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에 의해서 실시되는 도수수동 운동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ual Passive Exercise Performed by Physical Therapist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1, 2015년, pp.9 - 14  

김인배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충유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은경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신한기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종호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n minutes of manual passive exercise performed by physical therapist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Thirty-five healthy adults, both male and female,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비해서 물리치료사가 직접 시행하는 도수 수동운동에 대한 심혈관계의 영향은 많은 관심을 받지못하고있으며, 충분한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숙련된 물리치료사에 의해서 조심스럽게 조절되는 도수 수동운동이 심혈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도수 수동운동 처방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도수 수동운동 적용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고,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10분 동안 의자에 앉아 안정을 취하도록 하는 등 최대한의 노력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리치료사가 대상자의 팔과 다리를 잡고 수동운동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교감신경계 활성의 증가와 비록 유의하지 않지만 심박수의 증가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치료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물리치료에서 가장 널리 중대되는 운동치료는 능동운동과 수동운동으로 구분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신경계, 정형계 및 호흡계 질환, 그리고 수술 후 재활에서 공통적으로 수행되고 있다(Zeppos 등, 2007). 능동운동은 대상자가독립적으로 근육을 수축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수동운동 시, 운동을 한다는 생각만으로도 심박수가 빨라지는데 그 원인은 무엇으로 추측할 수 있는가? 즉, 수동운동 시 운동을 수행한다는 생각을 시작하면 곧바로 심장의 교감신경계 활성과 부교감신경계의 억제가 발생되는데, 이에 심박수가 빨라지면서 운동에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기전은 신경계 고위 중추에 의한 중추명령에 의한 것으로, 중추명령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Williamson, 2010). Thelandersson 등(2012)은 집중치료실에 입원중인 중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지 수동운동을 수행하였는데, 수동운동 전과 후에 총대퇴동맥의 혈류속도와 혈관저항, 그리고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신체 자율신경계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 자율신경계는 신체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여 생리적 항상성을 유지시키며, 심장은 자율신경계 지배를 받아 환경 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처하고 있다(Lee과 Chung, 2006). 실제로 교감신경이 항진되고 부교감신경이 억제되는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상태가 지속될 경우, 심혈관계 사고가 증가됨이보고되었다(Jang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chugbue FS.The effects of therapeutic passive movement on cardiovascular response in stroke patients.Research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09;3(1):12-5. 

  2. Amidei C, Sole ML. Physiological responses to passive exercise in adul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m J Crit Care. 2013;22(4):337-48. 

  3. Gladwell VF, Coote JH. Heart rate at the onset of muscle contraction and during passive muscle stretch in humans: a role for mechanoreceptors. J Physiol. 2002;540( 3):1095-102. 

  4. Gosselink R, Bott J, Johnson M, et al. Physiotherapy for adult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recommendations of the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and 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Task Force on Physiotherapy for Critically Ill Patients. Intensive Care Med. 2008;34(7):1188-99. 

  5. Jang YS, Min JW, Yoo BG, et al. Changes of electrocardiogram and cardiac enzymes in acute ischemic stroke. J Korean Neurol Assoc. 2001;19(3):207-12. 

  6. Kim IB, Kim EK, Kang JH. The influence of position change on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J koreansocphys med. 2014;9(1):63-8. 

  7. Kim JI, Lee JS. Effects of Clinical Training on Stress, Anxiety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BiolNurs Sci. 2011;13(2):102-8. 

  8. Kleiger RE, Stein PK, Bosner MS, et al. Time domain measurements of heart rate variability.CardiolClin. 1992;10(3):487-98. 

  9. Lee TK, Chung WH. Vestibular influences on autonomic regulation. J korean balance soc. 2006;5(2):329-35. 

  10. Lynch D, Ferraro M, Krol J, et al. Continuous passive motion improves shoulder joint integrity following stroke. ClinRehabil. 2005;19(6):594-9. 

  11. McMahon SE, McWilliam PN. Changes in R-R interval at the start of muscle contraction in the decerebrate cat. J Physiol. 1992;447:549-62. 

  12. Shin YA, Kim MJ, Ahn JH. The comparison of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according to posture and exercise type. Exercise science. 2011;20(3):249-60. 

  13. Thelandersson A, Volkmann R, Cider A. Blood flow velocity and vascular resistance during passive leg exercise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ClinPhysiolFunct Imaging. 2012;32(5):338-42. 

  14. Williamson JW. The relevance of central command for the neural cardiovascular control of exercise.Exp Physiol. 2010;95(11):1043-8. 

  15. Zeppos L, Patman S, Berney S, et al. Physiotherapy in intensive care is safe: an observational study. Aust J Physiother. 2007;53(4):27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