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해안 태안 소근리 갯벌의 메탄가스 발생량 특성
Evaluation of Basin-Specific CH4 emission flux from Intertidal Flat Sediments of Sogeun-ri, Taean, Mid-west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2, 2014년, pp.281 - 291  

이준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단) ,  정갑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단) ,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단) ,  강정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단) ,  이동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단) ,  장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  김성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 3월과 8월 사이 총 3회에 걸쳐 챔버를 이용하여 충남 태안 소근리 갯벌 퇴적물에서 가스들(메탄,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산소 및 가연성 가스)의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챔버 내에서 채취된 메탄의 농도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그 외 가스종은 Multi-gas monit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가스 종들의 배출량(+) 또는 흡수량 (-)은 농도의 시간 변화율을 구한 후 1차 함수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다른 변수(퇴적물 함수율, 온도, 총유기탄소, 평균입도크기 및 챔버 내 온도) 또한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였다. 메탄은 $+0.06{\sim}+0.60mg/m^2/hr$, 이산화탄소는 $+58.45{\sim}+95.58mg/m^2/hr$, 산소는 $-0.02{\sim}-0.20mg/m^2/hr$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0.60{\sim}+0.65mg/m^2/hr$을 방출하거나 흡수하였다. 특히, 메탄은 여름철 높은 표층 퇴적물 온도($32.0{\sim}36.8^{\circ}C$)에서 양($+0.06{\sim}+0.18mg/m^2/hr$)보다 봄철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14.5^{\circ}C$)에서 더 많은 양($+0.60mg/m^2/hr$)이 방출되었다. 퇴적물로부터 메탄의 방출량은 플럭스에 대한 표층퇴적물 입도 크기와 챔버 내부 온도와의 상관계수($R^2$)는 각각 -0.97, -0.89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rch to August 2013, the emission of gases ($CH_4$, VOC, $CO_2$, $O_2$, and LEL) was measured three times from the intertidal flat sediments at Sogeun-ri, Taean-gun, in the Mid-western seashore of Korea by using chamber method. After analyzing gas emission con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충청남도 태안 소근리의 상부 갯벌에서 챔버를 사용하여 퇴적층으로부터 발생하는 CH4의 자연배출량을 측정하고 코아 퇴적물의 여러 특성과 비교하여 계절에 따른 온실 가스의 거동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장 조사는 2013년 봄~가을 동안에 계절단위(일중 특정시간대)로 메탄 플럭스(flux)를 계산하면서 다른 동일한 챔버 내에 기타 가스(VOC, LEL, O2 및 CO2) 배경농도 데이터를 실시간 확인하여 CH4의 농도 변화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CO2, O2는 닫힌 챔버 B내에서 급격한 농도 변화를 가져왔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CO2, O2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와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온도와 CH4 발생 상관성과 같이 다음 절에서 논하고자 한다. Fig.

가설 설정

  • 28 mg/m2/hr이었다. CH4 방출 평균 값(+0.28 mg/m2 /hr, +6.72 mg/m2/hr)을 이용하여 소근리 지역에서 CH4 기체 연간 배출량(소근리 갯벌 지역 면적 약 3.0 km2 가정, 조석간만 주기로 인한 대기 노출시간 연중 6개월로 가정, 해수면 CH4 방출량은 없다라고 가정)은 약 +8.37 ton CH4/yr이다. 계절별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한 것은 갯벌에서의 화학적 변수 및 강우, 기온, 바람 등 기상조건과 갯벌내 유입 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 등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은 어떤 특성과 과정에 따라 유기물을 생성, 집적 및 분해하는가? 갯벌은 대기 노출과 해수 침수가 매일 2회 반복되 는 특성에 따라 복잡한 생⦁지화학적 과정을 통해 유 기물을 생성‧집적 및 분해한다. 갯벌의 상부 지역 (supratidal flat)은 조개류(패류)를 포함한 다양한 저서 동물들의 매우 활발한 섭식활동과 식물성 플랑크톤인 규조류 등의 활발한 광합성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등 의 기체상 물질의 거동이 매우 활발하다고 알려져 있 다(Warneck, 2000).
해상환경 조건 중 창조류는 어떤 방향으로 흐르는가? 해상환경 조건 중 창조류는 주로 태안반도의 서측 으로부터 북동류하여 동수도와 대산항 전면해역을 거 쳐 아산만으로 흐르며, 낙조류는 아산만으로부터 흘러 나와 대산항을 거쳐 남서류하면서 태안반도의 서측으 로 흐른다(Mokpo National University, 2010). 대체적으 로 창조류가 낙조류보다 우세하며, 조류형태는 반일주 조류로서 1일 2회의 창•낙조가 일어나며, 일조부등은 달의 적위가 최대인 날로부터 약 2일부터 나타나며, 대조기에 하•동절의 삭•망에, 소조기에는 춘•추절의 양현에 나타난다.
태안군 소원면 소근리 갯벌의 퇴적상 특징은 어떻게 되는가? 퇴적상 특징은 소근리 갯벌 북서쪽 서해 해안선에 자갈해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갯벌은 펄의 함량이 높 은 모래펄 갯벌이다. 신두리 해수욕장에 가까운 갯벌 은 모래함량이 높으며, 사구 식생이 보인다. 그리고 내만으로 갈수록 펄의 함량이 높아 전형적인 펄갯벌 을 이룬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rtlett, KB, Bartlett, DS, Harriss, RC and Sebacher, DI (1987). Methane emissions along a saltmarsh salinity gradient, Biogeochemistry, 4, pp. 183-202. 

  2. Cao, M, Marshall, S and Gregson, K (1996) Global carbon exchange and methane emissions from natural wetlands: Application of a process-based model. Journal of geophyscical research, 101(9), pp. 399-410. 

  3. Chen, GC, Tam, NFY and Ye, Y (2010). Summer fluxes of atmospheric greenhouse gases $N_{2}O$ , $CH_{4}$ and $CO_{2}$ from mangrove soil in South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8, pp. 2761-2767. 

  4. Dil, SG, Blas, ED, Garreno, NM, Otero, RR, Gandara, JS and Judd, AG (2011). Characterization and preliminary quantification of the methane reservoir in a coastal sedimentary source: San Simon Bay, Ria de Vigo, NW Spain, Coastal and Shelf Science, 91, pp. 232-242. 

  5. Dlugokencky, EJ. Harris, JM, Chung, YS. Tans, PP and Fung, I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hane seasonal cycle and regional sources sinks at the Tae-ahn peninsul,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27, pp. 2115-2120. 

  6. Fang, C and Moncrieff, JB (2001). The dependence of soil $CO_{2}$ efflux on temperature,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3, 155-165. 

  7. Freeman, C, Nevison, GB, Kang, H, Hughes, S, Reynolds, B and Hudson JA (2002). Contrasted effects of simulated drought on the production and oxidation of methane in a mid-Wales wetland,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4, pp.61-67.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Fifth Assessment Report (AR5), http://www.ipcc.ch 

  9. Kim, DS (2007). Greenhouse Gas ( $CH_{4}$ , $CO_{2}$ , $N_{2}O$ ) Emissions from estuarine tidal and wetland and their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2), pp. 225-241. [Korean Literature] 

  10. Kim, DS and Na, US (2011). Soil Emission Measurements of $N_{2}O$ , $CH_{4}$ and $CO_{2}$ from Intensively Managed Upland Cabbage Field, J. KOSAE, 27(3), pp. 313-325. [Korean Literature] 

  11. Kim, DS and Na, US (2013).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reshwater wetland and tidal flat in Korea, J. KOSAE, 29(2), pp. 171-185. [Korean Literature] 

  12. Kim, DS and Oh, JM (2003). $N_{2}O$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and their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5), pp. 529-540. [Korean Literature] 

  13. Kim, J. Verma, SB and Clement, RJ (1992). Carbon dioxide budget in a temperate grassland ecosystem, J. Geophy. 97(5), pp.6057-6063. 

  14. Kim, GY, Pak, SL, Song, BH and Shin, YK (200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2), pp. 136-143. [Korean Literature] 

  15. Kim, YJ, Jung, SH, and Kang, HJ (2006). Changes in Methane Production in Coastal Mud Flat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Salinity,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8(4), pp 41-47. [Korean Literature] 

  16.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EITI). (2011). Domestic and Foreign Non-industrial Greenhouse Gas Reduction Activities (Special Issues), Global Green Growth Policy (GGGP). [Korean Literature]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3). http://www.kma.go.kr. 

  18. Korea Ocea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KIOST). (2010). Oil Spil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Research,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n Literature] 

  19. Lee, YG (2012). Generated annual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of the status and the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KONETIC report, Environmental health leading technology news, pp. 1-10. [Korean Literature] 

  20. Magenheimer, JF, Moore, TR, Chmura, GL and Daoust, RJ (1996). Methane and carbon dioxide flux from a macrotidal salt marsh, Bay of Fundy, New Brunswick, Estuaries, 19, pp. 139-145. 

  2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5). Tidal Ecosystems, Research and Study on the Sustainable Use Methods (Inventory of Tidal Flats in Korea). [Korean Literature] 

  22.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0). Study on the reasonable adjustments ship sailing zone. [Korean Literature] 

  23. Moore, TR and Knowles, R (1989). The influence of water table levels on methane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peatland soils, Canadian Journal of Soil Science, 69(1), pp.33-38. 

  24. Rask, H, Schoenan, J and Anderson, D (2002). Factors influencing methane flux from a boreal forest wetland in Saskatchewan, Canada.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4(4), pp. 435-443. 

  25. Song, K, Lee, SH, Mitsch, WJ and Kang, H (2010). Different responses of denitrification rates and denitrifying bacterial communities to hydrologic pulsing in created wetland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42(10), pp. 1721-1727. 

  26. Warneck, P (2000). Chemistry of the Natural Atmosphere. 2nd ed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NY. 

  27. Watson, RT, Noble, IR, Bolin, B, Ravindranath, NH, Verardo, DJ and Dokken, DJ (2000). Special Report of the IPCC on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