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2, 2013년, pp.245 - 254  

서성이 (영남대학교병원 정신보건간호) ,  김희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양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Methods: The subjects were 176 people with mental disorder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university hospital psychiatric outpatient d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살 고위험 집단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정신질환 및 자살 관련 특성에 따른 자살사고 정도를 알아보고, 자살 보호요인으로 알려진 자존감, 영적 안녕감, 가족 지지 및 전문가 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자살보호요인으로서 자존감, 실존적 영적 안녕감, 가족 지지 및 전문가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자존감, 실존적 영적 안녕감, 가족 지지 및 전문가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연령, 자살시도 경험, 실존적 영적 안녕감이었으며, 이들 변인들은 정신장애인들의 자살사고에 대해 30%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보호요인으로서 자존감, 실존적 영적 안녕감, 가족 지지, 전문가 지지와 더불어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정신질환 관련 및 자살 관련 특성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신장애인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의 원인 중 심리 사회적 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10; Siris, 2001), 낮은 학력, 이혼 및 미혼(Siris, 2001) 등이었고, 정신질환 관련 특성으로는 병식, 충동성 및 정신증상(Jae, 2004) 등이었다. 또한, 심리사회적 특성으로는 우울, 절망, 사회적인 고립(Chun, Park, & Lee, 2007) 및 가족 내 갈등(Cha & Doh, 2003) 등이 있었으며, 자살 관련 특성으로는 자살시도의 과거력(Chun et al., 2007), 가까운 주위사람들의 자살경험(Lee, Kim, Park, & Sim, 2010) 등이었다.
정신장애인들 중 조현병, 기분장애, 물질 관련장애로 진단 받은 사람들의 자살 위험성이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정신장애인들 중 조현병, 기분장애, 물질 관련장애로 진단받은 이들은 대부분이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면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되고 고립되어 사회에 제대로 통합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 인구 집단보다 자살위험성이 높다(Jae, 2004). 정신장애인들의 자살과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면 조현병 환자인 경우 일반 인구에 비해 자살률이 8배로 높고 좀 더 치명적인 자살시도가 많으며(Radomsky, Haas, Mann, & Sweeney, 1999), 조현병 환자의 10%가 실제로 자살로 생을 마감하지만 자살시도는 실제 자살의 2~5배로 많다(Siris, 2001).
자살의 원인은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자살의 원인은 자살시도를 촉진시키는 위험요인과 이를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Park, 2009). 정신장애인의 자살의 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중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으로는 젊은 나이(Je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i, J. I. (2001). The experience of families with psychiatric patients: A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 (1), 53-65. 

  2. Cha, S. H., & Doh, B. N. (2002).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powerlessness in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3), 325-335. 

  3. Chun, S. K., Park, B. G., & Lee, H. B. (2007) A study of risk factors related to mentally illness persons'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6 (1), 348-376. 

  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5. Jae, Y. M. (2004). Suicide and psychiatric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0 (1), 3-10. 

  6. Jean, H. J., Lee, J. Y., Lee, Y. M., Hong, J. P., Won, S. H., Cho, S. J., et al. (2010). Lifetim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plan, and single and multiple attempts in a korean nationwide stud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8 (9), 643-646. 

  7. Jon, B. J. (1974). Self esteem: A test of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30. 

  8. Kang, H. S.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Kao, Y. C., & Liu, Y. P. (2011). Suicidal behavior and insight into illness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Psychiatry Quarterly, 82 (3), 207-220. 

  10. Kye, E. K. (2007). The Relationship of suicide probability and spiritu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im, M. Y. & Jun, S. S. (2012). Factors affecting internalized stigma of patient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 (2), 108-117. 

  12. Kim, S. W., Kim, S. J., Mun, J. W., Bae, K. Y., Kim, S. Y., Yang, S. J., et al. (2010). Psychosocial factors contributing to suicidal ideation in hospitalized schizophrenia patients in Korea. Psychiatry Investigation, 7 (2), 79-85. 

  13. Kim, Y. Y. (2005). The efficacy of self-esteem improvement educa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2, 155-176. 

  14. Kontaxakis, V., Havaki-Kontaxaki, B., Margariti, M., Stamouli, S., Kollias, C., & Christoulou, G. (2004). Suicidal ideation inpatients with acute schizophrenia.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9 (7), 476-479. 

  15. Lee, E. J.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disorder's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Lee, M. A., Kim, S. H., Park, J. H., & Sim, E. J. (2010).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ocial relationships and family.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 (2), 61-84. 

  17. Lee, S. G. (1993). A study on community-based social work practice of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 

  19. Park, H. S. (2009). Effects of core competency support program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 851-859. 

  20. Park, J. A., & Yoo, S. K. (2003). Relationship of resilience, spiritual well-being and parental attach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5, 765-778. 

  21. Radomsky, E. D., Haas, G. L., Mann, J. J, & Sweeney, J. A. (1999). Suicidal behavio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1590-1595. 

  22. Rasic, D. T., Belik, S. L., Elias, B., Katz, L. Y., Enns, M., Sareen, J. (2009) Spirituality, religion, and suicidal behavior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4, 32-40. 

  23. Reynolds, W. M. (1987).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Statistics Korea Data. (2011). The statistics of death in 2011. Retrieved September 10, 2011, from http//meta.narastat.kr 

  26. Sin, M. S. (1992). An empirical study of the mechanism of suicide: Validation of the scale for escape from the sel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7. Siris, S. G. (2001). Suicide and schizophrenia.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5, 127-135. 

  28. Song, H. S., & Kim, K. H. (2002). A study for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eeds of inpatients. Bulletin of Chung- Ang Nurse, 6, 27-35. 

  29. Tea, Y. S. (1985).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n the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