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 태안 어은리 갯벌의 연속관측 메탄(CH4) 플럭스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4 Flux for Continuous Observation from Intertidal Flat Sediments in the Eoeun-ri, Taean-gun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2, 2015년, pp.147 - 160  

이준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센터) ,  노경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센터) ,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지질.지구물리연구본부) ,  강정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지질.지구물리연구본부) ,  정갑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지질.지구물리연구본부) ,  장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 8월 31일~9월 1일 충남 태안 어은리 갯벌 퇴적물의 동일한 실험 장소에서 닫힌 챔버를 이용하여 챔버내 가스들(메탄($CH_4$), 이산화탄소($CO_2$) 및 산소($O_2$))의 갯벌 표면 노출시 일조량이 있는 조석주기의 저조 시점을 기준으로 각 기체의 플럭스량을 파악하기 위해 총 6회 실험하였다. 챔버 내에서 채취된 대기 샘플 중 메탄의 농도는 6시간 이내에 지구온실가스 측정용 EG model GS-23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으며 그 외 가스종은 Multi Gas Monitor를 이용하여 실시간 측정하였다. 각 가스 종들의 배출원(source (+)) 또는 흡수원(sink (-))의 플럭스 계산값은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각 기체의 농도변화인 1차 함수 기울기 값을 수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주변 환경 특성을 참고하기 위해 퇴적물 함수율, 온도, 총유기탄소, 챔버내 온도 및 퇴적물 퇴적상도 측정하였다. 첫째날, 총 3회 플럭스 측정이 진행되는 5시간 20분 동안 이산화탄소는 $-137.00{\sim}-81.73mg/m^2/hr$ 흡수원, 산소는 $-0.03{\sim}0.00mg/m^2/hr$ 흡수원 그리고 둘째날, 이산화탄소는 -20.43~-2.11 mg/m2/hr 흡수원, 산소는 $-0.18{\sim}-0.14mg/m^2/hr$ 흡수원으로 모두 동일하였다. 메탄의 경우 양일간 조석주기의 저조 시점이 되기 전에는 첫째날 $-0.02mg/m^2/hr$ 흡수원(SPSS 통계분석을 이용한 Pearson 상관계수는 뚜렷한 음의 선형관계인-0.555(n=5, p=0.332)) 및 둘째날 $-0.15mg/m^2/hr$ 흡수원(상관계수는 강한 음의 선형관계인 -0.915(n=5, p=0.030))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저조시점 이후로 메탄은 첫째날 최소 $+0.00mg/m^2/hr$ 배출원(상관계수는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선형관계인 +0.713(n=5, p=0.176)) 및 둘째날 최대 $+0.03mg/m^2/hr$ 배출원(상관계수는 약한 양의 선형관계인 +0.194(n=5, p=0.754))이 된다는 플럭스 양상은 양일간 모두 같았다. 그러나 $CH_4$ 플럭스 값은 일자 및 시간별로 모두 다르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시간, 동일지역 퇴적물 일지라도 $CH_4$ 플럭스 변화율은 갯벌 근처 해수의 표층 조석주기 특성 이해를 통한 가스 방출 상관관계 및 물리화학적 퇴적물 환경과 같은 주변 변수에 따라 영향을 받음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4, on 31 August and 1 September, the emissions of $CH_4$, $CO_2$, and $O_2$ gases were measured six times using the closed chamber method from exposed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me position relative to the low point of the tidal cycle in the Eoeun-ri, Ta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충청남도 태안 어은리 상부지역 갯벌에서 닫힌 챔버(closed chamber)용으로 제작된 투명아크릴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갯벌 표층으로부터 발생 하는 CH4의 자연배출량 농도를 측정하여 CH4 플럭스 계산을 하고자 하였다.
  • 또한 1회 플럭스 실험이 아니라 동일한 실험 장소에서 해양 조석주기 중 갯벌 표면이 대기중 노출되는 낙조류시 해수면 저조 시점을 기준으로 CH4, CO2 및 O2 플럭스를 연속적 2일간 총 6회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소 2일간의 짧은 기간이지만 해양 갯벌의 낙조류시 갯벌이 대기중에 노출되는 간조시에 조석주기와 플럭스 상관성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의 제5차 평가보고 종합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 감축이 없으면 미래에 어떻게 될것이라 전망하는가? 최근 2014년 10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제5차 평가보고 종합보고서(Synthesis Report of the Fifth Assessment Report)에 의하면 온실가스의 감축 없이 현재와 같은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예를 들어 이산화탄소(CO2 ) 농도가 2100년 936 ppm에 도달 할 경우), 21세기말(2081~2100년)에는 지구의 평균기온은 과거 1986~2005년에 비해 3.7°C 오르고 전세계 해수면은약 63 cm 상승 할 것으로 종합보고서는 전망했다. 그러나 감축목표대로 실현되는 경우(예를 들어 CO2 농도가 2100년 538 ppm에 도달 할 경우), 지구 평균기온은 1.
한국지역의 갯벌은 어떤 특성으로 유기물을 조절하는가? 한국지역 갯벌은 해안선을 가진 다른 나라들 보다 낙조류시 갯벌 표면의 대기 중 노출과 창조류시 해수 침수가 매일 2회 반복되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복잡한 생물학적, 지화학적 매커니즘을 통해 퇴적물내 유기물을 생성, 집적 및 분해한다. 갯벌의 조간대 상부(supratidal flat)는 조개류 및 어패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저서동물들의 매우 활발한 섭식활동을 벌이고 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을 바탕으로 채택된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어떤 연구를 진행한다고 보고하는가? 1992년 6월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체결된 기후 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을 바탕으로 1997년 12월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규약의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가 채택되었다. 이 교토 의정서에 의하면 선진국들은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배출량 산정을 위해 산업분야는 물론이고, 경작지, 목초지, 습지, 가축 등으로부터의 배출기작에 대한 연구를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KEITI, 2011). 특히 메탄(CH4) 가스의 경우 지구상의 전체 배출량(연간 ~500 Tg)의 10~27% 정도(55~150 Tg)는 습지에서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t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o, M., Marshall, S. and Gregson, K. (1996) Global carbon exchange and methane emissions from natural wetlands: Application of a process-based model. Journal of geophyscical research, v.101, p.399-410. 

  2. Chen, G.C., Tam, N.F.Y. and Ye, Y. (2010) Summer fluxes of atmospheric greenhouse gases $N_2O$ , $CH_4$ and $CO_2$ from mangrove soil in South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408, p.2761-2767. 

  3. Dil, S.G., Blas, E.D., Garreno, N.M., Otero, R.R., Gandara, J.S. and Judd, A.G. (2011) Characterization and preliminary quantification of the methane reservoir in a coastal sedimentary source: San Simon Bay, Ria de Vigo, NW Spain. Coastal and Shelf Science, v.91, p.232-242. 

  4. Dlugokencky, E.J., Harris, J.M., Chung, Y.S., Tans, P.P. and Fung, I.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hane seasonal cycle and regional sources sinks at the Tae-ahn peninsul,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v.27, p.2115-2120. 

  5. Fang, C. and Moncrieff, J.B. (2001) The dependence of soil $CO_2$ efflux on temperature.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v.33, p.155-165. 

  6.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The university of Texas Hemphill's draver M, university station Austin, Texas, 170p. 

  7. Freeman, C., Nevison, G.B., Kang, H., Hughes, S., Reynolds, B. and Hudson J.A. (2002) Contrasted effects of simulated drought on the production and oxidation of methane in a mid-Wales wetland.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v.34, p.61-67.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4) Fifth Assessment Report (AR5), http://www.ipcc.ch 

  9. Kim, D.S. (2007) Greenhouse Gas ( $CH_4$ , $CO_2$ , $N_2O$ ) Emissions from estuarine tidal and wetland and their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3, p.225-241. [Korean Literature] 

  10. Kim, D.S. and Na, U.S. (2011) Soil Emission Measurements of $N_2O$ , $CH_4$ and $CO_2$ from Intensively Managed Upland Cabbage Field. J. KOSAE, v.27, p.313-325. [Korean Literature] 

  11. Kim, D.S. and Na, U.S. (2013)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reshwater wetland and tidal flat in Korea. J. KOSAE, v.29, p.171-185. [Korean Literature] 

  12. Kim, D.S. and Oh, J.M. (2003) $N_2O$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and their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19, p.529-540. [Korean Literature] 

  13. Kim, J. Verma, S.B. and Clement, R.J. (1992) Carbon dioxide budget in a temperate grassland ecosystem. J. Geophy, v.97, p.6057-6063. 

  14. Kim, G.Y., Pak, S.L., Song, B.H. and Shin, Y.K. (200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1, p.136-143. [Korean Literature] 

  15.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EITI). (2011) Domestic and Foreign Non-industrial Greenhouse Gas Reduction Activities (Special Issues). Global Green Growth Policy (GGGP). [Korean Literature] 

  16.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14) Tide tables (cost of Korea). p.214-216. [Korean Literature] 

  17.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IOST). (2005) Coast of suspended sediment accumulation epidemiological model behavior(Report). 834p. [Korean Literature] 

  18.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IOST). (1993) Tidal development feasibility study report of Garolim Bay (Report). 511p. [Korean Literature] 

  19.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IOST). (1986) Tidal power follow-up study of Garolim bay and feasibility study of Woosooyoung. 285p. [Korean Literature] 

  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3). http://www.kma.go.kr. 

  21. Krumbein, W.C. (1934) Size frequency distributions of sedimen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4, p.65-77. 

  22. Lee, H.J., Jo, H.R., Chu, Y.S. and Bahk, K.S. (2004) Sediment transport on macrotidal flats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Significance of wind waves and asymmetry of tidal curren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4, p.821-832. 

  23. Mcmanus, J. (1988) Grain Size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M. Tucker (Ed.), Techniques in Sedimentology, Blackwell, Oxford, p.63-85. 

  2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03) Tidal flat ecosystem research and Utilization Research (5th Year, BSPM 221-00-1610-3). 1098p. [Korean Literature] 

  2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07) Environmental valuation studies of Garolim Bay (Report). 1p. [Korean Literature] 

  26. Moore, T.R. and Knowles, R. (1989) The influence of water table levels on methane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peatland soils. Canadian Journal of Soil Science, v.69, p.33-38. 

  2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NIMRKMA). (2011)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XI (climate change of Chungnam). p.2-5. [Korean Literature] 

  28. Tidal development feasibility study of Garolim Bay (Report). 285p. [Korean Literature] 

  29. Rask, H., Schoenan, J. and Anderson, D. (2002) Factors influencing methane flux from a boreal forest wetland in Saskatchewan, Canada.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v.34, p.435-443. 

  30. Ruttenberg, K.C. (1992) Development of a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for different forms of phophorous in marine sedimen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37, p.1460-1482. 

  31. Shin, S.H., Gu, B.J. and Je, J.G. (2004)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Tidal Flat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6, p.57-72. [Korean Literature] 

  32. Song, K., Lee, S.H., Mitsch, W.J. and Kang, H. (2010) Different responses of denitrification rates and denitrifying bacterial communities to hydrologic pulsing in created wetland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v.42, p.1721-1727. 

  33. Warneck, P. (2000) Chemistry of the Natural Atmosphere. 2nd ed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NY. 

  34. Watson, R.T., Noble, I.R., Bolin, B., Ravindranath, N.H., Verardo, D.J. and Dokken, D.J. (2000) Special Report of the IPCC on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35.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ournal of Geology, v.30, p.377-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