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정신 건강 서비스, 자살 전문직 유형에 따른 자살예방행동 준비도
Preparation to Perform Activities of Suicide Prevention according to Professional Typ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1, 2015년, pp.40 - 52  

박경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경주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권민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  염미정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양수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reparation to perform activities of suicide prevention according to professional type. Methods: A structural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 10, 2012 to Jan. 4, 2013 for 355 participants working at suicide prevention institutions in S city. The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이들의 자살예방행동의 변화를 위한 교육 증진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추후 지역사회의 자살예방 관련 사업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정책 제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자살사업 관련 기관 근무자의 전문직 유형에 따른 자살예방행동 준비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살사업 관련 기관 근무자의 자살예방행동 준비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지역 소재 자살예방사업 관련 관공서 및 복지관, 센터 등 39개 기관에 종사하는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연구였으며, 조사 내용은 기관 종사자의 자살 관련 경험, 자살예방 지식에 대한 자기평가, 자살예방행동을 위한 준비도였다. 본 연구는 자살사업 관련 기관의 전문직 유형별 자살예방 준비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살사업 관련 기관의 전문직 유형별 자살예방 준비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사회인 S시에 국한된 연구이기에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문직 유형에 따른 자살예방 준비도를 기술한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추후에는 지역사회의 자살예방을 위해 일선에서 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 전문직 유형별로 맞춤형 진행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중재 효과 연구를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의 자살예방사업 관련 기관 종사자의 전문직 유형에 따른 자살관련 경험, 자살예방 지식에 대한 자기평가, 자살예방행동 준비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들의 자살예방행동의 변화를 위한 교육 증진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에 의한 사망자수와 사망률은 어떠한가?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2년 사망원인통계연보에 따르면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에 이어 사망원인 4위가 고의적 자해(자살)로 보고되었다. 자살에 의한 사망자 수는 총 14,106명으로, 인구 10만 명 당 자살 사망률이 2002년 17.9명에서 2012년 28.1명으로 10.2명 증가하였고, 특히 청소년 및 청ㆍ장년층인 10-30대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3). 이러한 한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34개국 중 10년 연속 자살률이 1위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자살률이 감소되고 있는 서구 선진 국가들과는 반대로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자살의 심각성은 현 사회 실태를 반영한 국가적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교육과 훈련은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국내 보고에 따르면, 2009년 한국자살예방협회는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자살예방 관련 지식과 담당인력 부족 및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을 보고하였다(Oh, 2009). 실제로 자살예방 전략으로서의 교육은 자살에 대한 위험 요인을 인식하게 하고, 자살예방 지원과 자원 이용을 격려하여 정책을 변화시키고, 도움 요청과 관련된 편견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살예방교육은 다양한 전문직의 각기 다른 역할에 맞추어진 교육이라기보다는 일반화된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므로, 자살예방사업 관련 인력을 위해 그들의 역할에 맞는 자살예방 지식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Lee, 2011).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 국내 보고에 따르면, 2009년 한국자살예방협회는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자살예방 관련 지식과 담당인력 부족 및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을 보고하였다(Oh, 2009). 실제로 자살예방 전략으로서의 교육은 자살에 대한 위험 요인을 인식하게 하고, 자살예방 지원과 자원 이용을 격려하여 정책을 변화시키고, 도움 요청과 관련된 편견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J. (2012). Depression, suicide, and Korea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4), 320-321. http://dx.doi.org/10.5124/jkma.2012.55.4.320 

  2. Ban, Y. J., Park, Y. M., & Suk, J. H. (1989). A preliminary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suicides in normal person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28(1), 155-167. 

  3. Emile, D. (1897). Suicide : A study in sociology. Paris: Alcan. 

  4. Hwang, N. & Hong, H. S. (2013). Knowledge about suicide, preparation to perform activities and self-evaluation of suicide prevention of army office.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1(2), 42-53. 

  5. Jo, K. H. & Lee, H. J. (2006). Attitudes of elderly Koreans toward suicide :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05-916.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61 

  6. S. N., Lee, K. S., Lee, S. Y., Yu, J. H., & Hong, A. R. (2009).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suicide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hospital work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2(3), 183-189. http://dx.doi.org/10.3961/jpmph.2009.42.3.183 

  7. King, K. A. & Smith, J. (2000). Project SOAR : a training program to increase school counselors' knowledge and confidence regarding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70(10), 402-407.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00.tb07227.x 

  8. Lee, H. S. (2009). The development and outcome evaluation of the Korean military suicid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the community whole system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9. Lee, Y. J. (2011).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s on suicide prevention for the physicians and the health care providers (Report No.:11-1352226-000015-01). Seoul : Seoul National Hospital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Research and Education (NCMHRE). 

  10. Luoma, J. B., Martin, C. E., & Pearson, J. L. (2002). Contact with mental health and primary care providers before suicide: a review of the evide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9(6), 909-916. 

  11. Mann, J. J., Apter, A., Bertolote, J., Beautrais, A., Currier, D., Haas, A., Hegerl, U., Lonnqvist, J., Malone, K., Marusic, A., Mehlum, L., Patton, G., Phillips, M., Rutz, W., Rihmer, Z., Schmidtke, A., Shaffer, D., Silverman, M., Takahashi, Y., Varnik, A., Wasserman, D., Yip, P., & Hendin, H. (2005).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4(16), 2064-2074. http://dx.doi.org/10.1001/jama.294.16.2064 

  12. Oh, K. S. (2009). Survey on suicide prevention resources and services. Seoul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Health at a glance 2013 : OECD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14. Park J. H., Yeon B. K., & Suk J. H. (1989). A comparative study of attitude toward suicide among physicians, psychiatrists and normal subjec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6), 1022-1033. 

  15. Redsch O., Miyaishi S., Heinemann A., Fiedler G., Puschel K., Yamamoto H., & Ishizu H. (2006). Comparison of German and Japanese general practitioners' awareness of suicide and attitudes toward patients with suicidal ideation. Acta Medica Okayama, 60(3), 159-165. 

  16. Ryu N. A., Yoo S. H., & Yun K. M. (2009). A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adolescent suicid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1), 145-163. 

  17. Statistics Korea (2013, September). Statistics of cause of death in population. Retrieved May 9,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0855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18. Van Der Feltz-cornelis, C. M., Sarchiapone, M., Postuvan, V., Volker, D., Roskar, S., Grum, A. T., Carli, V., McDaid, D., O'Connor, R., Maxwell, M., Ibelshauser, A., Van Audenhove, C., Scheerder, G., Sisask, M., Gusmao, R., & Hegerl, U. (2011). Best practice elements of multileve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Crisis :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32(6), 319-333. http://dx.doi.org/10.1027/0227-5910/a000109 

  19. Wyman P. A., Brown C. H., Inman J., Cross W., Schmeelk-Cone K., Guo J., & Pena J. B. (2008). Randomized trial of a gatekeeper program for suicide prevention : 1-year impact on secondary school staff. Journal of Consult and Clinical Psychology. 76(1), 104-115. http://dx.doi.org/10.1037/0022-006X.76.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