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자극 수준이 정상 성인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Level on Autonomic Nerve System in Normal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029 - 2037  

진희경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조성현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분절레벨에 적용한 간섭전류의 자극수준에 따른 정상성인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섭전류는 T1-T4 분절에 접착식 패드전극을 2극 배치 후 20분간 전기자극하여, 전기자극 전과 후, 30분 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시에 소재한 N대학교에 다니는 건강한 성인남녀 45명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수준은 100 bps, 10~12 mA, 운동자극수준은 5 bps, 45~50 mA, 유해자극수준은 100 bps, 80~90 mA으로 각각 15명씩 무작위 배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집단의 교감신경활성도의 변화는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다(p<.05). 사후 분석결과 전기자극 직후와 전기자극 후 30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5). 각 집단의 부교감신경활성도의 변화는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다(p<.05). 사후 분석결과 전기자극 직후와 전기자극 후 30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전기자극 수준은 특정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interferential current (IFC) stimulation level according to autonomic nerve system (ANS) of healthy adults. IFC measured with adhesive 2-pole electrodes pad on T1~T4 spinal cord segment level that electrode stimulation of 20 min after. A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율신경계 조절영역인 교감신경절에 적용한 간섭전류 전기자극 수준에 따른 정상성인의 교감 신경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감·부교감신경의 변화는 기간 간의 주 효과에 대한 사후 분석결과 자극 직후 시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자율신경계 조절영역인 내장기관 상응부위의 교감신경절 영역에 적용한 전기자극 수준에 대한 교감·부교감신경 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전기자극 적용방법을 정량화하여 임상에서 다양한 유형의 변화와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자극 치료 시 자율신경계의 기능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질환은? 특히 병태생리 기전의 문제로 인한 질환에 전기치료를 시행할 경우 근육의 허혈현상이 교감신경계의 긴장성 증가로 인해 오히려 악화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6]. 따라서 심혈관 질환, 당뇨병성 신경병증, 레이노드 현상 등과 같은 자율신경계를 침범하는 질환일 경우 전기자극 치료를 적용함에 있어서 자율신경계의 기능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7].
감각자극집단의 간섭전류 전기자극의 기간에 따른 교감신경의 변화는 어떠한가? 05)[Table 8]. 개체 내 대비검정에 있어서 감각 자극집단은 자극직후 .38±.20와 자극 30분후 .41±.16, 운동자극 집단은 자극직후 .27±.
간섭전류 전기자극의 특징은? 따라서 Ward 등[8]은 다양한 전기자극 치료방법 중의 하나인 간섭전류 전기자극 시 말초혈류 순환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간섭전류 전기자극의 특징은 피부저항 및 피하조직의 저항이 낮아 전류 통전 시 통증 및 불쾌감이 없어, 특정 부위에 전류가 깊이 침투하여 다양한 통증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골격계의 펌프 활동이 말초 혈관 확장과 혈류증진을 유발시켜 진통작용, 부종완화, 염증완화, 조직치유, 근수축과 이완 등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9]. 그러나 이와 같이 간섭접류 전기자극의 치료효과에 대한 실험적 근거들 또한 많이 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율신경계와 관련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교해서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 M. Curtis, J. H. Jr. O'Keefe, "Autonomic tone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 the dangers of chronic fight or flight", Mayo Clin Proc, 77(1), pp. 45-54, 2002. DOI: http://dx.doi.org/10.4065/77.1.45 

  2. H. Y. Ge, C. Fernandez-de-las-Penas, L. Arendt-Nielsen, "Sympathetic facilitation of hyperalgesia evoked from myofascial tender and trigger point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houlder pain", Clin Neurophysiol, 117(7), pp. 1545-50, 2006. DOI: http://dx.doi.org/10.1016/j.clinph.2006.03.026 

  3. M. Esler, G. Lambert, H. P. Brunner-La Rocca, G. Vaddadi, D. Kaye, "Sympathetic nerve activity and neurotransmitter release in humans: translation from pathophysiology into clinical practice", Acta Physiol Scand, 177(3), pp. 275-84,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365-201X.2003.01089.x 

  4. J. P. Fisher, C. N. Young, P. J. Fadel, "Central sympathetic overactivity: maladies and mechanisms", Auton Neurosci, 148(1-2), pp. 5-15,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utneu.2009.02.003 

  5. C. C. Chen, M. I. Johnson, "An investigation into the hypoalgesic effects of high- and low-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experimentally-induced blunt pressure pain in healthy human participants", J Pain, 11(1), pp. 53-61,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pain.2009.05.008 

  6. R. Radhakrishnan, K. A. Sluka, "Spinalmus-carinic receptorsare activated during low or high frequency TENS-induced antihyperalgesia in rats", Neuropharmacology, 45(8), pp. 1111-9,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28-3908(03)00280-6 

  7. S. H. Kim, "Case Report: The effects of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 lation in the treatment of Guillain-Barre Syndrome", Therapeutle Science for Neuro- rehabilitation, 3(1), pp. 39-45, 2014. 

  8. A. R. Ward, N. Shkuratova, "Russin electrical stimulation: The early experiments", Phys Ther, 82(10), pp. 1019-30, 2002. 

  9. J. Ylinen, E. P. Takala, H. Kautiainen, M. Nykanen, A. Hakkinen, T. Pohjolainen, S. L. Karppi, O. Airaksinen, "Association of neck pain, disability and neck pain during maximal effort with neck muscle strength and range of movement in women with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Eur J Pain, 8(5), pp. 473-478, 2004. DOI: http://dx.doi.org/10.1016/j.ejpain.2003.11.005 

  10. J. G. Noble, G. Henderson, A. F. Cramp, D. M. Walsh, A. S. Lowe, "The effect of interferential therapy upon cutaneous blood flow in humans", Clin Physiol, 20(1), pp. 2-7, 2000. DOI: http://dx.doi.org/10.1046/j.1365-2281.2000.00207.x 

  11. T. Y. Hwang, R. J. Park, T. I. Kim, Y. N. Kim, "Influencing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Body Surface", J Korean Soc Phys Ther, 12(2), pp. 121-32, 2000. 

  12. J. E. Charlton, "Stimulation-produced analgesia, In: Core Curriculum for Profrssional Education in Pain", IASP Press, Seattle, WA, pp. 93-6, 2005. 

  13. K. A. Sluka, R. L. Craik, "A mechanisms and management of pain of pain for the physical therapist", Physiopedia, 2009. 

  14. R. Freeman, M. W. Chapleau, "Tes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Handb Clin Neurol, 115, pp. 115-36, 2013. DOI: http://dx.doi.org/10.1016/B978-0-444-52902-2.00007-2 

  15. J. P. Fuentes, S. Armijo Olivo, D. J. Magee, D. P. Gross, "Effectiveness of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hys Ther, 90(9), pp. 1219-38, 2010. DOI: http://dx.doi.org/10.2522/ptj.20090335 

  16. A. C. Guyton, J. E.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1th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pp. 129-53, 2010. 

  17. C. Shanahan, A. R. Ward, V. J. Robertson, "Comparison of the analgesic efficacy of interferential therapy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physiotherapy, 92(4), pp. 247-53, 2006. 

  18. H. W. Lee, "Effects of recovery type on the activity of automonic nervous system after exercis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Incheon, Master Thesis, 2005. 

  19. S. J. L, "A study of ANS function by analysis of the cross-correlation factor for the HRV related-respiratory patterns", Hallym University, Master Thesis, 2007. 

  20. F. L. Cramp, G. R. McCullough, A. S. Lowe, D. M. Walsh,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the effect of intensity on local and distal cutaneous blood flow and skin temperature in healthy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83(1), pp. 5-9, 2002.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2.27478 

  21. C. J. Chen, H. S. Yu, "Acupuncture, electro- stimulation, and reflex therapy in dermatology", Dermatol Ther, 16(2), pp. 87-92,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529-8019.2003.01619.x 

  22. R. J. Park, M. H. Lee, D. H. Kim, "The effects of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on sympathetic nerve system in senil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15(2), pp 249-58, 2003. 

  23. D. A. Hurley, P. M. Minder, S. M. McDonough et al, "Interferential therapy electrode placement technique in acute low back pai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rch Phys Med Rehabil, 82(4), pp. 485-93, 2001.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1.21934 

  24. Y. H. Park, K. O. Hwang, "The change of the peripheral blood circulation by the method of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The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18(3), pp. 87-92, 2011. 

  25. J. E. Charlton, "Stimulation-produced analgesia, In: Core Curriculum for Professional Education in Pain", IASP Press, Seattle, WA, pp. 93-96, 2005. 

  26. G. C. Goats,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Br J Sports Med, 24(part 2), pp. 87-92, 1990. DOI: http://dx.doi.org/10.1136/bjsm.24.2.87 

  27. J. Low, A. Reed, "Electrotherapy Explaind: Priniciples and Practice, 3rd ed". Butterworth Heinemann, 241, 2000. 

  28. K. L. Knight, D. O. Draper, Therapeutic modalities: the art and the science, 2011. 

  29. K. Y. Lee, H. K. Rhee, S. K. Jung, H. J. Jung, "Evaluation of autonomic function in patients with hyperhidrosis by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Korean J Orient Int Med, 29(1), pp. 1-11, 2008. 

  30. J. H. Yoo, "The Effects of far IR themotherapy and aroma massage therapy on autonomiac nervous system", Sung shin Women's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31. S. G. Jeong, "The effect of high-frequency, high-intensity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 ation on the sympathetic hyperactivity caused by hyperalgesia", Daegu Univers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32. A. Furgala, P. J. Thor, W. Kolasinska-Kloch, A. Krygowska-Wajs, B. Kopp, J. Laskiewicz,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TENS) on gastric electrical activity", J Physiol Pharmacol, 52(4 Pt 1), pp. 603-10, 2001. 

  33. L. E. Svedberg, U. E. Nordahl, T. C. Lundeberg, "Effects of acupuncture on skin temperature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disorders and cold feet: an exploratory study", Complement Ther Med, 9(2), pp. 89-97, 2001. DOI: http://dx.doi.org/10.1054/ctim.2001.0436 

  34. L. Grote, D. Zou, H. Kraiczi, J. Hedner, "Finger plethysmography : a method for monitoring finger blood flow during sleep disordered breathing", Respir Physiol & Neurobiol, 136, pp. 141-52, 2003 DOI: http://dx.doi.org/10.1016/S1569-9048(03)00090-9 

  35. D. L. Somers, F. R. Clemente, "Contralateral high or a combination of high- and low- 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reduces mechanicalallodynia and alters dorsal horn neurotransmitter contentin neuropathic rats", J Pain, 10(2), 221-29,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pain.2008.08.008 

  36. P. Gopalkrishnan, K. A. Sluka, "Effect of varying frequency, intensity, and pulse duration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primary hyperalgesia in inflamed rats", Arch Phys Med Rehabil, 81(7), pp. 984-90, 2000.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0.55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