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 색공간을 이용한 비표준 디스플레이의 색 보정 방법
Color Correction Method of Non-standard Display Using Standard Color Spa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151 - 2157  

김은수 (선문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색 정보 전달의 호환성을 위해 채택된 sRGB 색공간은 수많은 컴퓨터 시스템 및 주변 멀티미디어 장치들에 효율적인 색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한 표준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sRGB의 표준과 다른 비 표준 삼원색과 감마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표준 디스플레이를 sRGB 표준의 화상 색에 좀 더 가까운 색을 재현하기 위한 오차 보정 행렬을 제안한다. 제안한 색도 오차 보정 행렬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한 실험 결과, 비 표준 디스플레이에 재현된 영상에서의 색 재현 오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andard default color space, sRGB, provides compatibility for the transmission of color within the Internet color operating systems and device drivers. However, a display monitor we use generally have non-standard primaries and gamma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those specified by sRGB. I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비표준 디스플레이를 sRGB 표준의 화상 색에 좀 더 가까운 색을 재현하기 위한 오차 보정 행렬(correction matrix)을 제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비표준 디스플레이를 sRGB 표준의 화상 색에 좀 더 가까운 색을 재현하기 위한 오차 보정 행렬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정 방법을 적용한 모의 실험 결과, 원 화상의 색에 한층 더 가까운 색이 재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적인 디스플레이 상에 원 화상과 같은 색을 재현하는 것이 어려운 원인은? 그러나 실제적인 디스플레이의 밝기 재현 한계, 인광체와 기준 백색의 차이, 감마 특성의 차이, 주변 환경 및 인간 시각 특성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상에 원 화상과 같은 색을 재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성능은 재현 화상의 색을 얼마나 더 원 화상의 색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주요 관심 사항이 된다.
인터넷의 정보의 형태는? 컴퓨터의 발달은 인터넷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새롭고 다양한 신종 정보사업을 계속 만들어 내고 있으며, 컴퓨터와 인터넷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도 많은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환경의 다양한 정보는 대부분 시각 정보이며, 상당부분이 색과 관련된 정보이다. 또한 이 시각 정보를 접하는데 있어 대표적 단말기기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비표준 디스플레이에 오차 보정 행렬을 사용하여 얻은 이점은?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오차 보정 행렬을 사용함으로써 물리적인 색도 오차를 보정하여 원 화상에 가까운 느낌의 재현 화상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안한 방법은 PC용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일반 TV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재현된 영상의 밝기만의 변화에도 색상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이나 조명광의 차이가 있을 때 색이 다르게 보이는 색 순응 현상 등,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많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추후 심도 있는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 Anderson, R. Motta, S. Chandrasekar, and M. Stokes, "Proposal for a Standard Default Color Space for the Internet: sRGB," 4th Color Imaging Conference: Color Science, Systems, and Applications, pp.238-245, 1996. 

  2. C. A. Poynton, Digital Video and HD: Algorithms and Interfaces,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12. 

  3. CI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proceed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2. 

  4. T. Smith and J. Guild, "The CIE colorimetric standards and their use," Transactions of the Optical Society, vol. 33, issue 3, pp.73-134, 1932. 

  5. D. L. MacAdam, Color Measurement,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1985. DOI: http://dx.doi.org/10.1007/978-3-540-38681-0 

  6. G. Wyszecki and W. S. Stiles, Color Science: Concepts and Methods, Quantitative Data and Formulae, Wiley-Interscience, 2000. 

  7. J. Schanda, Colorimetry: Understanding the CIE System, John Wiley & Sons, 2007. DOI: http://dx.doi.org/10.1002/9780470175637 

  8. Y. Xiong, W. Li, B. Liang, L. Zhao, J. Peng, Y. Cao, and J. Wang, "Utilizing white OLED for full color reproduction in flat panel display," Organic Electronics, vol. 9, issue 4, pp. 533-538, 2008. DOI: http://dx.doi.org/10.1016/j.orgel.2008.02.017 

  9. ITU-Radiocommunication Sector Information Handling Services, "Recommendation ITU-R BT.709-4,"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00. 

  10. ColorChecker, product No.50105(Standard) or No. 50111(Mini), manufactured by the Munsell Color services laboratory of GretagMacbeth.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