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지역 분류를 위한 SPOT-5 및 KOMPSAT-2 영상의 감독분류 적용성
Applicability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for Subdividing Forested Areas Using SPOT-5 and KOMPSAT-2 Dat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2, 2015년, pp.89 - 104  

최재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상혁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솔애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지승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상훈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forested areas in South Korea on a national scale, using remotely sensed data is considered most suitable. In this study, utilizing Land coverage maps and Forest type map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ead of collecting field data was tested for conducting s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위성영상 분류와 검증을 위한 훈련데이터로 이용하며 비교 평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이 자료들의 활용가능성을 시험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산림경관 분류를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이용한 위성영상의 감독분류기법의 유효성을 시험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대면적의 산림지역에 대한 손쉬운 분석기술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을 분석할 경우 산림은 하나의 계급으로 분류된다.
  • 연구대상지는 면적 사업으로서 100ha 가까이 되는 골프장 건설을 위한 대규모 개발이 일어난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사업이 미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고 사업지 주변의 산림경관을 효과적으로 분류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업 시행 시기 전후의 시기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산림 경관을 효과적으로 감독분류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각각의 필요한 자료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자연자원인 산림을 전국적인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국가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위성영상을 감독분류하는 방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SPOT-5와 KOMPSAT-2의 영상을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훈련데이터로 사용하여 감독분류를 시험하여 분류결과가 일정한 수준은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전국단위의 토지피복도나 임상도를 지상실측자료의 대안으로 활용하는 것이 실현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와 활엽수 및 혼효림을 동일한 수준으로 감독분류하기 위하여 각각의 계급에 대한 범위를 최대한 넓게 잡고자 하였다. 그러나 Table 7과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혼효림에 대한 예측정확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측정이 됨으로써, 전체 예측정확도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영상의 감독분류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우선 산림과 산림 이외의 지역들을 모두 포함하여 토지피복도와 임상도에서 재분류된 계급으로 감독분류 하였고, 다시 산림으로 구분된 지역들만 추출하여 같은 방식으로 감독분류를 하여, 산림 지역의 감독분류 시 주변의 비산림지역의 계급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는 각각 환경부와 산림청 주관으로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정기적인 자료 수집을 수행하며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료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있는 결과물이다. 현재까지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위성영상 분류와 검증을 위한 훈련데이터로 이용하며 비교 평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이 자료들의 활용가능성을 시험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산림경관 분류를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이용한 위성영상의 감독분류기법의 유효성을 시험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VM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4). SVM의 특징은 일정 수준의 분류 오차를 허용함으로서 구분되는 집단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하여 분류 정확도를 높여준다는 것으로, 복잡하고 노이즈가 많은 데이터를 분석할 때 매우 유용한 분류자이다(Chapelle et al., 1999; Scholkopf et al.
토지피복도란 무엇인가? 토지피복도(환경부, 환경공간정보서비스)는 주제도의 일종으로 지구표면 지형지물의 형태를 일정한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동질의 특성은 지닌 구역을 동일한 색깔로 표시한 후 지도의 형태로 표현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대분류(7개 항목, 해상도 30m급), 중분류(22개 항목, 5m급) 및 세분류(41개 항목, 1m급)로 구성되어 있다(http://egis.me.
산림피해조사와 관리 및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과 같은 분야에서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분석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분석의 장점은 대면적의 대상지를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을 들여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산림조사, 산림피해조사와 관리 및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과 같은 분야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실제 산림지역의 관리에 적용하고 있다(Tomppo & Katila, 1991; Voigt et al., 2007; J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ueckner, J. K. 2000. Urban sprawl: Diagnosis and remedie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3: 160-171. 

  2. Chapelle, O..P. Haffner and V. N. Vapnik. 1999. Support vector machines for histogram-based image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 10(5): 1055-1064. 

  3. Choi J.Lee DK.Kim EY and Choi IT. 2008. Feasibility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no net loss of green.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iques. 11(2): 104-113. (in Korean) 

  4. Choi, JC and Choi JW. 1998. Studies on the rational forest land use planning. Journal of Korean Forest Economics Society 6(2): 1-19. (in Korean) 

  5. DeFries, R..M. Hansen and J. Townshend. 1995. Global discrimination of land cover types from metrics derived from AVHRR pathfinde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4: 209-222. 

  6. Heo KT. 2012. Social scientific approach to welfare in forest. Proceeding of the Symposium of Korean Forest Society 2012. (in Korean) 

  7. Jha, C. S..L. Goparaju.A. Tripathi.B. Gharai. A. S. Ragjubanshi and J. S. Singh. 2005. Forest Fragmentation and its impact on species diversity: an analysi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4: 1681-1698. 

  8. Jia, K..S. Liang.N. Zhang.X. Wei.X. Gu. X. Zhao.Y. Yao and X. Xie. 2014.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finer resolution remote sensing data integrating temporal features from time series coarser resolution data.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93: 49-55. 

  9. Jung M.Lee SH.Chang E and Hong S. 2012. Method of monitoring forest vegetation change based on change of MODIS NDVI time series patter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4): 47-55. 

  10. Kerr, J. T. and M. Ostrovsky. 2003. From space to species: ecological applications for remote sensing.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18(6): 299-305. 

  11. KFS. 2010. Annual Report on the Trend of Forest and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in Korea) 

  12. KFS. 2014. Annual Report on the Trend of Forest and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in Korea) 

  13. Kim JI. 2008. Measuring regional sprawl with macro level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0(2): 127-148. (in Korean) 

  14. Kwon YW. 2003. New paradigm for managing sprawling development. Planning and Plicy 256: 46-54. (in Korean) 

  15. Liu, T and X. Yang. 2013. Mapping vegetation in an urban area with stratified classification and multiple endmember spectral mixture analys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33(15): 251-264. 

  16. Martin, M. E..S. D. Newman.J. D. Aber and R. G. Congalton. 1998. Determining forest species composition using high spectral resolution remote sensing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5(3): 249-254. 

  17. Melamed, C. and P. Ladd. 2013. How to buil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tegrating huma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a new global agenda. ODI and UNDP.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18. Ortiz, M. J..A. R. Formaggio and J. C. N. Epiphanio. 1997. Classification of croplands through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GIS, and historical databas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8(1): 95-105. 

  19. Scholkopf, B..S. Mika.C. J. C. Burges.P. Knirsch.K. -R. Muller.G. Ratsch and A. J. Smola. 1999. Input space versus feature space in Kernel-based methods.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 10(55): 1000-1016. 

  20. Tomppo, E. and M. Katila. 1991. Satellite image-based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Finland.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1991(IGARSS '91) Vol 3. -Remote Sensing: Global Monitoring for Earth Management. IEEE. 

  21. Turner, M. G..S. M. Pearson.P. Bilstad and D. N. Wear. 2003. Effects fo land cover change on spatial pattern of forest communities in the Southern Appalachian Mountains(USA). Landscape Ecology 18: 449-464. 

  22. Voigt, S..T. Kemper.T. Riedlinger.R. Keifl. K. Scholte and H. Mehl. 2007. Satellite image analysis for disaster and crisis-management support.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5(6): 1520-1528. 

  23. WCED. 1987.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UN Documents: Gathering a Body of Global Agreements. 

  24. Wu, T. -F..C. -J. Lin and R. C. Weng. 2004. Probability estimates for multi-class classification by pairwise coupling.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5: 975-1005. 

  25. Yoo HW. 2001. Promo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national territorial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Law Association 23(2): 105-156. (in Korean) 

  26. Yu, Q..P. Gong.N. CLinton.G. Biging.M Kelly and D Schirokauer. 2006. Object-based detailed vegetation classfiication with airborne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2(7): 799-811. 

  27. Zhu, G. and D. G. Blumberg. 2002. Classification using ASTER data and SVM algorithms; The case study of Beer Sheva, Israel.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0: 233-240. 

  28. http://egis.me.go.kr (Environ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29. http://www.forest.go.kr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orea Forest Servi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