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검표를 이용한 토질사면 산사태 예비조사 방법 평가
Evaluation on Risk Assessment for Landslide Hazard of Soil Slope Using the Checklists a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Method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2, 2015년, pp.177 - 185  

김재민 ((주)삼안 지질부) ,  최정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조사 방법으로서 점검표를 이용하여 토질사면에 대한 산사태 취약도를 평가하고, 산사태 재해위험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제안한 표들이 사면 안정성 평가에 적용되었으며, 이 표들은 토질사면에 대한 안정성 점검표로 구성되어 있다. 흙의 공학적 특성을 포함한 자료들은 부산 중심부의 황령산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와 기존 연구를 통하여 획득되었다. 주제도를 만드는데 관련된 모든 자료는 ArcGIS 10.0을 이용하여 변환되었다. 이 방법을 사용한 결과 연구지역의 토질사면은 매우 안정-안정 영역에 분포되었으며, 중간 정도의 안정성 영역은 산의 말단부를 따라 부분적으로 분포한다. 산사태 위험도 지도의 결과는 산사태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적절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landslide hazard susceptibility and produce the landslide hazard maps for soil slope using checklists a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method. Tables, proposed by NDM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are applied for slope stability assessment,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도시개발을 위한 부지평가 혹은 인구밀집지역에 대한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할 때 예비조사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산사태 재해위험지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부산의 중심에 있어 인구가 밀집되어 있을 뿐 아니라, 과거에 크고 작은 산사태가 수차례 발생한 황령산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이 연구는 도시지역 산지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사면의 평가와 인구밀집지역에서의 산사태 재해의 취약성을 평가할 때 예비조사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산사태 재해위험지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부산 중심에 있어 인구가 밀집되어 있을 뿐 아니라 주위에 각종 주요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 수차례 산사태가 발생한 황령산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 이력지도란? 산사태 이력지도는 과거 산사태가 발생한 지점의 공간적 분포를 표현한 것으로 재해위험 평가 시 가장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황령산 일대는 크고 작은 산사태가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산사태 및 절개사면파괴가 발생한 장소를 조사하기 위해 어떤 자료를 이용했는가? 황령산 일대는 크고 작은 산사태가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산림청 재해복구 자료와 기존 보고서, 언론보도 등을 바탕으로 산사태 및 절개사면파괴가 발생한 장소를 조사하였고 정확한 장소 확인을 위해 직접 현장답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에서 사면파괴의 흔적이나 보강흔적 등의 증거를 수집하고 GPS 좌표를 획득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총 33개의 산사태 발생위치를 파악하였고, 이를 GIS 기반의 포인트 데이터 형태로 구축하여 산사태 이력지도를 제작하였다(Fig.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요소들의 영향은?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요소로는 크게 경사, 고도, 곡률, 방향이 있다. 보통 경사가 커질수록 산사태 위험성이 크지만 평균적으로 45o 이상의 고각에서는 토층발달이 미약하여 토질사면의 붕괴 가능성이 오히려 낮다. 그리고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산사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Kim et al., 2005), 경사방향은 일조시간 차이에 의한 암반풍화정도, 식생발달 차이 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북향보다는 남향의 붕괴가 빈번하다. 곡률의 경우는 집중강우 시 오목한 사면은 볼록 혹은 평탄한 사면보다 더 많은 물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한 사면에서의 산사태 발생 확률이 증가한다(Oh, 2010). 이 연구에서 사용된 지형인자는 사면경사와 고도이며(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tkinson, P.M. and Massari, R. (1998) Generalised linear modelling of susceptibility to landsliding in the Central Apennines, Italy. Comput Geosci, v.24, n.4, p.373-385. 

  2. Burmister, D.M. (1949)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Soil Identification, Proceedings, Annual Highway Research Board Meeting,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v.29, p.402-433. 

  3. Chae, B.G., Cho, Y.C., Song, Y.S. and Seo, Y.S. (2009)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the AHP Analysis Metho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9, p.99-108. 

  4. Choi, J.C. and Paik, I.S. (2002) Study on Analysis for Factors Inducing the Whangryeong Mountain Landslide, J. of Engineering Geology, v.12, n.2, p.137-150. 

  5. Choi, J.H., Kim, H.T., Oh, J.Y. and Kim, Y.S. (2011) Analysis of the controlling Factors of an Urban-type Landslide at Hwangryeong Mountain based on Tree Growth Patterns and Geomorphology, J. of Engineering Geology, v.21, n.4, p.281-293. 

  6. Griffiths, J. (1990) Engineering Geomorphology, Bull. of Engineering Geology, v.42, p.39-44. 

  7. Johnes, D.K. (1983) A preliminary geomorphological assessment of part of the Karakoram highway, The Q. J. of Engineering Geology, v.16, n.4, p.331-355. 

  8. KIGAM (2003) Geophysical and Geotechnical Approach to the Ground Control during Excavation in Urban Area, KR-03-10, 233p. 

  9. KIGAM (2000) Prediction and Mitigation of Landslide Hazards, KR-00-(T)-09, 642p. 

  10. Kim, K.S., Kim, W.Y., Song, Y.S. and Cho, Y.C. (2005) Engineering Geology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J. of Engineering Geology, v.5, n.2, p.105-121. 

  11. Kim, K.S., Lee, M.S., Cho, Y.C., Chae, B.G. and Lee, C.O. (2004)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il Slopes Dependent on Geology Hwangryeong Mt. District, Busan-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4, p.487-498. 

  12. Nagarajan, R., Mukherjee, A., Roy, A. and Khire, M.V. (1998) Temporal remote sensing data and GIS application in landslide hazard zonation of part of Western Ghat, India. Int. J. Remote Sensing, v.19, n.4, p.573-585. 

  13. NDMI (2012) Risk Analysis of Slopes for the Disaster Impact Assessment, 11-1310148-000096-01, 133p. 

  14. NDMI (2011) Establishment of Collapse Warning & Evacuation Criteria for Steep Slope, NDMI-PR-2011-14, 156p. 

  15. NDMI (2009) Analyses of Factors affecting Steep-slope Stability and Field Application, 11-1660000-000393-14, 197p. 

  16. NDMI (2001) Risk Analysis of Slopes for the Disaster Impact Assessment, 11-1310148-000096-01, 133p. 

  17. Oh, H.J. (2010)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nd validation using Weight-of-Evidence mode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6, n.2, p.157-170. 

  18. Song, Y.K., Park, D.S., Son, Y.J. and Kim, T.H.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ability Checklist by Analyzing the Evaluation Element For Steep Slope,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2, n.4, p.77-84. 

  19. Temesgen, B., Mohammed, M.U. and Korme, T. (2001) Natural hazard assessment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method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landslides in the Wondogenet area, Ethiopia. Phys. Chem. Earth Part C, v.26, p.665-6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