethnic identity, and school effort of immigrant Chinese and Mexican adolesce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5(1), 27-37. 

  22. Kim, Y.-S., Chung, H.-S., Lee, E.-A., & Chae, S.-H. (2010). Study on use and succession of language and culture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3. Kwak, K. J. (2008). The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interaction pattern of parents-children and the effect.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26. 

  24. Lee, E.-K., & Oh, S.-S. (2012). The language aspec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 of their mothe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177-205. 

  25. Lee, J. H., Jin, S. J., Ju, H. J., & Cho, Y. S. (2013). The impa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family health: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87-98. 

  26. Lee, Y.-J. (2009). A study on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2), 103-119. 

  27. Nahm, I. S., & Jang, H. S. (2009). Special issue: Multicultural age and social ethics: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native countri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families.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35, 7-31. 

  28. Nho, C. R., & Hong, J. J. (2006). Adaptation of migrant workers' children to Korean society: Adaptatio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in Seoul, Gyeonggi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2, 127-159. 

  29. Oh, S. (2005). A case study on the growing of Kosian children and its social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30. Park, H. S., Rhee, C. W., Rho, Y. H., & Lee, S. G. (2012). Impact of bilingual, bicultural home environment on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outcom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3(1), 365-388. 

  31. Park, M. (2010).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children's self-esteem in multi-cultural famil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0(2), 193-218. 

  32. Rockquemore, K. A., Laszloffy, T., & Noveske, J. (2006). It all starts at home: Racial socialization in multiracial families. In D. Brunsma (Ed.), Mixed messages: Multiracial identities in the "color-blind" era (pp. 203-216). Boulder, CO: Lynne Rienner Publishers, Inc. 

  33. Rodriguez, J., Taylor, A., Smith, E. P., & Johnson, D. J. (2009). Cultural processes in parenting and youth outcomes: Examining a model of racial-ethnic socialization and identity in diverse population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5(2), 106-111. 

  34. Rollins, A., & Hunter, A. G. (2013). Racial socialization of biracial youth: Maternal messages and approaches to address discrimination. Family Relations, 62(1), 140-153. 

  35. Rosnati, R., & Marta, E. (1997). Parent-child relationships as a protective factor in preventing adolescents' psychosocial risk in inter-racial adoptive and non-adoptive families. Journal of Adolescent, 20(6), 617-631. 

  36. Schlabach, S. (2013). The importance of family, race, and gender for multiracial adolescent well-being. Family Relations, 62(1), 154-174. 

  37. Shin, Y. J., & Youn, C. Y. (2010). Bicultural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4(2), 1-14. 

  38.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pp. 290-312). Washington DC: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39. Statistics Korea. (2014) http://kosis.kr/ 

  40. Statistics Korea. (2014) www.index.go.kr 

  41. Supple, A. J., Ghazarian, S. R., Frabutt, J. M., Plunkett, S. W., & Sands, T. (2006). Contextual influences on Latino adolescent ethnic identity and academic outcomes. Child Development, 77(5), 1427-1433. 

  42. Umana-Taylor, A. J., & Fine, M. A. (2004). Examining ethnic identity among Mexican-origin adolesc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6(1), 36-59. 

  43. Umana-Taylor, A. J., O'Donnell, M., Knight, G. P., Roosa, M. W., Berkel, C., & Nair, R. (2013). Mexican-origin early adolescents' ethnic socialization, ethnic identity,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0(10), 1-31. 

  44. Un, S.-K.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b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37-74. 

  45. Wilt, J. (2011). Normal families facing unique challenges: The psychosocial functioning of multiracial couples, parents and children. The New School Psychology Bulletin, 9(1), 34-41. 

  46. Woo, H. K., Juong, H. S., Choi, N., Yi, S. H., & Lee, G. (2009).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23-36. 

  47. Yang, M.-J., Gao, H.-Y., Kim, Y. H., & Lee, D.-H. (2012). A qualitative research on immigration experiences and accultur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2), 87-113. 

  48. Yu, B.-A., & Ok, K.-H. (2013).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school adjust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511-538. 

  49. Zhou, M. (1997). Growing up american: The challenge confronting immigrant children and children of immigrants. Annual Reviews, 23, 63-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